분류 전체보기 13563

♡항상 졸려...한낮 피로의 원인은?

♡항상 졸려...한낮 피로의 원인은? "수면이 짧을수록, 삶도 짧아진다." 이는 UC 버클리 수면과학자 매튜 워커가 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한 말이다. 그 만큼 양질의 수면은 건강과 깊은 연관이 있다. 하지만 잠이 중요한 걸 알면서도, 잠들기 어렵거나 자는 도중 수시로 깨는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여기엔 정신 건강 문제와 신체적인 건강 문제가 모두 관여한다. 또, 실제론 수면 상태가 정상임에도 피곤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불안증, 강박장애(OCD),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ADHD), 심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조현병 등의 정신건강 문제는 전부 수면장애와 연관성을 보인다. 어렸을 때 받은 스트레스가 훨씬 이후 불면증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영국 런던대가..

성별의 영향 - 체지방과 암 그리고 출생체중까지

성별의 영향 - 체지방과 암 그리고 출생체중까지 월간암(癌) 희망편지 생물학적 성이 인간의 모든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 노스웨스턴 메디신과 시카고 대학교와 바르셀로나의 유전체 조절 센터의 최근 연구는 생물학적 성이 인간의 거의 모든 유형의 조직 내의 유전자 발현에 작지만 빠짐없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 유전자 발현은 유전자가 세포 기능을 위해 만들어내는 생산물의 양이다. 남녀의 이런 차이는 약물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임신 중에 여성은 어떻게 혈당을 조절하는지, 면역체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암은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포함한 많은 기능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들에서 관찰된다. 성별은 또 개개인의 유전변이가 그들의 유전자 발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에 약하지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과학자들은 ..

암 투병 정신과 의사 김준기 고백

암 투병 정신과 의사 김준기 고백 라이프 김동우 [우먼 동아일보] 암 투병 정신과 의사 김준기 고백 기사입력 2015-01-22 22:43:00 세상에는 경험하지 않고서는 모를 감정들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가 암 환자들이 겪는 정신적인 공포와 불안이다. 다양한 트라우마를 연구해온 정신과 전문의 김준기는 3년 전 암 진단을 받고 나서야 그 감정의 실체와 마주했다. 의료진의 말에 상처받고, 암환자들의 위로에서 힘을 얻었다 “저는 이렇게 말해요. ‘아임 캔서링(I’m cancering), 나는 암이 진행되고 있다’고. 어떤 면에서는 (암을 이겨내는 데) 남들보다 나을 수 있으나, 한쪽 발은 죽음의 영역을 딛고 살아가는 셈이에요. 이렇게 말하면 이해될지 모르겠지만, ‘좀비’나 ‘뱀파이어’로 살아가는 기분이죠.”..

"먼저 갈게" 태평하게 농담하는 환자가 癌 이기더라

"먼저 갈게" 태평하게 농담하는 환자가 癌 이기더라 라이프 김동우 "먼저 갈게" 태평하게 농담하는 환자가 癌 이기더라 [MD앤더슨 종신교수 김의신 박사의 癌이야기] [1] 암 낫는 사람, 안 낫는 사람 유난히 근심 많은 한국 환자 - 치료 받으면서도 일 집착하고 항암제는 부작용만 달달 외워 - 시골 환자가 치료 잘 돼 - 큰 병원에 온 것에 만족, 밥도 잘먹어 암에 잘 견뎌 수치에 일희일비 말라 - 약간만 나빠져도 잠 못이뤄… 제풀에 암세포 더 키우는 꼴 웃는 자, 저항력도 높다 - 항상 밝고 믿음 강한 사람, 면역세포 수치 1000배 높아 /조선 DB 30년 동안 매일 암 환자들을 봤다. 환자를 처음 맞닥뜨리면 '이 환자는 치료가 잘 되겠구나!' 아니면 '안 되겠구나!' 짐작이 간다. 결론부터 말하면,..

에이비엘바이오 AACR서 ABL111 위·췌장암 항암효과 발표

에이비엘바이오 AACR서 ABL111 위·췌장암 항암효과 발표 EBN 동지훈 기자 (jeehoon@ebn.co.kr) 에이비엘바이오는 파트너사 아이맵(I-Mab)과 함께 오는 2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리는 미국 암학회(AACR)에 참석해 공동 연구 중인 'ABL111(TJ-CD4B)'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AACR 초록발표에서 'Grabody-T' 플랫폼 기반의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중 I-Mab과 공동 연구 중인 파이프라인 2개를 포함해 유한양행과 공동 연구 중인 파이프라인('ABL105/YHC2121'), 포항공대(POSTECH)와 함께 연구하는 프로젝트까지 총 4개의 포스터 발표에 공동 연구 기업으로 참여한다. ABL111은 위암과 췌장암에 발현하는 항원인 Cl..

녹즙 먹을 때는 중금속 중독을 주의하라!!

녹즙 먹을 때는 중금속 중독을 주의하라!! 요즘 건강을 위해서 녹즙을 먹는 사람들이 많은 거 같다. TV 프로그램에서도 천기누설이라며 녹즙 관련된 영상을 자주 볼 수 있다. TV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면 녹즙을 먹고 나서 병을 고치고 몸이 건강해 진 사람들이 있는 거 같다. 그런데 최근 나는 녹즙을 먹다가 중금속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왜 녹즙을 먹다가 중금속 중독에 걸리게 될까??? 건강에 좋자고 먹는 녹즙이 오히려 중금속 중독을 일으켜 몸을 망가뜨릴 수 있을까?? 아마 이런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은 없을 것이다. ​ 기능의학으로 환자를 치료하다 보면 중금속에 중독되어 있는 환자를 자주 만나게 된다. 특히나 위장이 안 좋은 환자는 중금속 중독이 훨씬 자주 나타나난다. 이런 중금속 중에서 ..

스트레스, 불면증, 소화장애 등을 완화하고

스트레스, 불면증, 소화장애 등을 완화하고 머리를 맑게 하는 지압법 3가지 2020년도 6월 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模擬評價)가 오는 18일 치러진다. 6월 모의고사는 ‘수능(수학능력시험)의 전초전(前哨戰)’이라 불릴 정도로 수험생(受驗生)들에게 매우 중요(重要)한 시험(試驗) 중 하나다. 그만큼 정신적(精神的)인 부담(負擔) 또한 상당하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때문에 수험생들의 스트레스(Stress)가 더욱 커졌다. 스트레스를 잘 해소하지 않으면 수험생활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자생한방병원 박상원 원장의 도움말로 스트레스와 불면증·소화장애 등을 완화(緩和)하고 머리를 맑게 하는 지압법(指壓法) 3가지를 알아본다. 찬죽혈/사진=자생한방병원 제공 눈 침침하면 ‘찬죽혈’ ..

★상식을 뒤집는 놀라운 장수의 비밀!

★상식을 뒤집는 놀라운 장수의 비밀! 정보통통 정보통통! 일본 도쿄 건강장수 의료센터 연구소는 70세 이상 노인 5000명을 대상으로 8년간 추적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상식을 뒤엎는 놀라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결과 영양 섭취가 좋지 않고 마른 체형의 노인의 경우 노화가 빨리 진행될 뿐만 아니라 수명도 줄어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결과는 저칼로리 식사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야 한다는 상식을 반하는 결과였습니다. 연구소는 우선 ‘근육량을 늘려라.’ 조언합니다. 하루에 아령이나, 팔굽혀펴기, 철봉 매달리기 등으로 근육량을 늘리세요. 쉰을 넘기면 식사를 잘 챙겨라. 노인은 칼로리를 제한하면 영양섭취가 안 좋아져 수명이 짧아진다는 게 결론입니다. 고영양과 저영양 상태로 그룹을 나눠 살피면 저영양 상태 그룹 노인..

껄껄 웃으면 암이 낫는다

껄껄 웃으면 암이 낫는다 라이프 김동우 껄껄 웃으면 암이 낫는다 웃으면 암도 사라진다 이라는 책을 보면, 의사 자신들이 항암제. 방사선 치료를 거부한 결과 5명 가운데 4명이 암을 극복한 사례가 있다. 이 책에서 그들이 강조하는 것은 긍정적인 정신력의 중요성이다. 아보 교수나 암 치료에 기공을 도입한 야야마 의사 또한 마찬가지다. 후쿠다-아보이론에서 말하는 면역이론도 다르지 않다. 이른바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됨으로써 림프구가 증가해 면역력이 높아지면 암 등에 대한 저항력도 강해진다. 그래서 이 부교감신경을 ‘웃음의 신경’이라고 이름 붙였다. 웃음으로 치료하는 중국의 ‘암 학교’ 중국 상하이에 ‘상하이 암 학교’라는 재미있는 이름의 암 치료시설이 있다. 전국에서 찾아온 상태가 심각한 암 환자들이 마지막 희망..

꿈은 건강 상태를 반영… 좋은 꿈 꾸려면?

꿈은 건강 상태를 반영… 좋은 꿈 꾸려면? 【건강다이제스트 | 이은혜 기자】 우리는 매일 잠을 자며, 꿈을 꾼다. 꿈이 생생히 기억날 때도 있고, 전혀 기억나지 않을 때도 있다. 꿈의 내용은 어떤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것일까? 꿈에 대한 연구를 소개한다. 꿈은 보통 개인의 동기, 생각, 기억과 성격의 영향을 받는다. 성별, 나이, 정신 활동, 직업과 생활 이력, 신체 상황, 자연환경 등의 요소와도 관련 있다. 어떤 때는 낮에 생각한 것이 밤에 꿈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공포 영화를 본 후 악몽을 꾸는 것이 이러한 경우다. 또 신체 상태와도 관련 있다. 잠자리에 들기 전 배가 너무 부르거나 너무 고픈 나머지 소화기 계통의 정상적인 생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면 가슴이 더부룩하거나 식당에서 음식을 찾는 꿈을 꾸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