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1092

간암인데 어깨통증이?,,,뇌의 착각 연관통

간암인데 어깨통증이?,,,뇌의 착각 연관통 우면산 헐크 ​ ■ 장민욱 /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신경과 교수 ​ [앵커] 다리를 다치면 다리가 아프고 손가락을 다치면 손가락이 아픈 것은 상식이죠. ​ 어깨가 아픈 이유가 간 때문이라면, 팔이 아픈데 그 원인이 심장에 있다면 어떻게 병원에 가야 할까요? ​ 실제로 이런 증상을 겪는 분들이 많고 이를 연관통이라고 하는데요. ​ 오늘 '닥터S'에서는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신경과 장민욱 교수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안녕하세요. ​ 일단 연관통이란 어떤 건가요? ​ [인터뷰] 말 그대로 기관 간의 착각으로 인해 느껴지는 통증입니다. ​ 내부 장기에 통증 원인이 있지만, 원인이 되는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

간세포암 치료에 게임체인저 등장 vs 업데이트 정도

간세포암 치료에 게임체인저 등장 vs 업데이트 정도 박선재 기자 Richard S. Finn 연구팀, IMbrave150 연구 결과 발표 티센트릭+아바스틴 병용, 넥사바 단독보다 우수 연구팀, "간세포암 치료 시장에 게임 체인저 등장" 장재영 교수, "게임체인저는 과장된 평가, 업데이트 정도"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면역항암제들이 간암 1차 치료제 진입이라는 벽을 뚫을 수 있을까? 일단 분위기는 좋은 것 같다. 최근 절제할 수 없는 상태의 간세포암(HCC) 환자에게 로수의 아테졸리주맙(제품명 티센트릭)+베바시주맙(제품명 아바스틴) 병용요법이 바이엘의 소라페닙(제품명 넥사바) 단독요법보다 우수하다는 임상 3상 연구결과가 나온 덕분이다. 이미지 출처 : 포토파크닷컴 티쎈트릭은 면역항암제 중 치료가 어려..

어깨 통증이 ‘간’ 때문이라고?

어깨 통증이 ‘간’ 때문이라고? 오른쪽 어깨가 아파요...혹시 ‘간’ 때문이야? 오른쪽 어깨가 지속적으로 아프신가요? 근육이나 관절 문제가 아니라면 ‘간 건강’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바로 ‘연관통’ 때문인데요. 연관통은 바로 ‘뇌의 착각’ 때문에 일어납니다. 내장질환으로 통증이 발생했는데 뇌에서 통증부위를 피부의 일정 부위에서 발생한 것으로 잘못 느끼게 되는 겁니다. 간에서 통증이 발생하면 오른쪽 어깨 부위의 통증이라고 뇌가 ‘잘못’ 느끼는 것입니다. 비슷한 예로 심장에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왼쪽 팔 쪽으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술자리가 부쩍 많아지는 달입니다. 술자리에서 무작정 “달려라 달려!” 하는 사이 우리의 간은 시름시름 병들어 갑니다. 여러분의 간은 오늘도 안녕하신가요? 알약톡톡2 오늘은..

美소화기학회 간수치 정상상한치 낮췄다

美소화기학회 간수치 정상상한치 낮췄다 '男 29~33 IU/L, 女19~25 IU/L', 한국은 모두 40 IU/L ▲ 출처:메디칼트리뷴 [메디칼트리뷴 박지영 기자] 미국소화기학회가 간기능 지표의 정상범위를 기존 보다 좁혀서 제시했다. 스탠포드대학 포 쿼(Paul Y. Kwo) 교수는 일반 임상검사에서 간기능의 지표인 ALT, AST, ALP, 빌리루빈 검사 가이드라인을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에 발표했다. 학회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번 가이드라인의 핵심 포인트는 ALT의 정상상한치 기준이 처음으로 제시됐다는 점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미국 내외의 연구데이터에 근거해 ALT의 정상상한치 범위를 남성 29~33 IU/L, 여성 19~25 IU/L로 제시했다. 우리..

진행성 간암 면역치료 효능 낮은 이유 밝혀져

진행성 간암 면역치료 효능 낮은 이유 밝혀져 송인하 기자 서울성모병원 윤승규·성필수 교수팀, 면역 회피 'CEACAM1' 분자 발견해 기전 규명 [메디칼업저버 송인하 기자] 국내 연구팀이 간암의 새로운 면역 회피기전을 규명해 향후 간암 면역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윤승규·성필수 교수(소화기내과)와 가톨릭간연구소 박동준 연구원은 간암줄기세포 마커인 EpCAM 발현이 높은 세포가 자연살해세포 등 종양살상세포에 의한 면역기전을 회피하기 위해 세포 표면에 CEACAM1 분자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했다. 난치성 종양인 간암은 발생률이 높은 국내 5대 암 중 하나로 조기에 발견될 경우 완치율이 높지만 진행된 간암에서는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 매우 낮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숙향 교수팀, "조기 발견이 중요한 간암, 정기적 선별검사로 생존율 높인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숙향 교수팀(정숙향 교수, 장은선 교수, 임상혁 전임의)이 간암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가 간암 환자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AD158855460777.ad-template { float:right; position:relative; display:block; clear:both; z-index:1; padding:15px} #AD158855460777.ad-template .col { text-align:center; } #AD158855460777.ad-template .col .ad-view { position:relative; } 증상이 없을 때 정기적으로 암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선별검사라고 한..

간암, 피·침 한방울로 간단히 진단되는 시대 오나?

간암, 피·침 한방울로 간단히 진단되는 시대 오나? 기자명 이보람 기자 국내 연구진이 피 한 방울 혹은 침 한 방울로 간암을 진단할 수 있는 나노 종이를 개발했다. 창원대학교 화학과 BK21플러스 나노바이오연구사업단은 지난 1일 혈액이나 타액을 이용해 간암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나노형광 종이스트립'과 스마트폰 앱 연결로 바이오마커 검출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형광 종이스트립'은 새로운 형광성 분자각인 컨쥬게이션 티오펜 고분자를 합성해 간암 바이오마커의 농도에 따라 형광 색깔과 세기가 달라진다. 다시 말해 혈액이나 타액을 통해 간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 실제로 연구팀은 창원요양병원 암센터와 공동으로 간암 환자들의 혈액과 타액에 대한 적용성을 연구해 간암..

서울대병원, 세계 최초로 ‘간경변증 치료법’ 발견

서울대병원, 세계 최초로 ‘간경변증 치료법’ 발견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연구팀은 간손상이 간경변으로 악화되는 기전을 밝히고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유전자를 발견했다./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간이 손상됐을 때 ‘간경변증(간이 굳어가는 증상)’으로 악화되는 원인과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그동안 없던 간경변증 치료제가 세계 최초로 등장할 지 주목된다. 서울대병원 연구중심병원-프로젝트 바이오치료법개발-유니트 김효수·이은주 교수팀은 간손상이 간경변으로 악화되는 기전을 밝히고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9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섬유화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신규 유전자 치료제를 특허출원했다. 이 연구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실험의학(J.Experiment..

간암 항암치료 중의 식사

간암 항암치료 중의 식사 라이프 김동우 2020. 5. 17. 14:24 댓글수0 공감하기 공감수 0 간암 항암치료 중의 식사 대부분의 암이 그러하듯 간암 역시 영양 섭취에 각별히 애를 써야 한다. 그러나 힘겨운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이기고 영양소를 충분히 챙겨 먹기란 힘든 일이다. 많은 환자들이 스트레스로 입맛을 잃거나, 식사를 하더라도 메스꺼움과 구토증으로 음식물을 모두 토하는 등 음식물 섭취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환자에 따라 항암 식품에만 매달려 편중된 영양소를 섭취한다던지, 민간 요법에 기대어 고른 영양소를 섭취하지 못하는 등 건강한 식사를 못하는 등 경우도 있다. 제대로 영양 섭취를 하지 못하다 보니 체중이 줄고, 체력이 바닥나서 치료 효과가 떨어지거나 심지어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도 왕왕..

간경변에 대해 알아봅시다 (1) - 간경변이란 무엇일까요?

간경변에 대해 알아봅시다 (1) - 간경변이란 무엇일까요?http://cheilpkh.egloos.com/1354140 간경변 (대개는 간경화라고들 부르지만 정확한 명칭은 간경변입니다.) 많이 들어보셨지요?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면 어떤 이유이든 간에 염증이 반복되면서 염증반응에 의해 간의 섬유화가 진행되고 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