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섬유화 억제 TIF1 유전자 발견…유전자치료제 특허 출원 간 섬유화 억제 TIF1 유전자 발견…유전자치료제 특허 출원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팀, 세계 최초 간 섬유화 치료제 개발 기대2020-04-10 김영신 medicalkorea1@daum.net 세계 최초로 간섬유화 치료제가 탄생할 수 있을까?서울대병원 연구중심병원-프로젝트 바이오치료법개발-유니트 김효수·이은..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16
수면제가 간에 부담을 주나요? 수면제가 간에 부담을 주나요? 간 건강백서 이미지 갤러리 가기간은 우리 몸의 화학공장이라고도 불린다. 인체에서 각종 필요한 물질의 합성, 대사와 해로운 물질의 분해 등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든다면 어마어마하게 큰 공장 규모가 될 것이다. 몸 안의..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15
제대혈로 간암을 고칠 수 있나요? 제대혈로 간암을 고칠 수 있나요? 간 건강백서 이미지 갤러리 가기제대혈(umblical cord blood)은 태반과 탯줄에 존재하여 태아의 순환계를 돌던 혈액을 말한다. 여기에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 세포를 만드는 조혈모세포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신생아 분만 시 분리되는 태반과 탯줄..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14
간경변증도 회복될 수 있다 간경변증도 회복될 수 있다 김상현 <연세의대 원주기독병원 소화기내과> 연세대학교 의학사 연세대학교 의학석사 고려대학교 의학박사 연세대학교 원주의대 소화기내과 조교수 대한 간학회 간행위원 대한 내과학회 간행위원 현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교수 원주기독병원 소화기..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13
간경변의 합병증(복수,식도 정맥류,간성혼수) 관리요령 간경변의 합병증(복수,식도 정맥류,간성혼수) 관리요령 1. 간경변은 치료가 되나요? 매우 진행된 간경변은 간이식이 필요하며, 간경변이 진행되면 정상 간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치료제는 없습니다. 다만 현재의 간 기능을 잘 유지시키고 진행을 억제하며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합니다. ..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10
AP shunt 란 무엇인가? AP shunt 란 무엇인가? AP shunt라는 것은arterioportal shunt의 약자 이고 간에는 신체의 다른 부위와 다르게 간동맥, 간정맥 외에 문맥(portal vein)이라고 하는 정맥이 하나 더 있습니다. 간동맥, 간문맥 단락은어떠한 문제로 인해 정상적인 혈관구조가 파괴되어 동맥과 문맥간에 통로가 생긴 것을 ..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08
술은 입에도 안 대는데 肝癌까지… 급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藥으로 치료할 날 오나 술은 입에도 안 대는데 肝癌까지… 급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藥으로 치료할 날 오나 유대형 헬스조선 기자 비알코올성 지방간 성인 10명 중 3명 앓지만 증상 없어 방치 내버려두면 간경변증·간암으로 발전 고지혈증·당뇨병 등 만성질환도 유발해 치료법 아직 없어… 식이·운동이 ..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06
아파도 티 안내는 '간(肝)'을 지키기 위해 실천해야 할 5가지 아파도 티 안내는 '간(肝)'을 지키기 위해 실천해야 할 5가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간 건강을 지키기 위해 실천해야 할 생활 습관 5가지를 알아본다. /사진=헬스조선DB 우리나라 간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단연 1위다. 문제는 간은 침묵의 장기..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03
혈소판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정상적인 혈소판 수치보다 수치가 감소한 경우 진료과 혈액종양내과 관련 신체기관 혈액 관련 질병 각종 바이러스성 및 세균성 감염, 약제에 의한 이차성 혈소판 감소증, 위암이나 유방암 등 각종 암(항암제 치료 후 혈소판 감소증 발생),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4.01
간경변에 도움 되는 식사요법, 꼭 알아두어야 할 것들! 작성자 라이프 김동우 간경변에 도움 되는 식사요법, 꼭 알아두어야 할 것들! ● 간성혼수가 나타날 때 식사요법 ☞ 간성혼수는 중증간경화로 거의 말기증상에서 많이 나타나며 체내의 단백질 소화과정에서 발생한 암모니아 개스가 체외로 방출되지않아 이들 개스가 혈과으로 들어가 뇌.. 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2020.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