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563

“한국에 '직업성 암 환자' 적은 진짜 이유, 아시나요?”

“한국에 '직업성 암 환자' 적은 진짜 이유, 아시나요?” [경향신문]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이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 권호욱 선임기자 “한국에는 직업성 암환자가 너무 적습니다.”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보건학 박사)의 말이다. 많은 연구에서 전체 암환자의 4% 정도를 직업성 암으로 추정한다. 이를 적용하면 국내의 연간 직업성 암환자는 9600명가량이라는 수치가 나온다. 2019년 산재를 인정받은 암 환자는 205명이다. 일하다가 암에 걸리는 사람이 없어서가 아니다. 직업성 암을 찾아내는 시스템이 사실상 없다시피 해서다. 회사는 유해물질에 대해 잘 알려주지 않고 병원에서도 무슨 일을 하는지 묻지 않는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가 ‘직업성·환경성암찾기 119’ 운동을 시작한 이유다. ..

항암 치료 과정 중에 주의 사항을 알려드립니다.

항암 치료 과정 중에 주의 사항을 알려드립니다. 라이프 김동우 암 치료 중의 식사는 암을 예방하는 식사와는 다르다. 적은 양을 먹더라도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어야 한다. 한 번에 많은 양을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식간에 간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치료 중에는 잘 먹는 것이 빠른 회복을 위한 지금길이다. 암 치료는 몸 안의 나쁜 세포를 죽이는 과정으로 몸 안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것과 같다. 아무리 성공적인 전쟁이라도 아군의 피해가 있듯 항암치료 중에는 나쁜 세포 외에 정상 세포도 손상을 받게 된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정상 세포는 암세포보다 빠르게 성장하여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 정상 세포의 원활한 재생을 위해서는 충분한 단백질이 공급되어야 한다. 특히 육류,..

무허가 줄기세포 치료 뒤 사망..."이상 반응에도 투여"

무허가 줄기세포 치료 뒤 사망..."이상 반응에도 투여" 70대 아버지 치료 위해 줄기세포 치료 상담 치료 전 무허가 확인…"임상시험 단계라고 설명" "부작용 없다는 설명에 줄기세포 치료 결심"[앵커] YTN은 지난해 을 통해 줄기세포 치료를 둘러싼 각종 의혹과 논란을 심층 보도했습니다. 이후 무허가 줄기세포 치료 실태를 계속 취재해왔는데요, 오늘은 기저 질환을 앓고 있던 70대 노인이 무허가 줄기세포 치료 이후 숨진 사례를 보도합니다. 기획탐사팀 김대겸 기자입니다. [기자] 막연히 줄기세포 효능을 믿어왔던 이 모 씨. 지난해 6월, 서울 한남동에 있는 줄기세포 시술 병원을 찾았습니다. 넘어져 목 신경을 다친 70대 아버지를 위해서입니다. [이 모 씨 / 무허가 줄기세포 치료 환자 가족 : 거기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