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B&C형 간염

C형간염 치료는 부작용이 많지 않나요?

암사랑 2018. 3. 21. 10:16

C형간염 치료는 부작용이 많지 않나요?

현재 국내에서 C형 간염의 표준 치료는 인터페론 기반 치료이다. 기존 인터페론 치료보다 투여 횟수가 적어 현재는 페그 인터페론와 리바비린 병합 요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표준 치료법이다. 이와 같은 병합요법은 C형 간염을 완치하게 되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실제 치료 성공률은 무척 높다. 하지만, 페그인터페론 알파와 리바비린 병합요법시 많은 환자가 부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치료의 부작용 때문에 전체 환자의 약 10~20%가 치료를 중단하고 추가로 약 20~30%의 환자들이 치료약제 용량을 줄이게 된다. 흔한 부작용들으로는 두통, 발열, 근육통, 근육경직, 관절통, 오심, 식욕부진, 체중감소, 설사, 탈모, 피부발진, 가려움증, 주사부위 염증, 호흡곤란, 피로감, 불면증, 자극과민성, 우울증 등이 있다.

페그 인터페론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은 크게 독감유사증상, 골수기능 억제에 의한 부작용, 신경정신학적 부작용 및 자가면역성 부작용 등을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독감 유사 증상은 치료후 발열, 피로, 근육통, 두통, 오한 등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일부 보고에 따르면 약 40% 내외의 환자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증상은 적절한 해열진통제 투여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대부분 4주나 6주 후에는 증상이 약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페그 인터페론 치료에 의해서 불면증, 집중력 저하, 기억장애, 자극과민성 또는 감정둔마와 같은 신경정신학적 이상 뿐 아니라, 우울증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심한 우울증이 발생하게 되면 자살을 충동이 증가할 수 있어, 치료 전 우울증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전문의에게 알리고 치료 중에 우울증이 발생하는지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

백혈구나 혈소판 감소증 등 골수기능 억제도 페그인터페론에 의한 중요한 합병증의 하나이며, 이 경우 치료약제 감량을 하게 되며, 심각한 경우 치료를 중단하게 될 수 도 있다. 또 한, 페그 인터페론 치료에 인하여, 갑상선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부 보고에 따르면, 치료받는 환자의 15~20%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레이브스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갑상선 자가항체 생성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대개 갑상선기능 항진증으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경과 하면서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되게 되며, 치료 종료 후에도 정상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인터페론 제제 투여 중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심할 경우 치료 중단을 고려하고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치료를 유지하며 갑상선기능 저하증으로 변하는지 주기적으로 관찰하게 된다.

또 한, 페그인터페론 치료에 의해 드물지만 전신홍반루푸스, 제1형 당뇨, 천식, 폐간질 섬유화 등 다양한 종류의 자가면역질환이 유발될 수 있으며, 갑상선질환이나 당뇨는 항바이러스 치료로 악화될 수 있으므로 치료 전 이에 대한 기저검사가 필요하다. 그 외 페그인터페론와 주로 연관된 부작용으로 시야장애, 망막출혈과 부종, 청력장애, 이명, 오심, 구토, 피부가려움, 체중감소, 탈모 등이 보고되었으며, 이 증상들은 대부분 치료 종료 후 증상이 개선된다.

리바비린의 흔한 부작용은 용혈성 빈혈이며, 특히 심장질환이나 폐질환이 있을 경우 리바비린에 의해 발생하는 빈혈이 허혈성 심폐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 한, 리바비린은 임신 중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남녀를 불문하고 치료기간과 치료 후 6개월 동안 피임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 그 외 리바비린 투여와 주로 연관된 부작용은 피로, 소양증, 발진, 부비동염, 통풍 등이 있다.

비록 부작용은 있지만 치료 전에 치료과정과 치료로 인한 부작용 및 대처법에 대해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친다면 치료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C형간염은 치료 시작 후 2~4주에 여러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에는 약 4~12주 간격으로 경과를 관찰하며 치료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작용의 빈도는 주로 임상연구에서 선택된 환자들에서 보고됐던 것으로 실제 일반적 임상상황에서는 개별 환자에 따라 그 빈도나 양상이 다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C형간염 치료는 부작용이 많지 않나요? (간 건강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