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B형간염 치료제 비리어드, 바라크루드, 베믈리디, 베시보, 헵세라, 제픽스 등은 B형간염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해서 간섬유화와 간경변증을 호전시키고 간암 발생 위험을 없애지는 못 하지만 감소시킵니다.
하지만 이러한 항바이러스 치료제로는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소실이라는 치료 목표, 즉 B형간염 치유(완치)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 평생 약을 복용해야 됩니다. 최근 베믈리디 등 신장이나 뼈 부작용을 줄인 약들이 개발되어 치료에 사용하고 있지만 장기간 치료로 인한 부작용의 위험도 갖고 있습니다.
만성 B형간염에서 한정된 기간 약을 치료하고 나서 중단 후에도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소실이 지속되는 기능적 치유가 현재 개발되고 있는 치료제 신약의 목표입니다. 울산편한내과가 세부적인 각 약제에 대해서도 정리한 바 있지만 큰 흐름의 새로운 논문들이 발표될 때마다 정리해오고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ucgck/221731085180
B형간염 - 2019년 현재 만성 B형간염 완치를 위해 개발되고 있는 신약과 확률
만성 B형간염으로 정기검진이나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인 분들이 가장 기대하는 부분이 B형간염의 완치 약...
blog.naver.com
최근 발표된 논문들을 바탕으로 간략히 정리합니다.
위 그림은 올해 유럽간학회지에 발표된 B형간염 치료 전략과 현재 개발 중인 약제들의 다양한 임상시험 단계를 각각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파란색은 아직 임상시험 전 단계, 초록색은 임상시험 1상, 빨간색은 임상시험 2상, 주황색은 승인받은 약제인데 페그인터페론과 비리어드, 바라크루드, 베믈리디 등과 같은 현재 치료 중인 약제들입니다.
만성 B형간염 완치를 위해 개발되고 있는 신약의 표적, 작용 기전, 화합물 등에 대한 내용과 현재까지 진행된 임상시험 등을 정리한 논문도 발표되었습니다.
최근 만성 C형간염 등 다른 만성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근거해서 만성 B형간염의 완치를 위해서는 B형간염바이러스 생활사의 다양한 단계를 표적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제 혹은 항바이러스제와 면역조절제의 병합치료가 필요합니다.
한 가지 치료 접근법으로 간내 B형간염바이러스 복제를 완전히 억제하기 위해 다른 작용기전을 가지는 여러 개의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가능한 조합으로는 비리어드, 바라크루드, 베믈리디와 같은 현재 적용되고 있는 항바이러스제를 근간으로 하고 작용기전이 다른 1개 혹은 2개의 다른 항바이러스제를 추가하여 치료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치료 접근법으로는 B형간염바이러스 항원 양을 감소시키는 작용 약제와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약제의 병합치료입니다.
또 다른 치료 접근법으로는 면역조절제와 항바이러스 혹은 바이러스 항원 억제제의 병합치료입니다.
이러한 병합치료는 만성 B형간염의 다양한 병기에 따라 각 개인에 맞는 맞춤형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즉 e항원 양성 혹은 음성, 초 치료 혹은 치료 경험자, 바이러스 DNA가 높은 분 혹은 낮거나 억제되어 있는 분, 간경변증 유무, 바이러스 항원 양의 정도 등에 따라 병합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B형간염 완치를 위한 병합치료 중 혹은 짧은 기간 치료 중단 후 발생하는 부작용들, 간염 급성 악화의 위험, 복수 등 비대상성 변화, 자가면역 및 약 부작용 등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 부분에 대한 모니터링과 연구가 계속 필요합니다.
또한 병합치료 시 약 가격 문제가 치료를 대기하고 있는 전 세계 만성 B형간염 분들께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최근 발표되는 세계적인 연구자들의 논문에서 공통적으로 개발 중인 약제들의 병합치료로 만성 B형간염의 완치에 도달할 것이라는 결론에 일치합니다. 다음 10년 내에는 신약 치료로 만성 B형간염의 완치가 올 것 같다고 주장하는 논문도 있어 꿈이 가까이 온 느낌입니다.
울산편한내과는 만성 B형간염, 간경변증 등 만성 간질환의 올바른 진단과 간암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믈리디, 비리어드, 바라크루드 등 항바이러스제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 항상 연구합니다. 또한 간암 조기 발견을 위한 간암 검진 초음파 검사 등 다양한 정밀검사를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울산편한내과는 고해상도 초음파(GE LOGIQ E9: GE healthcare, USA), 간암진단에 MRI와 필적한 결과를 보이는 혈관내조영제(SonoVue: Bracco, Italy) 조영증강 초음파뿐만 아니라 간섬유화 정도를 측정하는데 세계적으로도 권고되는 간섬유화스캔(Fibroscan; Echosens, France)과 횡파탄성영상기법(shear wave elastography,SWE: GE healthcare, USA)등 간질환 정밀 검사 기기를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건강정보 모음 > B&C형 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간염 - 만성 B형간염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확진되었을 때 간손상과 증증 진행 위험이 더 증가 (0) | 2020.09.28 |
---|---|
B형간염, C형간염, 간경변증 - 조기 간암 치료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간암 재발 패턴의 변화 (0) | 2020.09.22 |
C형간염 환자 조기발견 시범사업 추진… (0) | 2020.09.17 |
C형간염- 한국인 만성 C형간염에서 "마비렛"정의 치료 효과 [출처] C형간염- 한국인 만성 C형간염에서 "마비렛"정의 치료 효과 (0) | 2020.09.11 |
종류도 다양한 간염의 모든 것 (0) | 202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