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간에서 생성되는 응고인자인 프로트롬빈의 비정상적인 형태입니다. PIVKA II는 간 종양에서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간세포암종의 존재나 재발을 의미하는 종양표지자로서 유용하게 작용합니다. 간세포암종은 간염과 간경화와 같은 만성 간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추적검사로 알파태아단백과 함께 검사할 수 있습니다. 간세포암종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재발을 감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사합니다.
검사/시술/수술 방법
검사 전 준비사항은 없으며, 팔의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결과
정상범위는 40AU/ml 이하입니다.
혈액검사의 정상 범위는 성별, 나이, 임신 여부, 검사를 시행하는 기관,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를 시행하는 병원이나 검사실에서 제시하는 참고치를 사용하여 의료진과 결과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주의사항
PIVKA II의 증가만으로 간세포암을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PIVKA II는 간세포종양 외에 급만성간염, 비타민 K 결핍, 와파린 같은 항응고제나 광범위 항생제 사용 등으로 증가될 수 있으므로 암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헬스팁
활동성 B형 혹은 C형 간염은 PAVKA II의 검사 대상은 아니지만 만성 간질환이나 간경화를 앓고 있는 경우 감시할 수 있는 검사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AVKA II 검사는 간세포암에 특이적인 선별검사가 아니므로 가족력 때문에 검사를 시행하거나 이 검사결과 단 하나만으로 특정질환을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건강정보 모음 > 간경화&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소판 수치와 비장비대에 관하여 (0) | 2020.09.14 |
---|---|
간이 안 좋아지면 흰자가 노랗게 되거나 잇솔질 시 피가 많이 난다는게 사실인가요? (0) | 2020.09.08 |
여성의 암 6위 간암, 뜻밖의 요인 5 (0) | 2020.09.05 |
■ 탁월한 재생 능력을 자랑하는 ‘침묵의 장기’ 간 (0) | 2020.09.04 |
몸의 최후의 보루, 간이 무너지면 모든 것이 무너진다.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