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퇴치 눈앞
ㆍ건국대 김균환 교수 연구팀
ㆍ바이러스 퇴치 단백질 발견
한국연구재단은 건국대학교 김균환(사진)·박은숙 교수와 김두현 박사 등 연구진이 B형 간염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B형 간염바이러스는 만성 간염, 간 경화, 간암을 부르는 주요인으로 꼽힌다. 보통 인체는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단백질의 일종인 사이토카인이 분비돼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그러나 이 물질이 어떻게 항바이러스 효과를 내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진은 사이토카인의 영향으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인 ‘인터류킨-32’가 바이러스 제거에 관여하는 원리를 찾아냈다. 인터류킨-32는 바이러스를 직접 막아내는 강력한 항바이러스 단백질이다.
연구진은 이 단백질이 간세포 내부에서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바이러스를 제거한다는 점을 새롭게 규명했다. 기존의 다른 사이토카인과는 다르게 외부로 분비되지 않고 주로 세포질에 머물면서 B형 간염바이러스를 잡는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 대해 인터류킨-32가 바이러스성 간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향후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균환 교수는 “앞으로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수년간 이어오는 치료제 개발 연구에 결실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ㆍ바이러스 퇴치 단백질 발견
한국연구재단은 건국대학교 김균환(사진)·박은숙 교수와 김두현 박사 등 연구진이 B형 간염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B형 간염바이러스는 만성 간염, 간 경화, 간암을 부르는 주요인으로 꼽힌다. 보통 인체는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단백질의 일종인 사이토카인이 분비돼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그러나 이 물질이 어떻게 항바이러스 효과를 내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진은 사이토카인의 영향으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인 ‘인터류킨-32’가 바이러스 제거에 관여하는 원리를 찾아냈다. 인터류킨-32는 바이러스를 직접 막아내는 강력한 항바이러스 단백질이다.
연구진은 이 단백질이 간세포 내부에서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바이러스를 제거한다는 점을 새롭게 규명했다. 기존의 다른 사이토카인과는 다르게 외부로 분비되지 않고 주로 세포질에 머물면서 B형 간염바이러스를 잡는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 대해 인터류킨-32가 바이러스성 간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향후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균환 교수는 “앞으로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수년간 이어오는 치료제 개발 연구에 결실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건강정보 모음 > B&C형 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간염 - 만성 B형간염에서 항바이러스제 치료하지 않고 추적 검사만 하는 경우 (0) | 2018.08.30 |
---|---|
B형간염 바이러스 제거… 새로운 단백질 찾아냈다 (0) | 2018.08.29 |
"만성 B형 간염환자, 근육량 줄면 간섬유화 진행 빨라져" (0) | 2018.08.27 |
B형간염 - 만성 B형간염에서 항바이러스제 치료하지 않고 추적 검사만 하는 경우 (0) | 2018.08.24 |
B형간염 - 만성 B형간염 면역관용기에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요한가? (0) | 201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