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지방간/지방간염. 건강검진에서 지방간이라고 말할 때

암사랑 2016. 12. 25. 07:18

지방간/지방간염. 건강검진에서 지방간이라고 말할 때. 기타 소화기 질환/이미지들 / 간염/간경화/간암 자료실


복사 http://blog.naver.com/kimyhkimyh/220894180704

                                                                 

원본출처 : http://holyfeeling.blog.me/220440880179


지방간/지방간염. 건강검진에서 지방간이라고 말할 때.


지방간이라고 하도 이야기를 말할때가 많이 있을 것이다.

지방간..지방간 간에 기름이 낀정도로만 이해하면 되는것인가?

약간의 간수치가 상승하고 뚱뚱하면 지방간일것입니다 라는 이야기를 흔히들 이야기 하는데..

오늘은 흔히들 이야기하는 지방간에 대하여 제대로 알아보고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1. 개요

*지방간 (fatty liver) : 간세포 내에 지방질 (주로 TG) 가 축적된 상태,

지방증 (steatosis)로 간 중량의 5% 이상을 차지할 때를 의미한다.


*지방간염 (steatohepatitis)

 - Steatosis + 간세포 괴사 및 염증반응 (ex, 염증세포의 침윤)

 

 - 관련질환, 임상향상, 초음파 소견등으로는 지방간과 구별 안됨

 

 

초음파 소견을 일단 보시면...


본래 정상 간은 초음파에서는 Rt. kid 와 비슷한 음영을 보이는 것이 정상소견이다.

 

그런데

 

지방간 소견이 되면 다음과 같이 변하게 된다.


 


This is the typical appearance of fatty liver disease, also called hepatic steatosis, on ultrasound. The three main findings of fatty liver disease on ultrasound are 1) increased echogenicity as compared to the adjacent kidney (which must be measured at the same depth), 2) decreased acoustic penetration, and 3) decreased conspicuity of the hepatic veins. The liver can also be increased in size with fatty liver disease, and certain areas of focal fatty sparing can be noticed, particularly around the gallbladder fossa.

 

 

 

* 임상양상은 원인, 지방축적의 정도, 축적 속도 등과 관련

(대부분 증상은 없음, 검사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원인이 교정되지 않으면

fatty liver (simple steatosis) --> steatohepatitis -->

steatohepatitis + fibrosis --> cirrhosis --> HCC로 진행 가능 (간암)

 

2. 분류& 원인

(1) Macrovesicular Type (m/c)

주로 만성적인 문제들과 관련

*원인 - alcohol (m/c), obesity, type 2 DM , hypertriglyceridemia, hepatitis C

           Protein-calorie malnutrition, starvation, TPN, jejunoileal bypass

           Cushing's synd. , Wilson's dz, dysbetalipoproteinemia

           Drugs : Glucocorticoid, synthetic estrogen, methotrexate, aspirin, Vit. A, amiodarone, tamoxifen, CCl4, PI........

 

조직소견: 간세포 내에 large vacuole, 핵은 주변으로 밀려서 압박됨.




Figure.Liver biopsy showing signs of cholestasis with pericentral and pericellular fibrosis

 

보통 간에 손상을 입히지는 않으며, 원인을 제거하면 사라짐, 예후는 좋다.

심한 간섬유로 발전할 수 있는 위험요인

 (연령> 45세, 비만 BMI > or = 30, AST/ALT > 1 , DM)

 

(2) Microvesicular Type 

 

간세포의 지방산 산화 과정에 갑자기 문제가 생긴 경우

 

원인 - Acute fatty liver of pregnancy (AFLP), preeclampsia or HELLP

         소아에서 salicylate overdose, Reye's synd.

         Toxic shock syndrome, Jamaican vomiting sickness, Yellow fever

         Drugs : Valproic acid, tetracycline, NRTI

 

 

조직소견: 간세포 내에 많은 small vacuoloes


 

 

보통 심하며 예후 나쁨 (fulminant hepatic failure 발생 위험 있음)

 

3. 진단

Aminotrasferases : 경도 (simple steatosis) ~ 중등도 (steatohepatitis) 로 증가

AST/ALT > 1 --> Alcoholic fatty liver dz

AST/ALT < 1 --> NAFLD

US, CT, MRI : 간 내의 지방 증가 (simple steatosis 와 steatohepatitis를 구별 못함)

 

간조직검사 (Gold standard) : 대개는 필요 없지만, 치료방침 결정을 위해 확진이 필요한 경우 시행. 그러나 침습적이고 sampling error 가 일어날 수 있음.

 

4. 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z.)

*alcohol 이외의 원인에 의한 지방간 질환으로

 fatty liver (simple steatosis), Steatohepatitis (NASH), fibrosis, cirrhosis 까지를 포함.

 

*metabolic syndrome (복부비만, Type 2 DM, Hypertriglyceridemia, HTN) 과 매우 밀접한 관련

 NAFLD는 metabolic syndrome의 간 증상으로 봄.

 

(insulin resistance가 공통 기전이며 NASH의 거의 모든 예에서 나타남)

 

유병율은  미국기준으로 다음과 같음.

 

 

Non obese

 Obese

 NAFLD

 10~15%

 70~80%

 NASH

 3%

 18~20%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이 있는 사람에서

증상없이 AST, ALT 상승이 있고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간에 지방 축적이나 간비대 소견이 있으면 의심한다.

 

 

* 참고) HCV와 NAFLD의 관계

HCV 감염자의 ~50% 에서 hepatic steatosis 존재

steatosis 의 정도는 fibrosis의 정도 및 간내 HCV RNA level과 비례

steatosis는 antiviral therapy에 대한 반응을 안좋게 함. (SVR과 반비례)

 

 

5. NASH (non- alcoholic steatohepatitis)

 

대부분 무증상, 피로(m/c), RUQ 불쾌감, 간비대 등

aminotransferse 증가, (AST/ALT<1), ALP 약간 증가, 약 1/2에서 ferritin 증가

(ferritin 상승은 insulin resistance의 marker 도 가능)

 

bilirubin과 r-GTP는 대부분 정상

 

15~50%에서 fibrosis, 7~22% 에서 cirrhosis 발생, 일부는 간부전 및 HCC도 발생

 

Fibrosis/LC 발생 위험인자:

비만 (BMI > or = 30), 고령 (>45세) DM, AST/ALT >1

 

진단기준

 

 A. 간조직검사 : 지방간염 -- 병리소견은 alcoholic hepatitis와 비슷 ///

macrovesicular steatosis, 염증세포침윤, hepatocytic necrosis, ballooning degeneration, perivenular & perisinusoidal fibrosis

 B. 의미있는 음주력이 없어야 함. (40 g/week 이하의 ethanol 섭취)

 C. 바이러스, 약물, 자가면역 등 다른 간염의 원인 R/O

 

6. 치료

 

원인 제거 및 생활습관개선 (ex, 체중 감량, 지방섭취 제한, 운동) 이 중요

-급격한 체중감량은 피함. (왜냐하면 간경변, 및 담석 발생율이 높아지기 때문) --> <1.6kg/week 정도)

 

 

NASH/NAFLD의 정해진 치료 약물은 아직 없음 ( metabolic synd 치료와 비슷)

 

-PPAR-r inhibitor : thiazolidinedione (ex pioglitazone, rosiglitazone)

 -> insulin sensitivity 향상, hepatic stellate cells 활성화 억제, 조직학적 개선의 효과가 있다.

(PPAR은 peroxidator proliferator-activated R. 로, 간내 지방침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수용체이다.)

 

-TNF-a inhibior (pentoxyfylline)2015년 NEJM 연구논문결과 팬톡시필린은 알콜성 간염에 효.과.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antioxidants (Vit. E), hyperlipidemia 치료제 (statin)

 혈당강하제 (ex, metformin), S-adenosyl methionine, arlistat (lipd 흡수 억제제) 등도 도움

 

- ursodiol (ursodeoxycholic acid, UDCA)는 별 도움 안됨 즉 우루사는 도움 안됨.

 

- 약물치료에 반응 없는 심한 비만의 경우는 bariatric surgery 고려

 

c.f. ) alcoholic hepatitis는 elective surgery의 금기지만, fatty liver는 금기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