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정맥류의 내시경 소견과 분류 합병증(식도정맥류) / B형간염/간경화/간암 자료실
http://blog.naver.com/kimyhkimyh/220881760412
원본출처 :
아래는 제 처가 며칠전(12월4일 일요일) 복부 통증과 복수가 빠지지 않고 혈압이 지나치게 떨어져(수축기 최고혈압 70,확장기 치저혈압 30) 삼성병원 응급실에 래원하여 중환자실(3일간), 일반병실(현재:12월 9일)에 입원하여 현재 치료중에 있습니다.
그러던중 대변 색이 너무 까만색이라며 장기출혈(식도정맥류출혈이나 위정맥출혈)이 의심된다며 변 잠혈검사와 식도정맥, 위정맥 내시경을 12월 7일 시행한바가 있습니다. 결과는 다행히 식도나 위장의 정맥출혈은 보이지않는다고 나왔습니다.그런데 오늘 아침 주치의(암쎈터 백승운 교수님) 회진시 식도정맥류 혈관 상태는 F1등급으로 매우 좋은 상태라고 하시며 지금까지 식도정맥류 출혈을 예방하기위해 복용해오던 혈압강하제 인데놀 10mg은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기쁜 소식에 도대체 식도정맥류 혈관 상태가 F1등급 이면 어떤 상태인가가 궁금하여 온라인에서 검색해서 찾아본 내용입니다. (제 처의 식도, 위, 정맥 실제 내시경사진은 퇴원시 복사해와 직접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각 등급별 사진의 내용이 선명하게 잘 나와 있고 혈관의 형태,발적상태,색조,출혈,점막상태에 대한 모든 내시경적 소견의 이미지가 상세하게 나온게 있어서 스랩하여 찾아본것인데 식도정맥류 환자분이나 보호자분들께는 좋은 자료가 될것같아 포스팅하여 올려드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기도하는 마음
* 간경변이나 간문맥혈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식도정맥류의 내시경 소견과 분류에 대해 요약한다.
▲ 식도정맥류 내시경 소견 기재 기준(일본문맥압항진증 취급규약, 2004)
항목 | 소견 |
위치 (Location) | Ls : 상부 식도까지 Lm : 중부 식도까지 Ll : 하부 식도까지 |
형태 (Form) | F0 : 치료 후 사라진 경우 F1 : 직선상의 가는 정맥류 F2 : 연주상의 중등도 정맥류 F3 : 결절상, 종류상 정맥류 |
색조 (Color) | Cw : 백색 정맥류 Cb : 청색 정맥류 |
발적 소견 (Red Color sign) | RC0 : 없는 경우 RC1 : 국한성 소수의 발적 RC2 : RC1과 2 사이 RC3 : 전주성 다수 발적 |
출혈 소견 | 용출성, gushing 분출성, spurting 삼출성, oozing 혈전, red plug, white plug |
점막 소견 | 미란, erosion 궤양, ulcer 흉터, scar |
⊙ 형태
F1 : 가는 굵기의 직선형 정맥류
F2 : 구불구불한 염주 모양으로 내강의 1/3 미만
F3 : 결절형, 종괴형으로 내강의 1/3 이상 차지
⊙ 색조
Cw : 백색 정맥류
Cb : 청색 정맥류
⊙ 발적 소견의 형태
√ Red whale markings
√ Cherry red spots
√ Hematocystic spots
⊙ 발적의 정도
RC1 : 국한성으로 소수만 관찰되는 경우
RC2 : RC1과 2 사이
RC3 : 전주성으로 다수 관찰되는 경우
▲ 내시경 소견 기록하기
⊙ 기록 순서 : Location, Form, Color, RC sign
예) Lm, F2, Cb, RC1
⊙ 내시경 소견 기록해보기
환자1) 아래 내시경 사진을 보고 소견을 기록해보세요. 단, 정맥류가 식도 중간부위까지 관찰됨.
환자 2) 아래 내시경 사진을 보고 소견을 기록해보세요. 단, 정맥류가 식도 상부까지 관찰됨.
⊙ 상기 내시경 소견의 기록
환자 1) : Lm, F2, Cb, RC0
환자 2) : Ls, F3, Cb, RC3
'건강정보 모음 > 간경화&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의 해부학적 구조 및 혈관의 구조도 (0) | 2016.12.19 |
---|---|
간암 고주파 열치료 우리나라가 선도 (0) | 2016.12.12 |
골다공증 치료제 K2 간암 재발 방지에 특효 (0) | 2016.12.06 |
간암이 재발 되는 이유 (0) | 2016.12.03 |
새로운 치료방법! 동맥내 카테터 색전술 (0) | 2016.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