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간경화증의 합병증 - 식도정맥류

암사랑 2014. 4. 27. 15:26

 

 

 

간경화증의 합병증 - 식도정맥류

 

간경변증의 합병증

식도정맥류

 

간경화란?

“피가 간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는 병”입니다.

그로 인해 나쁜 증세와 합병증이 오는 병입니다.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세포 파괴와 섬유화로 간장 내부에 혈류장애가 와서 문맥압이 항진되어 문맥혈이 간장으로 쉽게 들어가지 못합니다.

 

  그러면 문맥혈의 일부는 위, 식도, 복부, 직장 등의 다른 길로 우회하여 심장으로 갑니다.

  문맥혈이 간으로 가지 못하고 우회하여 식도정맥으로 가면 자연히 식도정맥은 많아진 혈액량으로 압력이 높아집니다.

 

  이렇게 되면 식도 중·하부와 위 상부에 있는 작은 혈관들이 조그맣게 혹처럼 튀어나와 풍선처럼 터질려고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이런 상태를 식도정맥류라 합니다.

이 혈관은 혈관 벽이 얇은 데다, 물에 적신 창호지같은 얇은 점막으로 덮여 있어 압력에 약하고 쉽게 손상을 받습니다.

 

  한 보고서에 의하면 이 식도정맥류는 기침이나 심한 재채기에도 파열될 수 있다 하니 자극에 얼마나 약한지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맥압 항진으로 식도, 위, 십이지장 점막의 혈액이 정체되면 점막벽에 산소와 영양분 등이 잘 공급되지 않아 점막의 방어시스템이 저하되어 간경변증 환자는 딱딱하고 거친 음식을 먹다가 점막에 쉽게 상처가 나기도 하고, 위·십이지장염이나 궤양이 잘 생깁니다. 그리고 그 부위가 출혈을 하면 혈소판, 프로트롬빈 등 혈액응고 물질이 부족해 출혈이 잘 멈추지 않습니다.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간장은 간세포 파괴와 섬유화로 더 굳어져 문맥혈은 더욱더 간장으로 들어가기가 어려워지고 식도정맥으로 가는 양이 많아집니다. 결국 문맥압은 높아지고 식도정맥류는 많아지고 커집니다.

  이 때문에 딱딱하거나 거친 음식, 지나치게 차거나 뜨거운 음식, 또는 맵고 짠 자극성 음식은 매우 위험하고 해롭습니다.

 

특히 위·식도정맥류가 있을 경우에는 부풀어 오른 혈관이

 ① 딱딱하고 거친 음식과의 마찰로 상처가 나거나

 ② 흥분, 격분, 격동 등 각종 스트레스로 혈압이 상승하거나

 ③ 변비 등으로 대변 볼 때 힘을 준다든가 하면

 위·식도정맥류가 터져 대량 출혈로 생명이 위태롭게 됩니다.

 (위·식도정맥류 파열)

 

  식도정맥류가 터져 과량의 피가 나오면 토하기도 하고 붉은 피 색의 대변을 누지만, 소량의 피가 나오면 토하지 않고 위 속으로 가 붉은 색의 피가 위산에 변색되어 대변과 섞여 자장면 색과 같은 검붉은 색의 대변이 나옵니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간경변증 환자의 약 1/2 가량이 식도정맥류가 있고, 식도정맥류가 있는 환자의 약 40%가 그 출혈로 2년 이내에 사망한다고 합니다.

  또한, 식도정맥류가 파열된 사람의 약 30%가 출혈 즉시 사망하고, 60% 정도는 수개월 안에 재출혈하는 무서운 합병증입니다.

  그리고 식도정맥류 출혈이 간환자 사망률의 약 60% 정도를 차지할 정도이니 간질환의 가장 높은 사망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간경변증이 심해질수록 식도정맥류 파열의 위험은 커지고, 설사 식도 정맥류 파열이 아직 없다 해도, 위·십이지장염이나 궤양 등으로 위장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식도정맥류 출혈은 매우 위급한 상황이므로 지체 없이 큰 종합병원으로 가 적절한 응급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응급치료가 늦어지면 혈압이 내려가 산소부족 등으로 간은 물론 뇌, 신장, 심장 등이 나빠져 매우 위험합니다.

  특히 알콜성 간경변증 환자는 이 식도정맥류 파열에 의해 사망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니 전문의를 찾아 더욱 예방치료에 힘써야 합니다.

 

☞중요

식도정맥류는 많고 적고, 크고 작고 상관없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특히 알콜성 간경변증일 경우에 거의 이 식도정맥류 파열로 사망하게 되니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대안

‘먹고 자고, 먹고 자고’를 반복하면서, 늘 웃고 바보죽을 1일 5-8회로 조금씩 여러 번 나누어 드십시오.

그리고 녹즙이나 락툴로오즈시럽 등을 이용하여 대변을 딱딱하지 않게 부드럽게 1일 3회 이상 보아야 합니다.

☞중요

간경변증 환자의 식도정맥류 파열은 이렇게 매우 위험하나,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니 정기적으로 전문의를 찾아 내시경 검사 등을 해서 식도정맥류가 있으면 식도정맥류 파열의 예방에 힘써야 하고 전문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

 

                                                               -<간경화, 암 나으려면 바보가 되세요!>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