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간이 왜 안 좋다는 거죠?
건강검진으로 초음파 검사를 받아 본 사람이라면,
지방간이 있다는 얘기를 들어본 경우가 꽤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지방간이 무엇인지
왜 안 좋은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
지방간은 말 그대로 간에 지방이 낀 것입니다.
그림에서 뱃살 나온 것과 비교를 하고 있는데
뱃살이 나온 사람들은 뱃살에 대해서 거부감이 없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오히려 포근한 인상을 준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는데,
뱃살이 나온 것은 대사 증후군과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그냥 웃고 넘어갈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간에 낀 지방은 배에 낀 뱃살보다 훨씬 직접적으로
간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가볍게 여겨서는 안됩니다.
![]() |
뱃살이 나오는 것은 복부 피하지방에 있는 지방세포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이라고 하면, 지방간은 간세포 하나하나 내부에 지방이 들어가는 것입니다.
![]() |
간을 간세포로 이루어진 덩어리라고 묘사할 수 있는데,
이 세포 하나하나 안에 중성지방이 들어가는 것입니다.
![]() |
결국 지방간이 방치되면 지방간염으로 진행하게 되고
![]() |
지방간염은 간섬유화로 이어집니다.
섬유화란 딱딱해진다는 것인데,
피부에 난 상처가 아물면서 딱딱해지는 것에 빗대어 볼 수 있습니다.
간이 그렇게 된다면…
![]() |
간섬유화는 간경화로 진행됩니다.
간경화에서는 간이 오돌도돌해집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무서운 것은 간세포암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고
![]() |
간경화가 진행되면 간부전 (간 기능 shut down)으로 이어져서
간이식을 하지 않는다면 사망하게 될 정도가 됩니다.
“지방간의 가장 큰 원인은 술”
![]() |
지방간의 가장 큰 원인은 술입니다.
결론은, “술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간이 망가진다”입니다.
술이 간에 안 좋은 이유를 원리에 입각해서 설명한 것이
아래 내용인데 어렵다면 건너뛰셔도 좋습니다.
![]() |
간세포의 알코올 분해효소 (ADH)와 사이트크롬 P450 2E1이
에탄올을 분해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만듭니다.
![]() |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효소(ALDH)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아세테이트로 분해합니다.
![]() |
그런데 알코올 섭취가 과다하면.. 이 효소들이 빡시게 일하는 와중에
![]() |
아세트알데하이드와 활성산소(ROS)가 과다로 배출되고
항산화물질은 소모되어 버립니다.
![]() |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숙취의 원인 물질로 그 자체로 독성이 있고
활성산소 또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간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습니다.
![]() |
또한 알코올은 장점막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면서 장 내 세균에서 나온
내독소(LPS, lipopolysaccharide)가 혈류로 스며들고
결국 간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 |
간도 나름의 방어 체계가 있습니다.
쿠퍼세포는 간으로 유입되는 유해물들을 처리하는 세포인데
![]() |
쿠퍼세포가 활성화될 때 TNF-α, IL-1, IL-6, TGH-β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생성되게 됩니다.
![]() |
이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간에 영향을 미치면서
지방간, 지방간염, 간섬유화, 간경화로의 진행을 촉진하게 됩니다.
-여기까지 좀 어려운 설명 끝-
![]() |
이런 터무니 없는 얘기는…. 넘어가도 되죠?
“술만 지방간을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 |
비만, 제 2형 당뇨병, 고지혈증 흔히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질환이 있다면
술이 아니더라도 지방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물론 비만, 당뇨, 고지혈증이 있다고 지방간이 있는지 바로 확인하고 그러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건강검진 초음파에서 지방간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간수치가 오르는 등 변화가 감지되면 지방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여담으로, 최근에는 간의 섬유화 정도만 측정하는 기계도 도입이 되고 있어서 지방간 진단에 조금씩 변화가 올 기미가 보이고 있습니다.
![]() |
사실 가장 정확한 검사는 조직검사입니다.
직접 세포 하나하나 확인하는 것입니다.
![]() |
![]() |
하지만 직접 간조직을 떼내야 하므로 출혈, 기흉, 혈흉 등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겠죠. 따라서 비침습적인 진단법을 선호하긴 합니다.
'건강정보 모음 > 간경화&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염→간손상 이어지는 원리 찾았다 (0) | 2020.01.10 |
---|---|
지방간 예방한다고 체중 급격히 줄이면 오히려 간 손상 위험 (0) | 2020.01.09 |
"구충제 장기복용하면 간기능 장애, 혈액 장애 등 부작용" (0) | 2020.01.09 |
간암 치료제 개발에 한발…포스텍 연구팀 암세포 조절인자 발견 (0) | 2020.01.08 |
색전술 불응 간암에 또 색전술?…발목잡힌 소라페닙 (0) | 202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