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B형 간염바이러스 제거 신규 단백질 발굴
국내 연구진이 만성 간염의 주원인인 B형 간염바이러스(HBV)를 제거하는 단백질을 새롭게 발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균환 교수·김두현 박사·박은숙 교수(건국대학교) 연구팀이 사람의 간세포를 이용해 B형 간염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신규 단백질을 발견하고 그 제거 원리를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사이토카인(종양괴사인자 및 인터페론)에 의해 인터루킨-32라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바이러스 제거에 관여하는 일련의 원리를 발견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만성 간염의 주원인인 B형 간염바이러스(HBV)를 제거하는 단백질을 새롭게 발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균환 교수·김두현 박사·박은숙 교수(건국대학교) 연구팀이 사람의 간세포를 이용해 B형 간염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신규 단백질을 발견하고 그 제거 원리를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사이토카인은 세포로부터 분비된 후 세포 자신이나 다른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백질로서 인터페론, 인터루킨, 종양괴사인자 등이 포함된다.
연구팀은 사이토카인(종양괴사인자 및 인터페론)에 의해 인터루킨-32라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바이러스 제거에 관여하는 일련의 원리를 발견했다.
인터루킨-32는 바이러스의 전사와 복제를 직접 막아내는 강력한 항바이러스 단백질이다. 기존의 다른 인터루킨들과 전혀 달리 외부에 분비되기보다 간세포 내부에서 신호전달을 조절함으로써 바이러스를 제거한다는 점이 새롭게 규명됏다.
이번 연구는 인터루킨-32가 바이러스성 간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으며 향후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균환 교수는 “종양괴사인자와 인터페론-감마가 어떤 단백질을 매개로 B형 간염바이러스를 간세포 손상 없이 제거하는 지에 대한 분자적 기전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향후 만성 B형 간염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수년간 지속적인 치료제 개발에 대한 다각도 노력의 결실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8월 16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연호 (dew9012@edaily.co.kr)
'건강정보 모음 > B&C형 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간염 주사, 맞아도 소용없는 경우 있다 (0) | 2019.07.22 |
---|---|
B형간염 내성 환자, 약 하나만 써도 된다 (0) | 2019.07.19 |
만성 B형간염 환자, 비만하면 간암 위험 34% 높아 (0) | 2019.07.18 |
'옵디보' 간암치료제서 쓴 맛… '온패트로'는 달콤한 신약의 꿈 (0) | 2019.07.17 |
B형 간염, 완치의 실마리를 찾다. (0) | 201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