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복수&부종&황달

배설계(신장생리, Renal physiology)

암사랑 2017. 3. 7. 06:11

배설계(신장생리, Renal physiology) 신장/담낭/담관/췌장/담석 / 간염/간경화/간암 자료실


복사 http://blog.naver.com/kimyhkimyh/220889123204

                                                                  

배설계(신장생리, Renal physiology)


1. 신장의 역할

 

체액의 수분 양과 염분(이온) 농도를 조절, 항상성 유지. 노폐물을 걸러내어 혈액을 정화 (매일 1.5L정도의 오줌을 거름)

 

※ 구성

1) 혈관계: 신장동맥 → 신장(모세혈관) → 신장정맥

2) 오줌: 신장 -> 수뇨관(ureters) → 방광(urinary bladder) → 요도(urethra) → 방뇨


2. 신장 (콩팥 kidney)

  

▲ 피질(cortex), 수질(medulla), 신배(major calyx), 신우(renal pelvis) 주목

 

매일 1100 - 2000 리터의 혈액이 신장을 지나가고 이중 180리터가 여액(filtrate)으로 방출됨. 물, 요소, Na+, Cl-, K+, HCO3-, 포도당, 아미노산 등이 포함됨. 재흡수되지 않는다면 생존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 손실이 너무 큼. 여액 중 주요 물질 대부분을 재흡수(reabsorption)하여 오줌을 농축시키게 됨.

 

1) 신장피질(renal cortex)과 신장수질(renal medulla)

여액은 신장피질에서 수질을 지나 신배(calyx)로 모아짐. → 신우 -> 수뇨관을 통해 방광으로 이동하여 저장됨.

 

2) 네프론(nephron)

 

- 보먼주머니(glomerular capsule, Bowman's capsule)

* 근위선회소관(proximal convoluted tubule)

* 네프론고리(헨리고리, loop of Henle):

(1) 하행각(descending limb)

(2) 상행각(ascending limb)

* 원위선회소관(distal convoluted tubule)

* 집합관(collecting duct)

 

- 혈관계

도입소동맥(afferent artery)

사구체(glomerulus)

도출소동맥(efferent artery)

소관모세혈관(peritubular capillary, vasa recta)

 

신장소정맥 → 신장정맥

 

3. 신장에서의 대사과정

 

1) 기본 개념

신장에서는 여과(혈액 -[대부분의 물질]-> 여액), 재흡수(여액 -[물과 포도당, 염류, 아미노산]-> 혈액), 분비(혈액 -[K+, H+]-> 신소관), 배설등이 일어난다.

 

2) 과정

 

- 사구체(여과) 

도입소동맥 내의 혈구, 단백질, 호르몬, 혈장단백질 등을 제외한 대부분 물질들은 사구체에서 보먼주머니로 이동

 

- 근위선회소관 in 신장피질(재흡수)

대부분 물질들을 재흡수함

 

* 포도당, 아미노산, 비타민, Na+는 능동수송으로 이동, Cl-는 Na+따라감. (Na+, Cl-는 약 80%정도 재흡수)

* H2O, HCO3-은 수동수송으로 이동.

* 기타 노폐물(sulfate, phosphate, urea, uric acid, creatine)은 극소량이 재흡수.

* 반대로 암모니아, 약물, H+등은 능동수송을 통해 분비.

 

네프론고리(헨리고리; 신장수질)

* NaCl과 수분만 재흡수 일어남(능동수송&수동수송)

※ 하행각에서는 NaCl이 통과하지못하므로 H2O만 흡수, 상행각에서는 반대의 경우

 

- 원위소관(신장피질)

* NaCl, HCO3-은 능동수송을 통해 재흡수.

* 약제, 독성물질, K+, H+는 능동수송을 통해 분비.

* 항이뇨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ADH

vasopressin등이 있으며 체액 내 용질농도가 너무 높을 경우 갈증이 발생하고 삼투조절중추가 ADH 분비를 증가시킨다. ADH는 원위소관 및 집합관에 작용하여 수분 재흡수 촉진시킨다.

 

- 집합관(신장수질)

* NaCl 재흡수(능동수송)

* 수분 재흡수(수동수송)

*미량의 요소 재흡수(수분 이동과 더불어수동수송)

 

- 배설

신배 -> 수뇨관 -> 방광


※ 배뇨촉진제의 원리

집합관에서의 수분흡수율을 낮춘다.

 

4. 체액(수분) 조절: ADH 및 angiotensin II에 의한 조절

 

1) 조절 기전

  

2) Renin & angiotensin II생성

 

- 간: angiotensinogen을 혈액으로 분비

- 신장의 juxtaglomerular apparatus(방사구체): renin 분비

- 폐: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분비 -> 혈액 내에서 최종적으로 angiotensin II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