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kimyhkimyh/220809956069
HCV Ab(C형 간염 항체 검사), HCV RNA정량(C형 간염 핵산 검사)
* HCV Ab(C형 간염 항체 검사)
1. 참고치 : Negative(1.0 index 이상)
2. 검사법 : EIA
3. 검체 : 혈청 0.5 mL
4. 검사목적
C형 감염 진단 및 병태나 예후 파악, 치료 효과의 판정
5. 임상적 의의
HCV는 flavivirus에 속하는 single straand RNA이며, 과거에 nonA nonB형 간염의 한가지 원인이라
고 추정해왔던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이다.
정맥 주사용 마약투여나 수혈에 의해 옮을 수 있고, 수직 감염도 될 수 있다.
HCV 항체는 중화항체가 아니므로 항체측정은 직접 바이러스를 증명하는 것은 아니지만 양성이 경우
감염상태인 C형 간염을 생각할 수 있다.
현증감염의 여부는 HCV RNA검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다.
고치질환 : C형 간염, 수혈수 간염(반수이상), 간경변, 간세포암, 만성 간염
6. 유의사항
Index값이 매우 낮을 경우는 위양성일 가능성이 있다.
감염여부는 HCV RNA검사로 확인을 해야한다.
HCV 항체 검사는 만성 C형 간염환자의 선별검사로 유용하지만, 혈액 투석환자 및 면역기능이 저하
된 환자에서는 HCV RNA가 양성임에도 불구하고 위음성이 나올 수 있다.
* HCV RNA정량(C형 간염 핵산 검사)
1. 검사법 : PCR
2. 검체 : 혈청 2.0 mL
3. 검사목적
C형 간염 진단 및 Interferon 치료효과 판정
4. 임상적 의의
PCR에 의한 HCV 바이러스 검출은 진행성인 감염의 지표를 제공한다. PCR을 사용함으로써 면역학
적 혈청 병이에 앞서 HCV 바이러스혈증을 진단하고 인터페론 치료를 받는 항체 양성인 만성 HCV 환
자에서 바이러스혈증의 변이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HCV RNA를 직접 증폭하기 때문에 환자
의 면역학적 상태와 독립적이며, 면역저하 환자의 HCV RNA의 측정에도 유용하다.
5. 유의사항
혈청 HCV RNA농도는 항바이러스 치료에 대한 반응 예측인자로 인정되고 있다. 항바이러스 치료 전
에는 유전자형에 관계없이 HCV RNA정량검사와 유전자형검사를 권고한다. 유전자 1형인 경우 초기
바이러스 반응여부를 보기 위해 치료 12주째에 HCV RNA정량검사가 권장되나, 유전자형이 2,3형인
경우에는 권장되지 않는다.
[ HCV 항체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 ]
1) 급성 및 만성 C형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
2) HCV 감염 양성인 공여자로부터 수혈받은 사람
3) 공여자에 대한 HCV 선별검사가 시행되기전에 혈액이나 핼액성분제제를 수혈받거나 장기이식을
받은 사람
4) 혈우병 환자
5) 혈액 투석 환자
6) HCV감염자와 성접촉을 가진 경우
7) HCV에 감염된 산모에서 태어난 어린이
8) 정맥주사 약물 남용자 혹은 그러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
9) HIV 감염자
10) HCV 양성인 혈액에 오염된 주사바늘에 찔리거나 점막에 노출된 보건 의료 종사자
11) HBV와 HCV의 중복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 HCV RNA 정성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 ]
1) HCV 항체 양성자
2) HCV 항체가 음성인 원인 미상의 간질환을 가진 환자 중 혈액투석 중이거나 면역기능이 저하된 경
우
3) 급성 C형 간염이 의심되는 경우
4) 항바이러스 치료 종료시와 종료 24시간 후, 이후 추적관찰 중 임상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HCV RNA 정량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 ]
1) HCV 유전자형이 1형인 경우, 항바이러스 치료 전과 항바이러스 치료 12주째 초기 바이러스 반응
(early virologic response, EVR)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경우
2) 1형 이외의 유전자형을 가질 경우에도 항바이러스 치료전에 HCV RNA정량 검사를 가급적 시행하
는 것을 권장한다.
'건강정보 모음 > B&C형 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 간염 바이러스 억제로 간암 재발방지 (0) | 2016.10.22 |
---|---|
만성B형간염, 진단과 치료의 최신지견 (0) | 2016.10.06 |
B 형 간염에 대해서 (0) | 2016.09.13 |
심평원 심의사례 공개 "신장기능 장애 시 약제 교체 타당" (0) | 2016.08.23 |
B형간염 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세포를 손생시킬까? (0) | 2016.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