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논문]간세포 암의 중간 단계(B단계)에 있는 환자들의 치료결과의 미충족

암사랑 2016. 9. 8. 16:34
[논문]간세포 암의 중간 단계(B단계)에 있는 환자들의 치료결과의 미충족



복사 http://blog.naver.com/kimyhkimyh/220800521808


전용뷰어 보기



논문출처 : http://210.101.116.28/W_files/kiss8/27407568_pv.pdf


간세포 암의 중간 단계(B단계)에 있는 환자들의 치료결과의 미충족

[The Unmet Needs in Intermediate Stag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김지훈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Ji Hoon Kim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Seoul, Korea 

잠시만....

본문중의 약어나 도표에있는 약어들은 본문 맨 아래에 설명해 놓았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빨간색으로 표시된부분들은 제가 읽던중 다소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표시해놓은것들입니다. =>기도하는 마음

서론 

간세포암종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암종 중 하나이며 2013년 중앙암등록본부의 통계에 따르면 2011년 발 생한 암종 중 간세포암종은 7.6%로 전체 발생 암종중 5위를 차지하고 있다. 1 간세포암종의 치료 성적은 여타 암종 에 비해 나빠서 1993~1995년 발생한 국내 간세포암종환자의 5년 관찰생존율은 10.7%에 불과했다. 그러나, 최근 의 간세포암종의 진단, 치료의 발전으로 1996~2000년, 2001~2005년 및 2007~2011년의 국내 간세포암종 환자의 5 년 관찰생존율은 13.2%, 20.2% 및 28.6%로 계속 증가하는 양상이다. 1 하지만,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며 많은 간 세포암종의 진단과 치료의 발전에도 괄목할 만한 생존의 향상을 보이지 못하는 것은 환자의 대부분이 만성 간 염이나 간경변증을 동반함으로써 다른 암종과 달리 동반된 간질환과 간기능을 동시에 고려하고 치료해야 하는 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고형암의 치료는 종양의 진행정도에 따라 생존율이 결정되어 종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병기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수술적 치료로 근치를 추구할 수 있는 경우를 확인하고 치료 방침을 정할 수 있으므로 대체적으로 균일한 치료를 시행하고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간세포암종은 기저 간기능 이 중요한 예후 결정 인자여서 환자의 잔존 간기능과 종양 진행을 모두 고려하여 병기를 설정하고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한다.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가장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는 병기 결정 방식은 바로셀로나 그룹이 제창한 BCLC 시스템이다. 2 이는 종양의 크기, 수, 혈관침범, 림프선 침범 등 간외전이의 종양의 진행정도와 Child-Pugh 분류를 통한 잔존 간기능 그리고 활력지수 (Performance score)를 포함한 병기 방식이다. BCLC 시스템은 5가지 병 기를 나눌 뿐 아니라 그에 따른 치료 방식에 대한 제안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을 제창한 유럽에서조차 very early stage (BCLC 0)의 44.5%, early stage (BCLC A)의 46%, intermediate stage (BCLC B)의 32%, advance stage(BCLC C)의 35%, terminal stage(BCLC D)의 45.5%에서 BCLC 시스템을 따르지 않고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 할 만 큼 많은 제한점을 가진다. 3 이 중 intermediate stage, BCLC B는 활동지수가 0 또는 1의 암 관련 증상이 없거나 경한 정도인 환자에서 Child-Pugh 등급 A 또는 B를 포함하며 종양은 단수에서 5cm 이상이거나 복수 일 때는 3개 이상 이거나 그 중 하나가 3cm을 넘는 환자 모두를 포함하는 매우 광범위한 환자군을 대변한다. 특히, BCLC B의 환자 는 경동맥화학색전술만을 권고되는 치료법으로 제안하고 있는데 실제 임상에서 수술, 고주파 소작술, 경동맥색 전술과 고주파소작술등의 복합 치료 등 다양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제안되고 있는 경동맥화학색 전술의 여러 제한점과, BCLC B 환자는 다양한 잔존 간기능과 종양 진행 정도를 포함한 매우 불균일한 환자들이 포함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intermediate stage의 환자에서의 치료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본고에서는 intermediate stage, BCLC B 환자의 생존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하고 해결 되어야 할 문제들을 살펴 보고자 한다


Intermediate stage와 경동맥화학색전술 


간세포암종에서 지금과 같은 리피오돌을 이용한 경동맥화학색전술이 정착되기 시작한 것은 1979년 일본의 Nakamura가 리피오돌에 항암제를 섞어 사용하면서 부터이며 1980년대에 접어 들면서 경동맥화학색전술이라 는 이름으로 정립되며 널리 사용되었다. 4 하지만 20년이 지나도록 경동맥화학색전술은 간세포암종 치료에서 생 존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치료로 받아들여지지 못하였다. 2000년에 접어들면서 무작위 조절 연구에서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에 비해 생존 기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이 확인 되었고5, 6 메타연구에서도7, 8 효과적인 치 료임이 보고되었다. 현재는 간세포암종 환자의 초치료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치료가 경동맥화학색전술이 며9 다양한 병기와 잔존 간기능을 가진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경동맥화학색전술은 몇 가지 제약 사항 을 갖는다. 먼저 병기면에서 그 효과를 충분히 인정 받는 경우가 제한되고 있다. 실제 무작위 조절 연구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환자의 87.5%가 BCLC B 병기의 환자였으므로 BCLC 시스템에서는 경동맥화학색전술의 적응증을 BCLC B로 한정하고 있다. 2 하지만, 경동맥화학색전술의 효과를 인정 받는 BCLC B 는 잔존 간기능면에 서 Child-Pugh A와 B환자를 모두 포함하는데 이들 모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적용하는 것에는 증거가 부족 한 측면이 있다. 7개의 무작위 연구의 메타 분석을 통해 경동맥화학색전술의 유효성을 확인한 연구에서7 ChildPugh B 이면서 경동맥화학색전술 치료를 받은 환자는 50명정도로 10% 정도에 지나지 않아 현재까지의 연구들 이 Child-Pugh B 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의 정당성을 부여하기는 어렵다. 그런 이유로 미국이나 유럽의 간 세포암종 가이드라인에서는 경동맥화학색전술을 Child-Pugh A나 Child-Pugh B 7점 이하로 한정짓고 있다. 2, 10 경동맥화학색전술의 치료반응에 있어서도 제한점이 따르는데 초기의 무작위 조절 연구에서는 객관적 반응률을 37.5%-42% 정도로 보고하였다. 5, 6 최근 간세포암종의 치료 반응 분석에서 기존의 RECIST나 WHO 방법에서 충분 한 반응을 평가하지 못한다는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EASL11 이나 modified RECIST12 방법을 이용하면 객 관적 반응률은 58%-64% 정도로 평가되고13, 14 이러한 반응 평가가 기존의 RECIST나 WHO 방법에 비해 환자의 예후를 잘 평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14 하지만 결국 40% 정도의 환자는 경동맥화학색전술을 받아도 충분한 효과 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실제 경동맥화학색전술은 4-8주 정도의 간격으로 반복 시행되는 고식적 치료 로 분류되고 있는 제한점도 가진다. 여기에 더하여 경동맥화학색전술은 60% 이상의 환자에서 색전술후 증후군 (post embolization syndrome)을 가지며 간농양, 신기능 저하, 상부소화관 출혈, 담도손상, 혈관 손상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간부전도 0-48.6%까지 나타날 수 있다. 15 치료 방법에 있어서도 최근 여러 항암제를 복합하는 경우 더 생존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연구가(반대 22358993) 발표 되기도 했으나16 복합 요법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고, 17 경동맥화학색전술에 사용되는 약제, 방법, 색전물질 그리고 시행 간격의 결정 등에서 어 떤 것이 효과적인가에 대한 연구가 거의 되어 있지 않아 기관마다 경동맥화학색전술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되 고 있어 실제적인 효과의 비교를 어렵게 하고 있다.


Intermediate stage 간세포암종 환자의 예후 향상


임상연구가 아닌 임상에서의 자연경과를 확인하기위해 치료를 거부한 48명의 BCLC B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연구에서 1년, 3년, 5년 생존율은 80%, 50%, 16% 라고 보고되었다. 18 임상연구가 아닌 실제 임상 현장에서 의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한 환자의 생존율은, 본원의 초치료로 경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169명의 환자에 서 생존율은 각각 58%, 30%, 14% 였다. 경과에 영향을 주는 나이, 성별, 종양의 크기, 숫자, Child-Pugh 등급의 분포 등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어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이는 BCLC B 환자의 일부는 경동맥화학색전술을 통해 더 나 쁜 결과를 초래했을 개연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151명의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경과를 살펴 본 연구에서19 첫 시술 후 10.1%가 반응을 추적 하지 않았으며 그 중 1명(0.7%)이 사망하였다. 72명이 완전반응을 보 였는데 이중 재발을 보여 치료가 필요한 52명중 5명은 치료를 더 이상 할 수 없을 만큼 간기능이 악화되거나 질병이 진행하여 더 이상 치료를 진행할 수 없었다. 완전반응 이외의 반응을 보여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64명의 환자에서도 27명이 치료를 더 이상 할 수 없을 만큼 간기능이 악화되거나 질병이 진행하여 더 이상 치료를 진행 할 수 없었다. 이를 합쳐 보면 경동맥화학색전술을 1회 시행 받은 후 추가 치료를 받을 수 없을 만큼 간기능이 악화(사망 포함) 되거나 질병이 진행 하는 환자는 21.9%(33/151)에 이른다는 것으로 이는 경동맥화학색전술이 모 두에게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BCLC B 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 외의 치료 를 함으로써 환자에게 더 긴 생존을 유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대안으로 제시 될 수 있는 치료법에는 간 이 식(down-staging후), 수술, 국소 치료술 (고주파 소작술, 알코올 주입술), 새로운 경동맥치료법 (Drug-eluting bead, radioembolization), sorafenib의 사용 그리고 이들 치료의 다양한 복합 치료가 있을 수 있다 (Figure 1). BCLC 시스템 이 제시 되기 전의 환자군을 상당히 포함한 스페인의 연구에서 101명의 BCLC B 환자중 22%가 간이식을, 13%는 수술이나 국소 소작술을, 17%는 radioembolization을 받았으며 10%는 보존적 치료만을 받았다고 보고 하여 임상 에서는 BCLC B 환자에서 여러 치료법을 사용한다는 것을 잘 보여 주고 있다. BCLC 시스템이 정립 된 이후의 환 자군에서 BCLC 시스템에 따른 치료 전략이 유지되는 정도를 확인한 이태리의 연구에서, 3 50명의 BCLC B 환자중 1명은 보존적 치료만을 받았고 30%가 임상 연구에 참여되었는데 그 연구들은 radioembolization, sorafenib 과 고식 적 항암제(capecitabine 또는 irinotecan)을 사용 하는 연구들 이었다. 이는 BCLC 시스템이 정립된 이후의 유럽에서도 BCLC B에서 여타 치료가 더 효과적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음을 보여 주 고 있다 하겠다.

                                              

BCLC B 환자의 예후를 호전시키기 위한 전략은 크게 둘로 나누어 질 수 있다. 하나는 경동맥화학색전술이 가 장 적합한 환자를 선별하고 그 외의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와 그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 는 경동맥화학색전술보다 더 나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적 대안을 찾아내는 것이다 (Figure 1). BCLC B는 다양한 종양 진행 정도와 잔존 간기능을 지닌 환자군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환자군 모두에서 유사한 치료 효과나 예후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초선택적 경동맥화학색전술을 한번 시행했을 때 5cm 이하의 종양은 66%에서 완전반응을 기대할 수 있지만 5cm을 넘는 종양에서는 25%에서만 완전반응이 나타나고 부분 반응을 보인 환자에서 2차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하여도 5cm 이하 종양에서는 55%에서 다시 완전반응을 이룰 수 있으나 5cm 이상의 종양은 여전히 25%에서만 추가적인 완전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보고는 큰 종양은 경동맥 화학색전술으로 만족할만한 성적을 얻을 수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0 Child-Pugh 등급도 경동맥화학색전술을 받는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인자이다. 앞서 설명 하였듯 Child-Pugh B 등급의 환자에서 경동맥화학색전술 의 효과는 증거가 부족하다. Child-Pugh B 환자만을 대상으로 생존을 확인한 연구에서 BCLC B이면서 Child-Pugh B인 환자의 중간 생존기간은 B7에서 9개월, B8과 9에서는 6개월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만 확인 한 경우에는 B7환자는 22개월, B8 환자는 6개월로 B8 이상의 환자에서 예후가 나쁨 을 시사하였다. 21 따라서 균일하지 않은 환자군을 포함하는 BCLC B의 환자군을 적절하게 재분류 하여 그 예후를 구분하고 적합한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대해서 Bolondi 등의22 제안이 있었다 (Table 1). 이 기준은 Child-Pugh 등급, 활동지수, 종양의 크기와 숫자에 따라 4개의 추가적인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그룹에서 유용 할 수 있는 일차적 또는 보조적 치료 선택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Table 1). 그 크기와 숫자에 대해서는 Mazzaferro 등이23 제시한 간이식 확대 기준을 원용하여 최대 종양의 크기와 종양의 숫자의 합이 7을 넘는가에 따라 구분 한다. 하지만 이 기준은 전문가의 의견으로 제시된 것으로 합리적 연구의 추론으로 제시 된 것이 아니다. 최근 Yamakado등은 325명의 후향적 연구를 통해 종양의 개수가 4개 이상이고 7cm을 넘느냐와 Child-Pugh 등급 A이냐 B 이냐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BCLC B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24 앞으로 이들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연 구가 후속으로 쌓여 가면 그 적절성과 제안된 치료 선택의 합리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BCLC B 환자에서 적절한 경동맥화학색전술을 기본으로 하는 치료의 대상을 구분하여 치료를 한다 하더라도 치료 이후에 지속적인 치료를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언제 치료를 중단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현 재까지 경동맥화학색전술을 받는 환자에서 언제까지 치료를 유지할 것인지, 언제 치료 실패로 간주 치료를 전환 할 것인지에 대한 중론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여러 전문가 집단이 다양한 치료 실패의 가이드라인을 제시 하였 으나, 25-27 타당한 연구를 통한 치료 실패의 정의를 규정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김등은 264명의 BCLC B 로 경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후 6개월 이내에 질병이 진행 하는 경우나 6개월 이내에 3 번 이상의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하게 되는 환자에서 예후가 나쁘므로 이를 치료 실패의 기준으로 제시하였 다. 28 최근에는 BCLC A 또는B 환자 중 3개월내에 두번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첫 번째 치료 후의 Child-Pugh의 악화 유무, AST의 25% 상승 유무, 객관적 반응 유무에 따라 전체 점수가 2.5점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두 번째 치료 후 예후가 나쁘므로 첫 번째 치료 후 점수가 2.5점 이상으로 평가되는 환자는 치료 실패로 간주 하자는 연구가 있었으며29 이는 Hucke 등에30 의해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앞으로 이에 대한 다양한 타당성 검 증 연구가 있다면 치료 실패에 대한 중론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Sieghart등은29 치료 실패로 정의되는 환자는sorafenib을 사용할 것을 권하기는 하였으나 치료 실패를 정의한다 해도 그 후 어떻게 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를 개 선시킬 수 있을 까 하는 것은 거의 연구된 바가 없어 향후에는 치료 실패 후의 적절한 치료 방향에 대한 비교 연구 가 절실 하다. BCLC B의 환자에서 초치료로 기존의 경동맥화학색전술보다 더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연구나 치료 실패 후에 전환할 수 있는 치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BCLC B 환자를 잘 구분한다 하더라도 어떤 치료를 하 는 것이 더 적절한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고 기존의 경동맥화학색전술을 하면서 불충분한 치료 효과를 보 인 환자를 최근의 기준으로 치료 실패로 정의한다 하더라도 역시 그들에서 향후 어떤 치료를 어떻게 진행해 나 가야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궁금증은 남아 있다. 현재로써 생각할 수 있는 치료는 매우 다양하며 (Figure 1) 이 들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정보가 축적 될 것으로 보인다. 경동맥화학색전술과 비 교한 drug-eluting beads(DEB)를 이용한 경동맥화학색전술은 2상 연구라는 약점은 있으나 Child-Pugh B 환자와 활 동지수가 1로 나쁜 환자, 양쪽 간엽에 종양이 분포한 환자나 질병이 재발하여 치료에 들어간 환자의 하위그룹 분 석에서 6개월 반응이 유의하게 좋게 나타나 이러한 환자들에서는 대안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연구가 주목 된다. 31 방사선 색전술은 전향적 경동맥색전술과의 비교 연구가 없지만 후향적 비교들을 종합 해 보면 치료 의 대안으로 제시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32 다만 방사선색전술의 유일한 2상 연구에서 보여 주었듯 약 16% 의 환자는 여러 침습적 검사가 이루어진 후에도 방사선색전술이 불가능 환자여서 기존의 치료로 전환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으며33 현재로선 그 가격적인 문제도 상당한 부담이다. 간세포암종의 유일한 검증된 화학요법 약 제인 sorafenib은 3상 연구들의 하위 그룹 분석에서 이전에 경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환자가 질병이 진행하여 임 상 연구를 시행 한 경우 에서 유의한 정도는 아니나 위약에 비해 생존의 위험도를 25%정도 낮출 수 있다고 보고 되었으므로 경동맥화학색전술에 실패한 환자에서 치료의 대안으로 가능성이 있다 하겠다34 그 외 여러 복합 요 법 치료에 대한 기대감이 있으나 아직은 뚜렷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결론

 

Intremediate stage, BCLC B의 간세포암종 환자는 매우 다양하고 불균일한 환자군을 포함 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현재의 여러 가이드라인은 경동맥화학색전술만을 치료로 제시하고 있다. 더욱이 이들 가이드라인은 경동 맥화학색전술을 BCLC B의 Child-Pugh A와 B7 환자에만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Child-Pugh B8과 B9 환자는 제 안되는 치료 자체가 없는 난점을 보인다. 따라서, 불균일한 이들 환자군을 일정한 예후가 예측되는 환자군으로 잘 구분 하여 그 각각의 그룹에 적절한 치료를 할당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근간이 될 것이 다. 환자의 균일한 구분에 대한 몇몇 제안이 이루어졌고 향후 더 많은 제안과 검증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BCLC B 환자가 기존의 경동맥화학색전술을 시행 받는다 하더라도 치료에 불충분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는 40% 에 이른다. 따라서 이들에서 어느 시점에 어떻게 치료의 실패로 간주하고 어떤 치료로 전환, 복합할지에 대한 연 구도 환자들의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요구 사항이다. 치료 실패에 대한 정의에 대한 연구와 제안이 있 어 왔고 향후 광범위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이들에서 치료적 대안으로서 어떤 방향이 적합한지에 대한 연구가 이 루어져 많은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문 도표중에있는 약어 설명]

LT(Liver Transplant)간이식

Resection간암 종양절제술

RFA(Radio frequency ablation)고주파열치료시술

PEI(percutaneous. ethanol injection) 경피적 에탄올 주입술 

TACE(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경동맥 화학 색전술

TARE(Transarterial Radioembolization경동맥 방사선 색전술

LT(Liver Transplant)간이식

CT(Computed Tomography)컴퓨터 단층촬영

SOR(Sorafenib)넥사바 간암 항암제처] ECOG Performance status|작성자 콩국수

CTP(Child-Turcotte-Pugh)간경화의 등급을 평가하는 지표

ECOG Performance Status(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전신수행상태

기타

양전자 단층촬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중입자선 치료(heavy ion radiotherapy )

(참조)

⑴ ECOG Performance Status

⑵ 치료 반응


⑴ ECOG(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이곳은 1955년 미국에서 설립된 다중심 암 연구 센터이다. 

여기서 Performance status(환자의 전신 활동도) 측정하였으며, 환자의 일상 생활 능력, 적절한 치료와 예후 등을 평가 등의 전신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분류로는 Karnofsky, Lansky도 있다.

이곳에서 1982년 Oken 등이 암 환자의 평가를 위해 ECOG score를 보고하였으며, 

WHO score 또는 Zubrod score라고도 한다.

단계

정의

0

모든 활동 가능, 어떤 제한 없이 병에 걸리기 전과 동일한 일 수행

1

육체적인 힘든 일은 제한이 있지만 거동이나 가벼운 일은 가능(예: 가벼운 집안일이나 사무실 일)

2

거동이나 자가돌봄은 가능하나 어떠한 일도 수행하기 어려움; 깨어있는 시간의 50% 이상 일어나서 생활 가능

3

제한적으로 자가돌봄은 가능하며 깨어있는 시간의 50% 이상을 누워있거나 휠체어를 이용함

4

완전히 무력한 상태; 어떠한 자가 치료도 불가능하며 대부분 시간을 침대에서 보냄

5

사망


ECOG status 0과 status 1을 구분하는 기준은, 증상의 유무가 아니라 병전에 할 수 있었던 모든 일을 수행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다. 따라서 환자가 일상생활은 물론 힘든 일을 포함한 병전에 할 수 있었던 모든 일을 할 수 있다면 status 0에 해당하고, 일상생활은 가능하나 힘든 일을 하는 데 제한이 있다면 status 1에 해당한다.


⑵ Cancer의 치료 반응


 

RECIST

WHO

CR(Complete remission)

Cancer의 증거가 전혀 없음

4주 이후 cancer의 증거가 모두 없음

PR(Partial remission)

30% 이상의 크기 감소

50% 이상의 크기 감소

PD(Progression of disease)

처음에 비해 20% 이상 크기 증가

25% 이상의 크기 증가

SD(Stable disease)

이도 저도 아님

이도 저도 아님

 

보통 이 두 가지를 종합해서 환자를 더 적극적으로 치료할지 아니면 보존적 치료만을 할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서 ECOG PS 4이고 PD state인 환자가 왔다면? supportive 위주로 가야 할 것이고

Cancer stage가 높더라도 PR이나 SD state에 ECOG PS 마저 괜찮다면 적극적 치료를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야 한다.

 

 

 

[출처] ECO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11년 국가암등록통계. 2013. 


 2.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 European Organisation For R, Treatment Of C. EASL-EORT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nage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J Hepatol 2012;56:908-943. 

 

3. Leoni S, Piscaglia F, Serio I, Terzi E, Pettinari I, Croci L, et al. Adherence to AASLD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the Bologna Liver oncology Group. Dig Liver Dis 2014.

 

4. Guan YS, He Q, Wang MQ.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history for more than 30 years. ISRN Gastroenterol 2012;2012:480650. 

 

5. Llovet JM, Real MI, Montana X, Planas R, Coll S, Aponte J, et al. Arterial embolisation or chemoembolisation versus symptomat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2;359:1734-1739. 

 

6. Lo CM, Ngan H, Tso WK, Liu CL, Lam CM, Poon RT,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ransarterial lipiodol chemoembolization for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epatology 2002;35:1164-1171. 

 

7. Llovet JM, Bruix J.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trials for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Chemoembolization improves survival. Hepatology 2003;37:429-442. 


8. Camma C, Schepis F, Orlando A, Albanese M, Shahied L, Trevisani F, et al.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for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adiology 2002;224:47-54. 

 

9. Park KW, Park JW, Kim TH, Choi JI, Kim SH, Park HS, et al. [Five-year survival analysis of a cohor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who treated at the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Korean J Hepatol 2007;13:530-542. 


10. Bruix J, Sherman M,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AAftSoLD. Manage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epatology 2005;42:1208-1236. 


11. Bruix J, Sherman M, Llovet JM, Beaugrand M, Lencioni R, Burroughs AK, et al. Clinical manage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onclusions of the Barcelona-2000 EASL conferenc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J Hepatol 2001;35:421-430. 


12. Llovet JM, Di Bisceglie AM, Bruix J, Kramer BS, Lencioni R, Zhu AX, et al. Design and endpoints of clinical trial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J Natl Cancer Inst 2008;100:698-711. 


13. Gillmore R, Stuart S, Kirkwood A, Hameeduddin A, Woodward N, Burroughs AK, et al. EASL and mRECIST responses a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hepatocellular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transarterial embolization. J Hepatol 2011;55:1309-1316. 


14. Jung ES, Kim JH, Yoon EL, Lee HJ, Lee SJ, Suh SJ, et al. Comparison of the methods for tumor response assessment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undergoing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J Hepatol 2013;58:1181-1187. 


15. Marelli L, Stigliano R, Triantos C, Senzolo M, Cholongitas E, Davies N, et al. Transarterial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which technique is more effective? A systematic review of cohort and randomized studie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007;30:6-25. 


16. Shi M, Lu LG, Fang WQ, Guo RP, Chen MS, Li Y, et al. Roles played by chemolipiodolization and embolization in chem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single-blind, randomized trial. J Natl Cancer Inst 2013;105:59-68. 


17. Sahara S, Kawai N, Sato M, Tanaka T, Ikoma A, Nakata K, et al. Prospective evaluation of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with multiple anti-cancer drugs (epirubicin, cisplatin, mitomycin c, 5-fluorouracil) compared with TACE with epirubicin for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012;35:1363-1371. 


18. Llovet JM, Bustamante J, Castells A, Vilana R, Ayuso Mdel C, Sala M, et al. Natural history of untreated nonsurgical hepatocellular carcinoma: rationale for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therapeutic trials. Hepatology 1999;29:62-67. 


19. Terzi E, Golfieri R, Piscaglia F, Galassi M, Dazzi A, Leoni S, et al. Response rate and clinical outcome of HCC after first and repeated cTACE performed on demand". J Hepatol 2012;57:1258-1267. 


20. Golfieri R, Renzulli M, Mosconi C, Forlani L, Giampalma E, Piscaglia F, et al. Hepatocellular carcinoma responding to superselective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an issue of nodule dimension? J Vasc Interv Radiol 2013;24:509-517. 


21. Piscaglia F, Terzi E, Cucchetti A, Trimarchi C, Granito A, Leoni S, et al.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Child-Pugh B patients. Dig Liver Dis 2013;45:852-858. 


22. Bolondi L, Burroughs A, Dufour JF, Galle PR, Mazzaferro V, Piscaglia F, et al. Heterogeneity of patients with intermediate (BCLC B) Hepatocellular Carcinoma: proposal for a subclassification to facilitate treatment decisions. Semin Liver Dis 2012;32:348-359. 


23. Mazzaferro V, Llovet JM, Miceli R, Bhoori S, Schiavo M, Mariani L, et al. Predicting survival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beyond the Milan criteria: a retrospective, exploratory analysis. Lancet oncol 2009;10:35-43. 


24. Yamakado K, Miyayama S, Hirota S, Mizunuma K, Nakamura K, Inaba Y, et al. Subgrouping of intermediate-stage (BCLC stage B) hepatocellular carcinoma based on tumor number and size and Child-Pugh grade correlated with prognosis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Jpn J Radiol 2014. 


25. Yamanaka K, Hatano E, Kitamura K, Iida T, Ishii T, Machimito T, et al. Early evaluation of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refractory hepatocellular carcinoma. J Gastroenterol 2012;47:343-346.


26. Kudo M, Izumi N, Kokudo N, Matsui O, Sakamoto M, Nakashima O, et al. Manage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Japan: Consensus-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roposed by the Japan Society of Hepatology (JSH) 2010 updated version. Dig Dis 2011;29:339-364. 


27. Raoul JL, Sangro B, Forner A, Mazzaferro V, Piscaglia F, Bolondi L, et al. Evolving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intermediate-stage hepatocellular carcinoma: available evidence and expert opinion on the use of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Cancer Treat Rev 2011;37:212-220. 


28. Kim HY, Park JW, Joo J, Jung SJ, An S, Woo SM, et al. Severity and timing of progression predict refractoriness to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J Gastroenterol Hepatol 2012;27:1051-1056. 


29. Sieghart W, Hucke F, Pinter M, Graziadei I, Vogel W, Muller C, et al. The ART of decision making: retreatment with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epatology 2013;57:2261-2273. 


30. Hucke F, Sieghart W, Pinter M, Graziadei I, Vogel W, Muller C, et al. The ART-strategy: sequential assessment of the ART score predicts outcome of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re-treated with TACE. J Hepatol 2014;60:118- 126. 


31. Lammer J, Malagari K, Vogl T, Pilleul F, Denys A, Watkinson A, et al.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doxorubicineluting-bead embolization in the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results of the PRECISION V study.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010;33:41-52. 


32. Sangro B, Inarrairaegui M, Bilbao JI. Radi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J Hepatol 2012;56:464-473. 


33. Mazzaferro V, Sposito C, Bhoori S, Romito R, Chiesa C, Morosi C, et al. Yttrium-90 radioembolization for intermediate-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a phase 2 study. Hepatology 2013;57:1826-1837. 


34. Bruix J, Raoul JL, Sherman M, Mazzaferro V, Bolondi L, Craxi A,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sorafenib in patients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subanalyses of a phase III trial. J Hepatol 2012;57:82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