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imgs.naver.net/imgs/nblog/spc.gif)
![](http://blogimgs.naver.net/imgs/nblog/spc.gif)
http://blog.naver.com/kimyhkimyh/220646817506
간의 구조와 간해부
간의 해부학적 구조
간은 무게가 1500~1800g 의 적갈색 으로 횡격막하부와 상부의 우늑골 하부에 위치한다
복강의 상 복부에 쐐기모양으로 놓여있고 늑골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 엽과 좌 엽으로 나누어지고 간의 하면은 열로 갈라져 있다.
우엽은 작은 고유우엽, 미상엽과 방형엽으로 되어있다
담낭과 하대정맥은 평행으로 갈라져 2개의 얕은 와에 놓여있다.
미상엽과 방형엽의 경계부분을 간문이라고 하며 이 공간을 통해 정맥,동맥, 신경, 림프관 등이 간으로 출입한다.
<간소엽>
직경 1mm 높이 2mm의 짧은 6각형의 기둥모양.중심에는 중심 정맥이 관통하고 있다.
①소엽은 간의 기능을 하는 엽 내의 수많은 단위로서 간의 기능단위이고 간세포 내에서 많은 물질들을 처리한다
② 문맥의 가지로 운반되는 정맥혈액은 소장에서 흡수된 지방, 포도당, 단백질의 농축된 영양분을 이동시키며
소엽은 sinusoid,입방형간세포, 담세관, 간동맥과 문맥가지등으로 구성된다
③ Sinusoid는
쿠퍼세포(Kupffer cell)라고 불리 우는 단핵식균체계의 세포로 배열되어있으며
이 세포들은 이물질을 잡아먹는 식균작용을 한다.
<간의 순환>
간은 분 당 1,100ml 정도는 간문맥에서,400ml는 간동맥에서 들어오며 동양혈관에서 섞여 하대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되돌아간다.
①* 문맥 혈 : 산소농도는 낮고 장에서 흡수 된 영양물질의 농도는 높다
* 간 동맥혈 : 산소는
풍부하지만 영양물질은 적다.
⇒ 간의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간동맥에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공급된다.
② 혈류의 방향 : 문맥 계→동양혈관 →간소엽의 중심정맥 ( 문맥 계 : 간을 통과하는 동맥, 정맥, 담 관, 림프관등 )
→ 문맥계에서 가장 가까운 간세포는 산소와 영양이 가장 풍부하고 중심정맥 근처는 가장 적다.
'건강정보 모음 > 간경화&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건강의 바로미터, 간수치란 무엇인가요? (0) | 2016.03.09 |
---|---|
간경변이 원인인 '식도 정맥류' 치료와 예방법 (0) | 2016.03.07 |
간경화와 간경변의 차이점 (0) | 2016.03.03 |
간경변(간경화), 굳은 간은 풀어진다! (0) | 2016.03.02 |
간성혼수[정의 | 원인 | 증상 | 치료방법 ] (0) | 2016.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