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복수&부종&황달

암환자의 복수(Ascites) 증상

암사랑 2015. 8. 6. 16:37

암환자의 복수(Ascites) 증상

 

 

 

복수 (ascites)는 말기 암환자에서 잘 나타나는 증상이며, 복강 내에 장액성 액체가 축적되는 현상으로 간세포의 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갑자기 생길 수도 있고 여러 달에 걸쳐 서서히 생기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교정 인자가 없기 때문에 더 나쁜 예후를 가지며 복부 팽창이 점점 심해져서 호흡 곤란을 겪게 됩니.

 

복수는 암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간암과 난소암의 경우 60%이상에서 발생하는 어려운 증상으로, 임상에서 복수가 나타나면 환자의 예후가 대단히 좋지 않은 것으로 여깁니다. 실제로 복수를 가진 환자의 1년 생존율은 40%, 3년 생존율은 10%미만입니다. 복수를 유발시킬 수 있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 암세포의 전이에 의해서 생기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복수가 생기는 병리생리학적 기전은 크게 4가지로 나눕니다.
1.
종양이 간을 침범하여 생기는 경우(중심형으로 전체 15%를 차지
)
2.
종양 세포가 복막을 침범하여 생기는 경우(말초형으로 50% 차지
)
3.
혼합형으로 종양이 간과 복막을 동시에 침범하여 생기는 경우(전체 15%에서 발생
).
4.
유미(chylous)형으로 전체 20%정도를 차지.

 

보통 적어도 복수가 몇 리터가 모여야 복부 팽창의 원인이 됩니다.  혈장성 액체로 단백질(대부분이 알부민) dl 3gm 이하이며 또한 혈액처럼 글루코스(glucose), 소듐(sodium) 그리고 포타슘(potassium)같은 용질이 같은 농도로 있습니다.  그래서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많은 양의 복수를 회수하면 단백질과 전해질 손실이 야기되어 문제를 일으킵니다.

 

간암, 간경변 같은 간질환에서 복수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인의 첫째는 혈액에서 낮아진 알부민 수준으로 인해 삼투현상을 막는데 필요한 압력의 변화로 혈관에서 수분이 빠져 나오고 부종이 나타나며, 둘째는 간을 지나는 간문맥압항진증(Portal Hypertension)으로, 이것은 문맥으로부터 간장을 지나 정맥으로 이르는 경과 중에 협착내지 폐색을 초래하여 문맥 순환 저항이 증가하고 맥압이 상승하는 증상입니다.

 

치료는 먼저 원인을 찾고 그것을 교정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처방이나 치료법이 없습니다. 증상이 없고 경미한 경우는 관찰만 하며, 치료방법으로는 약물, 복수천자, 항암요법, 복강내 주사, 수술적 방법이 있고, 약물로는 이뇨제와 스테로이드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뇨제에 의한 이뇨작용은 빠른 시간에 강력히 반응하므로 이뇨효과를 높일 수는 있으나 자칫 오용하게 되면 독성이 있어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습관성이 되므로 사용시 특별한 주의를 요합니다.

 

또한 복수를 빼내는 경우 탈수나 변비 등 부작용과 전해질 불균형, 간성 혼수, 신부전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약물 선정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복수가 차는 경우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염분섭취의 제한과 전해질의 보충입니다. 특히 염분섭취의 제한은 치료의 일부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합니다. 그러나 짜게 먹으면 복수 차서 안 된다고 해서 무조건 싱겁게 먹다 보니 식욕을 잃고 거의 못 드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만약에 복수 차는 것이 두려워서 드시지 못한다면, 차라리 복수는 포기하고라도 잘 드시는 것이 낳습니다. 또 너무 소금기가 몸에 없어도 이뇨제가 듣지를 않으니 너무 짜지만 않게 드시기 바랍니다.

염분함량이 많아 피해야 하는 음식은 찌게나 김치, 젓갈류, 염장식품, , 과자, 초콜릿, 아이스크림, , 베이컨, 통조림 등이고 섭취해도 좋은 음식은 저염으로 표기된 음식이나 신선한 채소와 과일, 생꿀, 생선, 달걀(유정란), 아마씨, 코코넛밀크 등입니다.                  

 

증세가 조금 가벼운 경우는 민들레 추출물 같은 약초성분의 이뇨제가 복수를 제거하고 칼륨을 보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칼륨이 많이 함유된 저지방요구르트, 고등어, 멜론(cantaloupe), 구운 감자 같은 식품이 칼륨섭취에 도움이 됩니다.

 

간혹 알부민을 맞으면 효과가 있느냐며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간의 셀 수 없는 기능 중에 하나가 알부민 합성기능 입니다. 현재 손상되어있는 대부분의 간세포 외에 남아있는 간세포들이 그나마 열심히 일을 해서 알부민을 포함한 많은 물질들을 형성하고 있는데, 외부에서 알부민을 제공을 해 준다면 간세포들은 알부민이 충분하다고 인지하고 더 이상 생산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하게 됩니다(negative feedback). 따라서 복수 조절등으로 필요한 알부민 주사이외에는 가급적 알부민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복수에는 만니톨(mannitol)성분이 좋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만니톨은 과일에 들어 있는 당알코올(sugar alcohol)입니다. , 6탄당인 만노스(mannose) 말단의 -CHO기를 -CH2OH기로 환원시킨 것이며, 포도당으로도 만들며, 상업용으로는 해조(laminaria)에서 추출됩니다. 식품첨가제로서 응고를 방지하고 윤활제, 보존제, 감미제, 향미제 안정제 등으로 캔디나 디저트용 식품 등에 쓰입니다. (잘 알려진 자일리톨도 당알코올입니다)

hhttp://www.jcge.com/pt/re/jclngastro/abstract.00004836-200211000-00009.htm;jsessionid=Ct9NeUbnf6au02CfWHkDSZxDrZChsjNTKh8fWbj12ceFHQN3JDNt!-1672868132!-949856032!9001!-

 

http://www.ncbi.nlm.nih.gov/entrez/query.fcgi?cmd=Retrieve&db=PubMed&list_uids=677315&dopt=Abstract

 

특히 이뇨제를 사용하는 복수환자에게 단기간 만니톨을 사용하는 것이 치료에 대단히 효과적입니다.


function popupMyAvatar() { mname = "%B1%DB%B8%AE%C4%DA"; rurl = "http://cafe168.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MyAvatar?TYPE=POPUP&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친구 앨범 function popupAlbum() { mname = "%B1%DB%B8%AE%C4%DA"; rurl = "http://cafe168.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Album?TYPE=POPUP&EUSERID=IAp4CK65Tu10&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찜목록 function popupZim() {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WishList?TYPE=POPUP&EUSERID=IAp4CK65Tu10&MNAME=%B1%DB%B8%AE%C4%DA&URL=http://cafe168.daum.net/reload.htm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