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남성 40%, 술 안 마셔도 '지방간' 주의해야 하는 이유

암사랑 2020. 11. 6. 09:14

남성 40%, 술 안 마셔도 '지방간' 주의해야 하는 이유

 

 

10년 뒤엔 우리나라 남성 5명 중 2명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게 될 거란 전망이 나왔다./사진=서울아산병원 제공

술을 거의 마시지 않는데도 고지방 위주의 식사와 운동 부족 등 비만을 부르는 생활습관으로 인해 간에 지방이 침착되는 질환을 ‘비알코올성 지방간’이라 한다.

식습관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국내 남성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병률은 지난 19년 새 11%p나 증가했다. 1998년 유병률은 19.7%였던 데 비해, 2017년에는 30.7%에 달한 것. 가파른 증가세를 고려하면 10년 뒤엔 우리나라 남성 5명 중 2명(39.1%)꼴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게 될 거란 전망이다.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박혜순·국제진료센터 강서영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1998~2017년)를 바탕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비만, 복부비만의 국내 유병률 추이를 분석한 뒤 각 질환의 향후 유병률을 예측했다.

연구팀은 조인포인트 모델(joinpoint model)을 이용해 향후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병률을 예측했다. 연구 결과, 2030년에는 39.1%, 2035년에는 43.8%의 남성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갖게 될 것으로 파악됐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방치하면 간경변증과 간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고, 심하면 간이식을 받아야 하는 상황으로까지 악화되기도 한다. 이번 결과에 따라, 지방간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비만을 유발하는 생활습관을 조기에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번 연구의 분석 인원은 19세 이상 성인 4만여 명(남성 1만870명, 여성 3만78명)으로, 과거 간염이나 간경변과 같은 간질환을 앓은 적이 없으며 1회 알코올 섭취량이 30g 이하로 술을 거의 마시지 않는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팀은 국내 남성의 지방간 발병률이 높아진 원인을 비만으로 꼽았다. 1998년부터 2017년 사이 남성의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22.9kg/m2에서 24.5kg/m2로 2kg/m2 정도 늘었고, 평균 허리둘레도 81.9cm에서 86.1cm로 4cm 가량 증가했다. 복부비만 남성의 비율 또한 지난 19년 사이 각각 15.4%p(17.8%→33.2%) 늘었다.

문제는 19~49세의 젊은 남성에서 비만한 사례가 급격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면 2035년에는 20~40대 남성 중 74.5%가 비만, 60.0%가 복부비만, 58.5%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겪을 것으로 예측됐다.

박혜순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지방만 침착되고 간 손상은 없는 가벼운 경우가 많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간세포가 손상되는 간염과 간이 딱딱하게 굳는 간경변증, 악성 종양인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비만 예방을 위해 섬유질이 풍부하면서 지방 및 단순당 함유량은 적은 채소와 단백질이 많은 생선 등을 섭취하고, 틈틈이 운동해 신체 활동량을 늘릴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확장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E)급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hyeyoung@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