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화에 필요한 담즙과 관련된 장기...암 진단 건수 9위
담도는 담즙이 흐르는 통로이고 담낭은 답즙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기관이다. /국가암센터
일반적으로 담도와 담낭은 위나 대장 등의 다른 기관들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기관이다. 담도와 담낭은 간 주위에 있어 간이 지방을 소화하기 위해 생성하는 담즙을 담당한다. ‘담도(膽道)’란 담즙이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흐르는 통로이고, 담낭은 40~50 mL 크기로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담즙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암이 담도에 생기면 담도암, 담낭에 생기면 담낭암이 된다.
국가암정보센터에 의하면 2017년에 담낭암 진단 건수는 2601건, 담도암 진단 건수는 4245건이다. 합하면 6846건으로 암 발생 순위로 9위에 해당한다. 담낭·담도암 발생자는 연령별로 70대가 34.7%로 가장 많고 그 다음 80대 (26.2%), 60대 (24.9%) 순이다.
담도는 나뭇가지 모양으로 간 곳곳에 퍼져 있다. 그리고 얇은 나뭇가지 줄기들이 점차 나무의 큰 몸통으로 이어지듯 여러 담도가 차츰 굵기가 굵어지면서 좌측과 우측의 큰 담도를 형성하고 간에서 나올 때는 이 두 개의 관이 하나로 합쳐진다. 따라서 간 내에 있는 담도에 암이 생기는 것을 간내 담도암, 간외 담도나 간내의 좌측과 우측 담도가 간 밖으로 나오는 부분(주간관)에 암이 생기는 것을 간외 담도암이라고 한다.
담도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간내 담도암과 간외 담도암으로 구분된다. /국가암정보센터
국가암정보센터에 의하면 담도암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진 바 없어 뚜렷한 예방 수칙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세브란스병원에서 이동기 교수팀이 출간한 <췌장암·담도암 완치설명서>에 의하면 직접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기생충 감염과 간내 담석, 선천성 담도 이상,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만성 간담도계 질환이 담도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소라고 한다. 담낭암의 위험 요소는 췌담관 합류 이상, 석회화담낭, 담낭용종, 근샘종증 등이 있다.
특히 기생충 감염은 주로 민물고기나 조개류를 날것으로 먹었을 때 발생하기 쉽다. 간흡충은 붕어, 잉어, 피라미 등 30여 종의 담수어를 날로 먹었을 때 감염될 수 있는 질환인데 간흡충에 감염된 사람은 담도암 발병 위험도가 정상인에 비해 5배나 높고 간흡충에 감염된 사람들이 많은 지역일수록 담도암의 발병률이 높아진다.
담도와 담낭은 간 주위에 있어 간이 지방을 소화하기 위해 생성하는 담즙을 담당한다./게티이미지뱅크
담낭·담도암은 별다른 초기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매우 어렵다. 심해지면 황달과 가려움증, 복통과 체중 감소,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오심, 구토 등의 증상도 보일 수 있다. 황달은 담도암 환자와 담낭암 환자들이 가장 흔히 보이는 증상이다.
담도암 및 담낭암 환자들이 주로 보이는 황달 증상 /게티이미지뱅크
적혈구가 생명을 다하면 ‘빌리루빈'이라는 물질로 분해되어 담즙으로 배설되는데 암이 생겨 담도가 막혀버리면 담즙 안에 있던 빌리루빈이 혈액으로 역류된다. 이는 결국 소변으로 배설되는데 그렇지 못한 나머지는 피부 및 결체 조직 눈동자 등에 침착되어 황달이 발생한다. 황달이 생기면 눈동자가 노랗게 보이게 되고 소변색은 점점 진해진다. 황달이 지속되면 빌리루빈과 기타 물질이 피부에 침착되어 가려움증이 생기고 더 심해지면 피가 날 정도로 긁을만큼 가려워진다.
기사 : 박수경 기자
편집 : 캔서앤서 편집팀
'건강정보 모음 > 췌&담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췌장 (0) | 2020.10.28 |
---|---|
조기 발견 어렵고 치명적인 담관암 (0) | 2020.10.26 |
담도ㆍ담낭암(2) 40~50%만 수술 가능...복합항암요법 치료 (0) | 2020.10.17 |
췌장암, 진단 어렵고 치료 힘든 '독한 암'인 이유 (0) | 2020.10.16 |
췌장암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이 가능한가?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