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는 역전 만루 홈런이 될 수 있다
라이프 김동우
면역항암제는 역전 만루 홈런이 될 수 있다.
제게 면역항암치료의 효과를 아주 강하게 각인시켜주신 환자분이 있습니다. 환자분은 젊은 남자분으로 타병원에서 치료를 받으시다가 제게 오셨습니다. 병의 상태는 간암의 간문맥 침범 (portal vein)으로 다니시던 병원에서 2달 정도의 여명이 남으셨다는 이야기를 듣고 저에게 오셨습니다.
이전 병원에서는 방사선 치료를 받고 진행한 상태로 오셨고 저희 병원에 오셨습니다. 왼쪽 간을 거의 차지하는 거대 간암의 간문맥 침범과 오른쪽 간에도 여러개의 간내 전이 소견이 관찰되고 있었습니다. 간암수치인 AFP도 18267ng/mL 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처음 내원 시의 간암 침범 정도와 암수치(AFP): 왼쪽 간을 거의 다 차지하고 있는 거대 간암과 오른쪽 간에도 여러 곳에 작은 간전이들이 진행되어 있는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간암에서 간문맥 침범이 있으면 간세포암의 병기는 BCLC (Barcelona Clinic Liver Clinic) 병기는 C에 해당되며 항암치료의 대상이 되게 됩니다. 하지만 항암치료를 위해서는 간기능이 잘 보존되어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다행히 환자분의 간기능은 잘 보전되어 있는 Child-Pugh A에 해당되어 있어 치료를 시작하실 수 있었습니다.
저희 병원에서는 신약임상연구와 넥사바 치료를 받으셨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병이 더 진행했으니까요. 기존의 간암이 크기뿐 아니라 전이된 숫자도 증가하였으며, 간암 수치인 AFP도 18267ng/mL 에서 51938ng/mL 으로 내원하셨을 때의 2배 이상의 상승된 소견을 보였습니다. 물론 환자분도 많이 실망하셨습니다.
항암치료 치료 전/후
이 결과를 확인한 시기가 2017년 말이었습니다. 이 시기는 간암 환자치료에 있어 나름 큰 의미가 있는 시기입니다. 바로 2017년 9월 옵디보가 FDA에서 승인된 후 우리나라에서도 처음으로 간암 환자분들께 면역항암치료의 기회를 드릴 수 있게 된 시기이니까요.
면역항암제 FDA 승인 상황에 대한 내용은 저의 이전 포스팅을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면역항암제 FDA 승인 현황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티센트릭, 옵디보, 임핀지"의 FDA 승인 현황을 정리한 도표를 만들어 ...
blog.naver.com
결과적으로 환자분은 면역항암제인 “옵디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옵디보 치료를 지체 없이 시작하셨고 환자분은 특별한 불편감 없이 잘 치료받으셨습니다. 잘 알려진 것처럼 옵디보나 키트루다 같은 면역관문억제제는 부작용이 적다는 점이 큰 장정입니다.
2달간의 옵디보 치료 전/후
두달간의 옵디보 치료 후 첫 반응평가를 진행하였을 때 놀라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영상검사에서 기존에 조영제에 의해 하얗게 보이던 간암의 병변들이 거의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암수치인 AFP도 51938ng/mL에서 24ng/mL으로 급격히 떨어져서 호전된 소견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환자분의 간 내의 살아있는 병변(viable portion)을 조금 더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1달 뒤 간 MRI를 진행하였습니다.
간의 전이 상태을 가장 정확하게 볼 수 있는 MRI 결과도 놀라웠습니다. 간에 보였던 그 큰 병변들에서 살아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병변들이 영상학적으로 모두 사라진 것을 (완전관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암수치인 AFP도 마침내 5.8ng/mL으로 정상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환자분은 2개월의 여명을 이야기 듣고 2017년에 제게 오셨지만 햇수로 4년째 여전히 제 외래를 잘 다니고 계십니다. 면역항암치료는 효과가 있을 경우 이렇게 역전 만루홈런이 가능합니다. 물론 치료받는 모든 분들에게 이 정도의 드라마틱한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지만, 이것이 우리가 면역항암치료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2개의 면역항암제 단독치료의 3상 연구 (옵디보: CheckMate-459, 키트루다: KEYNOTE-240)는 모두 설정한 목표를 만족시키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한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남겼습니다.
바로 진행성 간암에서 면역항암제를 치료받는 환자들 15% ~ 20%의 환자는 좋은 치료 반응을 보이고 이들 환자들은 장기 생존이 가능할 수 있다는 희망입니다. 이는 옵디보 치료를 받는 환자의 1/5 정도에 해당되는 수치로 저는 보통 이러한 수치를 치료 전에 환자분들께 설명을 드리고 치료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치료받는 환자분들 입장에서 당연히 이 수치는 만족스럽지 않은 수치임이 분명하지만, 많은 환자분들을 치료하고 있는 제 입장에서는 이별을 생각하고 있던 5명 중의 1분의 환자를 계속 만날 수 있게 해주는 소중한 치료약임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부족한 효과를 만회하기 위해 현재 많은 면역항암제 병합치료의 임상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그 결과 발표된 치료가 바로 최근 울산대병원 천재경 교수님께서 포스팅 해주셨던 IMbrave-150 연구입니다. 이 연구를 통해 면역항암제인 “티쎈트릭”과 암혈관형성억제제인 “아바스틴”을 함께 투여할 경우 치료 반응을 30%정도까지 높여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조만간 우리나라에서도 이 치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는 분당차병원을 포함한 국내 일부 기관들에서 이 약제의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 (Expanded Access Program, EAP)을 통해 간암 환자분들께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잘 활용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IMbrave-150의 티쎈트릭 + 아바스틴에 대한 내용은 이전 천재경 교수님께서 올려주신 포스팅을 확인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진행성 간암, 티쎈트릭 아바스틴 병합치료 3상 연구 결과
이번 포스팅은 최근 간암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로 생각되는 티센트릭과 아바스틴의 병합치료인 IMbr...
blog.naver.com
그 외에도 최근 FDA는 초기 임상연구에서 참여자의 8%에서 완전관해가 (반응률 32%, 완전관해 8%) 되었던 고무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옵디보 + 여보이 병합치료를 넥사바 이후 치료로 승인한 바 있습니다. 현재 이 치료법은 저희 병원을 포함한 일부 기관에서 간암의 첫번째 치료제로서 효과를 검증하는 3상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도 이전 포스팅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진행성 간암에서 옵디보와 여보이 병합치료 미FDA 승인!
최근 FDA는 이전에 넥사바(소라페닙)로 치료받았던 간암 환자의 치료제로 옵디보(니볼루맙)과 여보이(이...
blog.naver.com
항암치료를 주로 하는 혈액종양내과 의사의 관점에서 보면 모든 약제, 특히 항암제는 명과 암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진행성 간암에서 면역항암제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 주로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하지만 진행성 간암에서 면역항암제 단독치료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2개의 3상 임상시험에서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진행성 간암에서 면역항암제의 경험들이 많이 쌓이면서 이에 대한 여러가지 고찰들이 나오기 시작하여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이에 대해서도 한번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약제의 제한점이 있다면 이를 미리 알고 피할 수 있는 부분을 피해서 사용한다면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더 많은 간암 환자분들이 최근 다양해지고 있는 신약 치료제들의 효과를 충분히 누리실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면역항암제로 싸운다 3편 – 간암, 2개월 남았다고 했지만, 4년째 잘 지내고 있어요.|작성자 전홍재 김찬 강버들
전홍재 부교수 (간암, 담도암, 췌장암, 위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200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박사 (201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과 전공의 (2006-2009)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강사 (2013-2014)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임상연구조교수 (2014-2015)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조교수 (2015-2019)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부교수 (2019-현재)
김찬 부교수 (대장암, 신장암, 방광암, 육종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200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석사 (2009)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종양학 박사 (2013)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과 전공의 (2006-2009)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강사 (2014-2015)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임상연구조교수 (2015-2015)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조교수 (2015-2020)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부교수 (2020-현재)
강버들 조교수 (위암, 간암, 담도암, 췌장암, 흑색종, 희귀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2009)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석박통합과정 중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과 전공의 (2010-2014)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강사 (2014-201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진료전문의 (2015-201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조교수 (2018-2019)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조교수 (2019-현재)
공통 경력 (전홍재, 김찬, 강버들)
-대한암학회 (KCA) 정회원
-대한종양내과학회 (KSMO) 정회원
-항암요법연구회 (KCSG) 정회원
-미국임상종양학회 (ASCO) 정회원
-미국암학회 (AACR) 정회원
-유럽종양학회 (ESMO) 정회원
-미국 암면역치료 학회 (SITC) 정회원
[출처] 면역항암제로 싸운다 3편 – 간암, 2개월 남았다고 했지만, 4년째 잘 지내고 있어요.|작성자 전홍재 김찬 강버들
'건강정보 모음 > 항암&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항암제 분석 (0) | 2020.10.12 |
---|---|
♥암 치료제 - 항암제 (0) | 2020.10.07 |
항암치료 과정 중에 주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0) | 2020.10.02 |
통합암치료 쉽게 이해하기, 표적치료제 (0) | 2020.09.29 |
면역항암제 부작용 관리 - 부작용 없는 약은 없다 (0) | 202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