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이 자주하는 질문
1. 독성 간손상이 발생하면 어떤 증상이 생기나요?
독성 간손상은 다른 대부분의 간질환과 마찬가지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증상이 있다하더라도 간질환에서만 나타나는 특별한 증상이 아닌 피로감이나 식욕부진 등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특이한 증상으로 알려진 황달이나 복수는 간손상이 아주 심해졌을 때에야 비로소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증상만으로 간손상을 알아차리는 것은 무척 어렵습니다.
2. 의사의 처방을 받아 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독성 간손상이 오나요?
네. 그렇습니다.
모든 약에는 약효도 있지만 부작용도 있습니다. 또 독성 간손상을 전혀 일으키지 않는 약물은 거의 없다고 생각해야합니다.
의사들은 약물을 처방할 때 그 약물의 약효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이지만,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주의를 기울입니다. 특히, 독성 간손상이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고 알려진 약물을 처방할 때는 특히 그렇습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결핵에 걸려 결핵약을 처방할 때는 결핵이 낫는지도 살펴보지만, 독성 간손상을 포함한 결핵약에 의한 부작용은 없는지 세심하게 살펴봅니다. 또, 다른 예로 먹는 무좀약이나 신경정신 계통의 약물을 들 수 있습니다.
의사가 처방을 할 때는 그 약물이 꼭 필요한지, 그 약물의 투여가 현재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인지를 살피고, 부작용에 대한 위험이 환자가 얻을 수 있는 약효보다 훨씬 적다고 판단할 때에 비로소 처방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원하지 않던 독성 간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한약에는 독성이 없다고 하는데 한약으로도 독성 간손상이 오나요?
네. 물론입니다.
의사가 사용하는 약도 독성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지만, 한의사가 사용하는 한약도 독성 간손상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의사가 처방하는 약물의 경우에는 대부분 한가지 또는 몇가지의 성분이 되는 물질을 가지고 만들어 임상실험을 거쳐 안전성을 대체적으로 확인받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한약의 경우에는 하나의 한약재에도 너무나도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나 여러 가지 한약재를 끓여서 추출한 한약에는 다양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사람에 따라 약이 아닌 독성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4. 건강기능식품이나 녹즙, 민간요법으로도 독성 간손상이 오나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녹즙, 민간요법에 의해 독성 간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백선(봉삼), 개암풀 등 민간요법으로 인해 발생된 독성 간손상은 잘 알려져 있으며, 체중감량 목적으로 여러 가지 한약재를 복합하여 만든 중국산 건강기능식품에 의해 독성 간손상이 대량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또,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지역에서도 민간요법으로 사용해 오던 개불알꽃(germa -nder)에 의한 대량 사고가 난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한약재로 쓰이는 황금, 곽향, 개곽향 등은 이 개불알꽃과 가까운 근연종(近緣種)입니다.
또, 미국에서도 독성 간손상이 문제되어 중국산 마황(ma-huang)의 미국 내 사용금지 조치를 하기도 했습니다.
한국에서 만성 간질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물 중 하나가 인진쑥(茵蔯蒿)입니다. 한국에서 일컫는 “인진쑥”은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를 의미하고, 일본에서 일컫는 inchinkoto는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을 의미하며, 중국에서는 더위지기와 사철쑥을 모두 인진호(茵蔯蒿)라고 하는데, 이 인진쑥에 의한 독성 간손상 또한 잘 알려져 있습니다.
6. 간질환이 있는 사람이 간질환의 치료에 도움이 되기 위해 복용하는 경우에도 독성 간손상이 일어나나요?
네. 안타깝게도 그런 사례가 드물지 않습니다. 이미 간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서는 일반인에 비해 독성 간손상의 발생 빈도도 높고, 중한 합병증이 더 빈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자식들이 부모님의 간질환을 염려하여 병의 치료에 도움을 드리겠다는 좋은 뜻으로 사다드린 한약, 건강기능식품, 민간요법으로 오히려 간질환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제는 우리도 “약을 선물”하는 위험하고 무지한 관습을 빨리 버려야겠습니다. 간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와 진료를 통해 필요한 경우에 정해진 약물만을 복용하도록 해야합니다.
'건강정보 모음 > 간경화&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이 건강하면 정말 피로감이 적은가요? (0) | 2020.06.10 |
---|---|
간암 색전술의 불편한 진실 (0) | 2020.06.09 |
▲ 간암이란 무엇인가요? (0) | 2020.06.08 |
피로는 정말 간 때문일까? (0) | 2020.06.08 |
간경변증 Q&A…"초반 증상 없어 검사 필요…간암으로 진행 가능성 높아" (0) | 2020.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