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꺼풀에도 당뇨병 신호가 나타난다?...
아래쪽 눈꺼풀의 "마이봄샘" 손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2형(성인) 당뇨병(糖尿病)이 발생(發生)하면 눈꺼풀에도 그 신호(信號)가
나타난다는 연구(硏究) 결과(結果)가 나왔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의대(醫大) 가정의학과(家庭醫學科)의
글로리아 우 교수 연구팀은 당뇨병(糖尿病) 환자는 아래쪽 눈꺼풀에 있는
마이봄샘 손실(損失)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보도했다.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은 위·아래 눈꺼풀 안쪽 결막(結膜)에 있는
피지선(皮脂腺)으로 지방 성분을 분해(分解)해 지방층(脂肪層)을 형성하고
눈물이 과도(過多)하게 증발(蒸發)하는 것을 막는다.
<마이봄샘 하단 사진 참고>
◈ 당뇨병 환자 60명과
◈ 당뇨병이 없는 60명을 대상(= 대조군)으로
아래쪽 눈꺼풀의 마이봄샘을 적외선 영상(아이폰 카메라로도 가능)으로
관찰한 결과 당뇨병 (糖尿病) 환자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마이봄샘 손실이
5배 가까이 많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 당뇨병 환자는 51.5%,
◆ 대조군(對照群)은 11.3%가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이 손실(損失)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 중에서도 특히 장기간의 혈당을 나타내는 당화혈색소(A1c)
수치(數値)가 높을수록 마이봄샘(meibomian gland) 손실도 더 컸다.
당화혈색소(糖化血色素)는 산소(酸素)를 운반(運搬)하는 적혈구(赤血球)의
혈색소(헤모글로빈) 분자가 혈액 속의 포도당(葡萄糖)과 결합한 것이다.
적혈구는 일정기간(약120일)이 지나면 새로운 적혈구로 대체되기 때문에
당화혈색소는 대체로 2~3개월 동안의 장기적인 혈당치를 나타낸다.
당화혈색소 수치(數値)가 6.5%를 넘은 당뇨병 환자는 마이봄샘의 손실이
최소 40% 이상(以上)으로 나타났다.
마이봄샘 손실은 미세 감염이나 염증 때문이며, 특히 당뇨병 환자들에게
많은 이유는 염증이나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 (American Endocrine Society)의
2020 온라인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연합뉴스 한성간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연합뉴스 "URL"이나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연합뉴스 ; 한성간 기자 (skhan@yna.co.kr)
[출처] 눈꺼풀에도 당뇨병 신호가 나타난다?... 아래쪽 눈꺼풀의 마이봄샘 손실 |작성자 엄기동
'건강정보 모음 > 고혈압 & 당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환자 NAFLD 진단 핵심은 '간섬유화' 평가" (0) | 2020.06.26 |
---|---|
고혈압약은 평생 복용해야 한다? (0) | 2020.06.16 |
당뇨병 걸리면 췌장암 위험 커진다 (0) | 2020.06.10 |
고혈압, 당뇨 약으로 수치가 내려가는 것은 부작용이다~~ (0) | 2020.06.08 |
"50대 이상 고혈압·심장질환 있다면 말초혈관 검사를" (0) | 2020.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