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슈, RNA 이용한 B형 간염치료제 개발에 2조원 규모 제휴 체결
다이서나 파마슈티컬스로부터 임상1상 단계 'DCR-HBVS'도입…향후 최대 5개까지 추가 개발다국적제약사 로슈가 지난 달 31일(현지시간)차세대 RNA기반 B형간염 치료제 개발을 위해 다이서나 테라퓨틱스와 16억7000만달러 규모 공동개발 및 상업화 계약을 체결했다. © 뉴스1
(바이오센추리=뉴스1) 성재준 바이오전문기자 = 다국적 제약사 로슈(Roche)가 미국 다이서나 파마슈티컬스(Dicerna Pharmaceuticals)와 새로운 B형간염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이를 위해 계약금 포함 16억7000만달러(약 1조9355억원)에 달하는 대형 거래가 성사됐다.
로슈는 지난 10월 31일(현지시간) 다이서나 파마슈티컬스와 B형간염 바이러스(HBV) 치료를 위한 RNA간섭(RNAi) 약물 후보물질 'DCR-HBVS'에 대한 공동연구 및 상업화를 위한 파트너링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다이서나가 바로 받을 계약금만 2억달러(약 2332억원) 규모로 이번 거래를 통해 다른 희귀질환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로슈는 이번 양사 합의를 통해 DCR-HBV 상업화에 대한 전 세계 독점적 권리를 획득했다. 로슈는 이를 위해 마일스톤으로 약 14억7000달러(약 1조6324억원) 및 10%대 중반대의 경상 로열티를 지급한다. 다이서나 테라퓨틱스는 로슈와 함께 DCR-HBV 개발을 지원하고 더욱 강화된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옵션을 획득했다. 또한 양사는 추가적인 HBV 치료법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DCR-HBV는 B형간염 항원 인코딩에 관여하는 X 유전자를 보호하는 B형 간염 표면항원(HBsAg) 유전자 서열 일부를 표적으로 한다. 개발 중인 다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법들과 차별화되는 부분이라는 설명이다. 다이서나는 이미 전임상 시험을 통해 DCR-HBV가 장기간 작용해 HBsAg 발현이 크게 감소된 것을 확인했다.
또한 양사는 HBV 치료법을 최대 5개까지 추가로 개발하는데 합의했다. 다이서나 테라퓨틱스는 DCR-HBV 외에도 숙주세포인자(host cell factor)와 바이러스 표적에 대한 RNAi 치료법을 연구 중이다.
제임스 웨이스만 다이서나 파마슈티컬스 부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다이서나같은 소규모로 역량이 집중된 회사는 한정된 환자들이 존재하는 희귀질환 프로그램을 발견하고, 개발 및 상업화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더 넓은 치료 분야에서는 더 큰 회사와 계속 협력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웨이스만은 HBV는 C형 간염과 같이 복잡한 질병으로 서로 다른 생물학적 매커니즘을 가진 약물을 병용 요법으로 치료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RNAi 치료제 2개를 조합할 수도 있고 RNAi 치료제에 로슈가 보유한 다른 유형의 파이프라인을 결합할 수도 있다고 했다.
로슈는 현재 HBV 관련 파이프라인을 3개 보유 중이다. 경구용 저분자 화합물 2개에 고정 핵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물질이 하나 있다.
와이스만은 로슈와의 파트너십에 대한 또 다른 장점으로 중국을 들었다. 로슈가 중국에서 제품 개발 및 상용화를 하고 있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세계 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5년 기준, HBV 감염 환자 수는 약 2억5700만명에 이른다. 그중 9000만명이 중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에는 660만명이 있고 유럽내 HBV 환자는 150만명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거래는 다이서나 테라퓨틱스가 진행하고 있는 자체적인 후보물질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이서나는 원발성 옥살산뇨증이라는 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DCR-PHXC를 개발 중이며 현재 임상2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다이서나 테라퓨틱스는 지난해 10월 일라이릴리와 제휴를 통해 심장병, 신경질환 및 통증 치료를 위한 RNAi 요법 공동 개발에 합의하고, 이어 알렉시온과 보체 경로 질환에 대한 협력 파트너링을 체결했다. 이번 로슈와 체결한 공동 개발 합의는 앞서 체결된 파트너링 2건 보다 계약금 및 마일스톤 규모가 훨씬 크다.
이날 발표가 있은 후 다이서나 주가는 0.75달러(약 874원) 오른 16.49달러(약 1만9227원)을 기록했다.
원본보기
(바이오센추리=뉴스1) 성재준 바이오전문기자 = 다국적 제약사 로슈(Roche)가 미국 다이서나 파마슈티컬스(Dicerna Pharmaceuticals)와 새로운 B형간염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이를 위해 계약금 포함 16억7000만달러(약 1조9355억원)에 달하는 대형 거래가 성사됐다.
로슈는 지난 10월 31일(현지시간) 다이서나 파마슈티컬스와 B형간염 바이러스(HBV) 치료를 위한 RNA간섭(RNAi) 약물 후보물질 'DCR-HBVS'에 대한 공동연구 및 상업화를 위한 파트너링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다이서나가 바로 받을 계약금만 2억달러(약 2332억원) 규모로 이번 거래를 통해 다른 희귀질환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로슈는 이번 양사 합의를 통해 DCR-HBV 상업화에 대한 전 세계 독점적 권리를 획득했다. 로슈는 이를 위해 마일스톤으로 약 14억7000달러(약 1조6324억원) 및 10%대 중반대의 경상 로열티를 지급한다. 다이서나 테라퓨틱스는 로슈와 함께 DCR-HBV 개발을 지원하고 더욱 강화된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옵션을 획득했다. 또한 양사는 추가적인 HBV 치료법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DCR-HBV는 B형간염 항원 인코딩에 관여하는 X 유전자를 보호하는 B형 간염 표면항원(HBsAg) 유전자 서열 일부를 표적으로 한다. 개발 중인 다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법들과 차별화되는 부분이라는 설명이다. 다이서나는 이미 전임상 시험을 통해 DCR-HBV가 장기간 작용해 HBsAg 발현이 크게 감소된 것을 확인했다.
또한 양사는 HBV 치료법을 최대 5개까지 추가로 개발하는데 합의했다. 다이서나 테라퓨틱스는 DCR-HBV 외에도 숙주세포인자(host cell factor)와 바이러스 표적에 대한 RNAi 치료법을 연구 중이다.
제임스 웨이스만 다이서나 파마슈티컬스 부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다이서나같은 소규모로 역량이 집중된 회사는 한정된 환자들이 존재하는 희귀질환 프로그램을 발견하고, 개발 및 상업화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더 넓은 치료 분야에서는 더 큰 회사와 계속 협력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웨이스만은 HBV는 C형 간염과 같이 복잡한 질병으로 서로 다른 생물학적 매커니즘을 가진 약물을 병용 요법으로 치료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RNAi 치료제 2개를 조합할 수도 있고 RNAi 치료제에 로슈가 보유한 다른 유형의 파이프라인을 결합할 수도 있다고 했다.
로슈는 현재 HBV 관련 파이프라인을 3개 보유 중이다. 경구용 저분자 화합물 2개에 고정 핵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물질이 하나 있다.
와이스만은 로슈와의 파트너십에 대한 또 다른 장점으로 중국을 들었다. 로슈가 중국에서 제품 개발 및 상용화를 하고 있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세계 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5년 기준, HBV 감염 환자 수는 약 2억5700만명에 이른다. 그중 9000만명이 중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에는 660만명이 있고 유럽내 HBV 환자는 150만명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거래는 다이서나 테라퓨틱스가 진행하고 있는 자체적인 후보물질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이서나는 원발성 옥살산뇨증이라는 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DCR-PHXC를 개발 중이며 현재 임상2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다이서나 테라퓨틱스는 지난해 10월 일라이릴리와 제휴를 통해 심장병, 신경질환 및 통증 치료를 위한 RNAi 요법 공동 개발에 합의하고, 이어 알렉시온과 보체 경로 질환에 대한 협력 파트너링을 체결했다. 이번 로슈와 체결한 공동 개발 합의는 앞서 체결된 파트너링 2건 보다 계약금 및 마일스톤 규모가 훨씬 크다.
이날 발표가 있은 후 다이서나 주가는 0.75달러(약 874원) 오른 16.49달러(약 1만9227원)을 기록했다.
'건강정보 모음 > B&C형 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염은 무조건 간암 된다? 진실은 이것 (0) | 2019.12.23 |
---|---|
C형간염, 백신은 없지만 완치는 가능하다 (0) | 2019.12.16 |
신장질환자… B형간염치료 시 주의해야 (0) | 2019.12.11 |
肝癌 원인 70% 'B형 간염 바이러스' 잡으니… 생존율 3배 껑충 (0) | 2019.12.09 |
B형간염 - 만성 B형간염 치료제 베믈리디 2년 치료시 비리어드와 효과 비교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