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 혈당 높을수록 췌장암 발병 위험도 높아져"
박효순 기자[경향신문] ㆍ강북삼성병원 연구팀 분석
당뇨병뿐 아니라 당뇨병 전단계, 혹은 정상 범위의 혈당수치에서도 공복 혈당이 높을수록 췌장암의 발병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호철) 박철영·구동회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2013년 사이에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2280만명을 분석한 결과, 공복 혈당이 높을수록 췌장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8일 밝혔다.
췌장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음식물로 섭취한 당을 소장에서 흡수하면 췌장에서는 다량의 인슐린을 혈액으로 분비한다. 그동안 인슐린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질환인 당뇨병과 췌장암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았다. 그런데 이번 연구는 당뇨병 환자뿐 아니라 당뇨병 이전 단계의 사람들도 포함되는 결과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팀은 2280만명의 사람들을 낮은 정상(<90㎎/dL), 높은 정상(90~99㎎/dL), 전 당뇨병 수준(100~109㎎/dL), 당뇨병 전 단계(110~125㎎/dL), 당뇨병(≥126㎎/dL),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 중인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들을 추적 관찰해 5년간 췌장암 누적 발병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5년 누적 췌장암 발생률(10만명당)은 낮은 정상 32명, 높은 정상 41명, 전 당뇨병 수준 50명, 당뇨병 전 단계 64명, 당뇨병 75명,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 중인 그룹 121명 등으로 이미 진행된 당뇨병뿐 아니라 정상 범위의 혈당일지라도 공복 혈당이 높을수록 췌장암의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박철영 교수(내분비내과)는 “이번 연구는 건강검진을 통한 고혈당의 조기 진단과 식생활 조절을 통한 혈당 조절이 췌장암 발생의 위험도를 낮출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더 나아가 추후 혈당 조절이 췌장암의 발생을 낮출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동회 교수(종양혈액내과)는 “혈당조절과 췌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고지방 음식을 피하고 운동을 통한 체중 관리가 필수적”이라며 “또한 췌장암 병력이나 당뇨가 있는 사람들은 정기적인 검진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에 실렸다.
박효순 기자 anytoc@kyunghyang.com
'건강정보 모음 > 췌&담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물생선 회로 먹지 마세요. 담도암 제1의 원인 ‘간흡충’에 감염됩니다.” (0) | 2019.10.23 |
---|---|
췌장암 전문의가 말하는 췌장암과죽음에 대한 우리의 삶에 철학 (0) | 2019.10.18 |
췌장효소(Pancreatic Enzymes)와 암치료 (0) | 2019.10.07 |
가망 없는 췌장암? 1기 완치율 50%… 조기 발견도 늘었다 (0) | 2019.10.01 |
“민물생선 회로 먹지 마세요. 담도암 제1의 원인 ‘간흡충’에 감염됩니다.” (0) | 2019.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