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가 중요한가?
요즘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치료제의 특성을 살펴보면, 새로 나오는 신약마다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를 얼마나 빨리 잘 감소시키느냐를 광고하고 있다.
그럼, 왜 이렇게 DNA가 중요한 것인지 이유를 살펴보자.
우리나라보다 더 많은 간염 보유자들(인구의 약 20%)이 존재하며, 섬이라는 고립된 지역의 특성상 역학검사가 용이한 대만에서 10여년간 대규모로 이루어진 연구 결과, 간기능 손상을 말해주는 ALT (GPT) 수치와 상관없이 혈액 중 바이러스의 양 (즉, DNA양)이 많이 존재할수록 간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고 이는 간경변의 발생과도 연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The Risk Evaluation of Viral Load Elevation and Associated Liver Disease/Cancer라는 제목으로 수행되어 앞글자들을 따서 R.E.V.E.A.L 연구라고 부른다)
또한 면역이 억제된 환자인 심장 이식을 받은 74명의 B형 간염보유자들을 10년이 지나서 간 조직 검사를 시행해 본 결과, 간수치가 50 이하로 정상에 가까운데도 불구하고 간섬유증이나 간경변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가 높게 나타나서 면역이 억제된 상태에서는 보다 더 DNA를 억제해야 함을 말해 주고 있다.
다만, 이렇게 나쁜 DNA를 언제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해서 낮추어야 하느냐에 대한 문제는 좀 복잡하다. 현재로서 급여기준은 면역관용기 때부터 치료를 하기 보다는 면역제거기에 들어가서 치료를 권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 건보 재정과 경제논리에 의한것
이지만 면역관용기때부터 선진국은 치료를
시작 하고 있다
이제 간경변은 90%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지만
간암예방을 위해서 치료시기를 당기고 있다
'건강정보 모음 > B&C형 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V 대세 테노포비르AF, 안전성까지 확인 (0) | 2018.12.21 |
---|---|
완치율 99% ‘C형 간염’, 치료받는 환자는 빙산의 일각 (0) | 2018.12.20 |
같은 B형 간염약도 간암 발생률은 달라 (0) | 2018.12.19 |
B형간염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들을 소개하겠습니다. (0) | 2018.12.19 |
항체 없다는데…A형 간염 백신, 꼭 맞아야 할까? (0) | 2018.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