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강경훈 기자] GC녹십자(006280)는 지난 9일부터 13일(현지시각)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제 69회 미국 간학회 연차 학술대회’에서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 ‘GC1102’(헤파빅-진)의 만성 B형간염 치료에 대한 임상1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헤파빅-진은 면역글로불린 제제로 혈장에서 분리해 만든 기존 방식과 달리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들어 항체 순도가 더 높고 바이러스 중화능력도 뛰어나다.
GC녹십자는 헤파빅-진을 기존 혈장 유래 제품처럼 간이식 환자의 B형간염 재발을 막는 용도로 개발하면서 이와 별도로 만성B형 간염 치료에 대한 임상시험을 병행 중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헤파빅-진의 만성 B형간염 치료에 대한 투여 용량 대비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가 공개됐다. 헤파빅-진은 투여 용량을 최대로 늘려도 유의미한 이상반응이 생기지 않았으며 B형간염 표면 항원을 의미 있게 감소시킬 수 있는 투여용량 및 횟수도 확인했다.
임상시험 책임자인 안상훈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완치가 불가능한 만성 B형간염 치료 수준을 극대화하는 가능성을 엿봤다”며 “최근 임상 2a상에 진입한 만큼 항바이러스제와 병용 투여를 통한 치료 극대화 방법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훈 (kwkang@edaily.co.kr)
헤파빅-진은 면역글로불린 제제로 혈장에서 분리해 만든 기존 방식과 달리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들어 항체 순도가 더 높고 바이러스 중화능력도 뛰어나다.
GC녹십자는 헤파빅-진을 기존 혈장 유래 제품처럼 간이식 환자의 B형간염 재발을 막는 용도로 개발하면서 이와 별도로 만성B형 간염 치료에 대한 임상시험을 병행 중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헤파빅-진의 만성 B형간염 치료에 대한 투여 용량 대비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가 공개됐다. 헤파빅-진은 투여 용량을 최대로 늘려도 유의미한 이상반응이 생기지 않았으며 B형간염 표면 항원을 의미 있게 감소시킬 수 있는 투여용량 및 횟수도 확인했다.
임상시험 책임자인 안상훈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완치가 불가능한 만성 B형간염 치료 수준을 극대화하는 가능성을 엿봤다”며 “최근 임상 2a상에 진입한 만큼 항바이러스제와 병용 투여를 통한 치료 극대화 방법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훈 (kwkang@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