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치율 99% ‘C형 간염’, 치료받는 환자는 빙산의 일각
[닥터 쿠(khu)의 건강이야기]
완치율 99% ‘C형 간염’, 치료받는 환자는 빙산의 일각
간염을 방치하면 건강에 치명적인 간경변(간경화증),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국내 암 사망률 2위를 차지하는 간암의 80%가 B‧C형 간염 바이러스에 때문에 발병합니다. 그나마 B형 간염에 대한 인식은 많이 개선됐지만, 아직 C형 간염에 대한 대중의 이해가 부족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C형 간염에 따른 간질환도 만성화되면 위험하지만, 다행히 조기 발견해서 치료하면 완치율이 99%에 이릅니다.
C형 간염 방치, 간경변증‧간암으로 이어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조사결과에 따르면 C형 간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C형 간염 환자가 2012년 4만5890명에서 2016년 4만9569명으로 5년 새 약 8% 늘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병원에서 치료받는 환자 비율이 10% 미만인 것으로 추산합니다. 환자가 더 많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대한간학회는 약 30만 명으로 추정합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 2년에 한 번 건강검진을 진행하지만 국민건강검진에 C형 간염 항체검사는 포함돼 있지 않아서 치료받지 못하는 환자가 많습니다.
간염은 과하고 지속적인 음주뿐만 아니라 성분 미상 또는 과량의 약제나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해도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A형 간염은 증상이 심해도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지 않지만 B‧C형 간염은 급성 간염 후에도 만성 간염으로 지속될 수 있습니다.
아직 인식이 부족한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체액 등으로 감염됩니다. 감염 경로는 혈액, 주사기, 면도기 등입니다. 소독을 제대로 하지 않은 기구로 진행한 문신과 피어싱 시술, 침이나 주사바늘의 재사용, 정맥주사약물 남용 등으로 인한 C형 감염이 사회적 이슈가 된 적 있습니다.
C형 간염, 적절히 치료하면 완치 효과 기대
C형 간염은 한 번 감염되면 만성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간경변증‧간암으로 악화돼 사망에 이를 수도 있어서 조기발견이 중요합니다.
C형 간염의 70~80%가 만성간염으로 진행합니다. 이 중 30~40%가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쉽게 피로하고, 입맛이 없고, 오심과 구토가 생기면 간염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염 증상이 워낙 다양해서 증상으로 간염을 알아차리긴 어렵습니다. 때문에 혈액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침을 맞거나 문신‧피어싱을 할 땐 반드시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외에 면도기‧칫솔‧손톱깎이 등 혈액에 오염될 수 있는 모든 물건이 간염을 전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C형 간염은 아직 백신이 없습니다. 하지만 유전자형에 따라 차이가 있어도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 완치율이 99%에 이릅니다.
그러나 C형 간염도 다른 바이러스성 간염처럼 만성화 되면 증상 발견이 힘들어서 병을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건강보험공단의 국민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도움말 :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신현필 교수
'건강정보 모음 > B&C형 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정 진료가이드라인ㅡ 면역관용기 치료 (0) | 2018.11.20 |
---|---|
B형간염 치료의 최신 지견 (0) | 2018.11.19 |
항바이러스제는 언제부터 복용해야 하는가? (0) | 2018.11.15 |
* e항원음성일 때 (0) | 2018.11.14 |
dna바이러스수치의 중요성 (0) | 201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