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부르기 전에 숟가락을 놓아라'
그리고 어른들이
밥상머리에서 가르친 또 한 가지.
"배부르기 전에 숟가락을 놓아라."
이 가르침을 충실이 따른 자식들이 몇이나 될까.
어른들은 왜 이런 말을 지치지 않고 되풀이했을까.
우리의 생활 속에 밀착된 금언에 이런 것이 있다.
"과식해 탈 안나기 어렵고, 소식해 탈 나는 일
없다."
- 조정래, 조재면의《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중에서 -
* 한 숟가락 덜 먹는 것과
한 숟가락 더 먹는 것은 엄청난 차이입니다.
궁핍한 시대에는 배부른 것이 최우선이었지만
이제는 달라졌습니다. 배부른 것에 익숙해지거나
즐기게 되면 언젠가 반드시 탈이 납니다.
식사 전에 한 숟가락을 먼저 덜고
먹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밥상머리에서 가르친 또 한 가지.
"배부르기 전에 숟가락을 놓아라."
이 가르침을 충실이 따른 자식들이 몇이나 될까.
어른들은 왜 이런 말을 지치지 않고 되풀이했을까.
우리의 생활 속에 밀착된 금언에 이런 것이 있다.
"과식해 탈 안나기 어렵고, 소식해 탈 나는 일
없다."
- 조정래, 조재면의《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중에서 -
* 한 숟가락 덜 먹는 것과
한 숟가락 더 먹는 것은 엄청난 차이입니다.
궁핍한 시대에는 배부른 것이 최우선이었지만
이제는 달라졌습니다. 배부른 것에 익숙해지거나
즐기게 되면 언젠가 반드시 탈이 납니다.
식사 전에 한 숟가락을 먼저 덜고
먹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행복을 여는 글 > 고도원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정이란 (0) | 2018.10.15 |
---|---|
고요히 걷는다 (0) | 2018.10.12 |
숲으로 가면 산다 (0) | 2018.10.10 |
응어리를 푸는 방법 (0) | 2018.10.09 |
모든 아픈 이들에게 (0) | 2018.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