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 고혈압 & 당뇨

당뇨병환자 많은 우리나라, 작은 ‘췌장(膵臟)’이 원인

암사랑 2018. 9. 3. 08:59

당뇨병환자 많은 우리나라, 작은 ‘췌장(膵臟)’이 원인

         

    분당서울대병원 임수 교수팀은 우리나라 사람의 췌장 크기가 작고 인슐린 분비능이 떨어져 당뇨병에 잘 걸린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임수 교수팀, “서양인보다 췌장크기 작고 인슐린분비능 낮기 때문”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해 식사량이 적고 비만도도 낮지만 췌장의 크기가 작고 인슐린 분비능이 떨어져 당뇨병에 잘 걸린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팀은 비슷한 체격과 연령대의 한국인과 서양인을 대상으로 췌장의 크기와 인슐린 분비능을 비교해 당뇨병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서양인과 체구도 다르고 식사량이 적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무슨 이유로 당뇨병에 잘 걸리는지 명확하게 밝혀진 근거가 없었지만 이번에 췌장의 크기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임수 교수팀은 최첨단의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해 한국인과 서양인의 췌장 용적 및 췌장 내 지방 함량을 비교했다. 이와 함께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능과 당대사능을 측정해 췌장의 크기 및 지방함량과 인슐린 분비능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했다.

연구는 체격이 유사한 30대 연령의 한국인과 서양인 각 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우선 기본 혈액검사 결과, 공복혈당 및 당화혈색소 수치는 양쪽 그룹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모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췌장의 용적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이 서양인에 비해 췌장의 크기가 12.3% 정도 작았으며 오히려 췌장 내 침착된 지방의 양은 서양인보다 22.8%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가장 중요한 췌장의 기능에 있어서도 한국인은 췌장의 크기가 큰 서양인보다 인슐린 분비능력이 36.5% 정도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양인과 체형이 비슷하다 하더라도 한국인 췌장의 절대적인 크기가 작고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해 결국 당뇨병 발생에 취약해 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저하 2가지 기전을 통해 발생한다.

베타세포의 기능저하는 췌장에 손상이 생겨 인슐린분비가 제대로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베타세포는 췌장에 있는 소도라는 세포무리에 포함돼 있다. 따라서 췌장의 전체 크기가 클수록 소도의 개수가 많고 이를 통해 베타세포를 통한 인슐린분비능력이 좋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 췌장 내 지방이 많으면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염증유발 물질 사이토카인, 혈관활성화 물질 등이 베타세포를 감소시키고 췌장의 기능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적으로 한국인은 동인한 체구의 서양인보다 췌장의 크기가 작아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이 저하되고 이와 함께 췌장 내 침착된 지방이 췌장기능을 더 악화시켜 당뇨병에 취약한 것이다.

임수 교수는 “최첨단의 컴퓨터 단층 촬영 기법을 이용해 췌장의 볼륨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했다는 점과 한국인과 서양인을 비교했다는 점, 췌장기능을 정밀하게 측정했다는 점에서 연구 성과와 의미가 있다”며 “무엇보다도 20세 이상의 한국인 10%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만큼, 국내 당뇨병환자 증가원인에 대한 새로운 근거를 제시했다는 부분에 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 최초로 한국인과 서양인의 췌장 크기와 기능을 비교해 동양인에서 호발하는 당뇨병의 발생기전을 제시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 과학 저널인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에 게재됐다.

<헬스경향 유대형 기자 ubig23@k-healt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