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20대의 당뇨병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서지영 교수와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가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당화혈색소의 정상분포’란 제목으로 발표한 연구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10~20대의 당화혈색소 수치는 미국에 비해 월등히 높으며, 10명중 1명은 당뇨 전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화혈색소(HbA1c)란 당뇨병의 조절이나 합병증 예측에 사용되는 지표다. 당뇨병이 없는 사람의 정상적인 당화혈색소 수치는 5.7% 미만이다. 5.7%이상일 경우 당뇨 전단계로서 향후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상태다.
2011~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6천418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 따르면 국내 10~20대의 당화혈색소 평균값이 5.37%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대로 살펴보면 10~14세(평균 5.45%)가 가장 높다. 15~19세는 평균 5.4%, 20~24세는 평균 5.31%, 25~29세는 평균 5.34%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평균 5.38%)가 여자(평균 5.35%)보다 높았다, 또한 조사 대상자 중 10%는 당화혈색소 수치가 5.7% 이상이었다. 미국 3차 국가건강영양조사(NHANES)에서 발표한 비슷한 연령대의 백인(평균 4.90%), 흑인(평균 5.10%) 당화혈색소 수치보다 월등히 높은 값이다.
서지영 교수는 “원인은 불분명 하지만 탄수화물을 주식으로 삼는 아시아권 식습관과 당화혈색소와 관련 있는 적혈구 대사가 인종에 따라 다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10~14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것은 사춘기 때 인슐린 저항성이 높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한국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당화혈색소 분포에서 상위 10%는 당뇨병의 위험성이 높은 당화혈색소 5.7% 이상으로 당뇨병 전 단계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07/201806070189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