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타/정겨운 사진들

천년 전 옛 사람의 얼굴은 어떤 모습일까?|◈─……

암사랑 2017. 11. 10. 11:36

천년 전 옛 사람의 얼굴은 어떤 모습일까?|◈─……追憶의 사진

꿈의 대화.                              http://cafe.daum.net/fateful-119/AnTO/2914 

 

 

 

고인골 복원 이미지. 문화재청 제공

발굴조사에서 나온 옛 사람의 ‘인골’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복원하면 어떤 이미지일까.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9월 경주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 설명회에서 공개한 바 있는 인골의 복원 이미지를 2일 선보였다.

이 인골들은 동궁과 월지의 동쪽 우물에서 나왔다. 우물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토기와 작은 사슴을 넣어 의례를 지낸 뒤 폐기됐는데, 그 위의 토층에서 사람 뼈가 발견된 것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당시 “인골의 주인은 30대 남성과 8세 소아, 3세 이하의 유아, 6개월 미만의 아이로 추정된다”며 “우물을 무덤처럼 활용한 것인지, 인신공양 의례를 치른 것인지는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오는 9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스위트호텔에서 ‘고인골’(古人骨)을 주제로 학술세미나를 연다. 이 인골들의 고고학적 의미와 형질 특성, 식생활, 얼굴 형태 등을 분석한 결과를 내놓는다.

장은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이날 발표될 발제문에서 “인골이 출토된 층위의 추정 시기는 982∼1025년으로, 고려 초기에 해당한다”며 “인골 4구의 매장 맥락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으나, 현재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신지영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고인골로 과거 생활상을 추정했다. 신 학예연구관은 “우물에서 나온 성인 인골은 벼, 보리, 콩 위주의 섭취를 한 것 같다”며 “유아와 영아는 모유를 먹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학술세미나에서는 이원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의관이 고인골을 바탕으로 복원한 얼굴 모습이 영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관련

'기 타 > 정겨운 사진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66년 서울모습  (0) 2017.11.15
희귀한 역사의 사진들  (0) 2017.11.13
51년 훈련소에 신병들|  (0) 2017.11.08
전통 혼례 아름다운 풍속 신랑 다루기  (0) 2017.11.06
조선시대 장터 모습들  (0) 2017.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