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복수&부종&황달

간경변(간경화)환자의 복수에 이뇨제는 콩팥에 십자가를 메게 하는 짓이다!

암사랑 2016. 3. 14. 17:42
간경변(간경화)환자의 복수에 이뇨제는 콩팥에 십자가를 메게 하는 짓이다! 합병증(흉/복수조절) / B형간염/간경화/간암 자료실





복사 http://blog.naver.com/kimyhkimyh/220652797662


 




출처 : http://m.blog.naver.com/b12144/220230419354



이뇨제들은 콩팥에 지장을 주는 것들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약물치료는 콩팥에 십자가를 메게 하고, 간경변증 자체의 치료가 아닌 복수만을 없애주어 환자나 의사가 만족하기 위해서 하는 짓이라는 것 외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 -정환국 교수(가톨릭의대 /내과)-

 

유럽 최고의 간전문 이종수 박사, "간이 크게 망가져도 신장만 튼튼하면 치유될 수 있는 희망이 있다”

독일 본 대학의 종신교수이자 유럽 최고의 간전문 의사인 이종수 박사는,

 “간이 아무리 나빠져도 신장만 튼튼하면 치유될 수 있는 희망이 있다”고 그의 저서 '간 다스리는 법'에서 밝힌바 있다.또한 “심장이 약하거나 대장이 좋지 않으면 간질환 치유에 지장이 있다”고 하였다.

이유는 간의 하대정맥(下大靜脈)을 통해 혈액이 심장으로 가는데 심장의 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혈액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해 간이 부담을 갖게 되며 대장의 기능이 약하여 암모니아가 많이 발생하면 이를 간이 해독하여야 하기 때문에 치료에 지장을 받기 때문이다.

 

대장에서 많이 발생한 암모니아를 간에서 제대로 해독하지 못하면 뇌로 올라가서 혼수상태를 유발하게 된다. 이외에도 간경화 환자가 위,십이지장 궤양 발생율이 일반인들에 비해 5~10배 높은데 이유는 아직 밝히지 못하고 있다.

'간신동원(肝腎同源)'

'간신증후군(肝腎症侯群,간이 나쁘면 신장이 같이 나빠진다)' 김동우 교수(경원대. 한의학 박사)는 그의 저서‘한방으로 다스리는 간’에서, 간경변(간경화)의 말기 증상인 ‘간신증후군’ 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간담도 질환' 환자에게는 신부전증이 오는 경우가 적지 않다. 급성세뇨관 괴사의 경우와 구별되는 기능적 신부전증을 간신증후군이라고 한다. 간신증후군의 신장조직은 정상이지만 기능적인 신부전증이 온다. 한방에서는 '간신동원(肝腎同源)'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 말은 '간장과 신장은 뿌리가 같은 장기'라는 뜻이다.  

간장과 신장은 증상발현과 반응이 더디기 때문에 한의사가 간장과 신장을 치료할 때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낭패를 보게 되는 것이다. "결국 버팀목이 끝에서 갑자기 무너지는 질환이 '간신증후군'이다"』고 하였다.

나또한 말기 간경변으로  진단 받기 훨씬 이전부터 소변 검사에서 항시 혈뇨가 검출되었다. 그러니까 간이 깨지면 신장도 깨지고, 신장이 깨지면 간도 깨진다는 이야기다.

간신증후군이 생기는 이유

 

간신증후군(肝腎症侯群-Hepatorenal syndrome)은 간경변증(肝硬便症)이나 급성간부전(急性肝不全-acute liver failure)으로 인하여 급격하게 신장기능(腎腸機能-kidney function)이 악화되는 상태를 말한다.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신장의 혈액역동학이 관련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간경변(간경화)과 함께 내장혈관이 확장되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신혈관이 수축되어 생기는 현상으로 생각된다고 한다. 그 결과 요독증, 저나트륨혈증, 핍뇨(소변양 감소), 저혈압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기초병변으로서 중증 간염, 간경변말기, 폐색성황달 등이 있으며 지나친 이뇨제 투여, 복수천자( 인위적으로 배에 주사기를 찔러 복수를 뽑아내는 것), 설사가 심한 위장관출혈, 수술침습 등을 계기로 해서 발병한다. 일반적으로 간신증후군이 발생하면 예후는 극히 불량하다. 따라서 얼마 더 살아보고자 한다면 그래도 간이식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복수란 혈액 중의 액체성분의 일부가 혈관 벽으로부터 빠져나와 복강 내에 수분이 고여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복수의 대부분(약 85%)은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하지만 15% 정도는 악성종양, 결핵성 복막염, 간매독, 신장 질환이나 심장질환등의 간질환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수가 생기는 이유는 체내 수분과 염분의 과다 상태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상태를 유도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고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현대 아산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