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검사&의학용어

혈액검사 판독자료

암사랑 2015. 11. 13. 09:20

혈액검사 판독자료

혈액검사 판독자료 / B형간염/간경화/간암 자료실

 

복사 http://blog.naver.com/kimyhkimyh/220522889932

 

▶Routine CBC의 측정 항목


1. WBC (백혈구) 측정


WBC의 임상적 의의는 염증의 지표로서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검사방법에 따라 오차의 발생 정도가 커질 수 있으나 그동안 검사방법도 상당한 발전을 가져와 이제는 거의 완벽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 임상참고치 : 4,000 ∼ 10,000

- 증가 : 급만성백혈병. 급성감염증

- 감소 : 재생불량성빈혈. 과립구감소증. 악성빈혈. 비장기능항진.


2. RBC(적혈구) 측정


빈혈여부 및 그 원인을 알기 위한 필수적인 검사가 되었다.


- 임상참고치

. 남 : 440만 ∼ 560만

. 여 : 350만 ∼ 500만

- 증가 : 진성다혈증.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 감소 : 각종빈혈


3. Hgb(혈색소) 측정


Hemoglobin의 측정은 현재에도 빈혈 여부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지침이 되는데 육안으로 혈액의 색깔을 비교해 보는 비색법도 있으나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요즘에는 광전비색계를 이용한 Cyanmethemoglobin법을 사용함으로써 정확하게 분 석해 내고 있다.


- 임상참고치

. 남 : 14 ∼ 17 g/㎗

. 여 : 12 ∼ 16 g/㎗

- 증가 : 적혈구증다증.

- 감소 : 빈혈. 백혈병


4. Hct 측정


Hemoglobin과 Hematocrit를 같이 측정함으로써 대략적인 빈혈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진정한 목적이 있다.


- 임상참고치

. 남 : 38 ∼ 52%

. 여 : 36 ∼ 46%

- 증가 : 구토. 설사. 선천성심질환. 고산병. 폐기종

- 감소 : 각종 빈혈. 철결핍성 빈혈

Ⅵ. 임상병리학적 검사


여기에서는 본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임상병리학적 검사에 관한 내용을 설명한다.




1. 일반 혈액검사(Routine hematology)


(1) CBC(Complete blood cell count)


가. WBC(White blood cell, 백혈구)

1) 백혈구의 혈액 단위당 숫자이다.

2) 백혈구는 감염의 발생시 가장 일선에서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들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생기에 reticuloendothelial system의 모세포에서 분화되어 생성되며 임파선이나 지라에서 reside되어 단핵구나 임파구로 분화된다(골수내 작용).

3) 정상치 : 4,800~10,800/mm3

4) 증가시를 leukocytosis라 하며 주로 감염시에 나타난다. 감소시 leukopenia라 하며 typhid fever, brucellosis 등의 특이 감염과 쇽이나 항암 요법 등에 의한 골수기능저하시에 나타날 수 있다.


나. RBC(Red blood cell, 적혈구)

1) 정상치

남 : 470만~610만/mm3

여 : 420만~540만/mm3


다. Hb(Hemoglobin, 혈색소)

1) 정상치

남 : 14.0~18.0gm/dl

여 : 12.0~16.0gm/dl


라. Hct(Hematocrit)

1) 100ml의 혈액내에 포화된 적혈구의 용적을 의미한다.

2) 정상치

남 : 42~52 vol%

여 : 37~47 vol%


E-G는 적혈구 항수를 의미하며 이는 적혈구수, 혈색소량 및 hematocrit의 상호 관계를 비율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마. MCV(Mean corpuscular volume, 적혈구의 평균 용적)

1) 적혈구 한 개당의 용적을 μ3로 표시한 것

2) 공식은 (Hct.x10)/RBC(100만 단위) = MCV

3) 정상치

남 : 80~94 μ3

여 : 81-99 μ3


바. MCH(Mean corpuscular hemoglobin, 적혈구의 평균 혈색소량)

1) 적혈구 한 개가 가지는 혈색소량의 평균치를 μμg 또는 γγ로 표시한다.

2) 공식은(Hb x 10)/RBC(100만단위) = MCH

3) 정상치 ; 27~31 μμg


사. MCHC(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적혈구의 혈액소 평균농도)

1) 적혈구 항수중 가장 신빙성이 있으며, 이는 한 개당의 적혈구가 가지는 혈색소의 농도의 평균을 %로 표시한 것이다.

2) 공식은(Hb/Hct.) x 100 = MCHC(%)

3) 정상치는 33~37%


아. RDW(reticulocyte distribution width)

1) 정의 : RBC의 size에 따른 분포

2) 정상치 : 11.5-14.5%


자. PLT(Platelet count, 혈소판 수)

1) 정상치 : 13만~40만/mm3

2) 판독

A. Thrombocytosis

a) 생리적인 혈소판 증가를 의미하며 출혈이나 운동 후에 흔히 나타난다.

b) polycythemia vera

c) megakaryocytic leukemia,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B. Thrombocytopenia

a) 출혈이 중대한 증상이 되며 20,000/mm3 이면 자연 출혈이 발생한다.


차. PCT : 0.115~0.32%


카. MPV : 7.2~11.1(fl)

2-70mm 사이 세포들의 volume


타. PDW(platelet distribution width) : 15.5~17.5%


(2) 백혈구 감별계산(White cell differential count)

1) neutrophil, eosinophil, basophil, lymphocyte, monocyte 등의 상대적인 양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 이 외에 병적으로 나타나는 비전형적인 임파구, 미성숙된 과립구, 조세포 등이 나타나는 경우 이의 백분율로 표시한다.

2) 정상치

Neutrophils 40~74%

임파구 19~48%

단핵구 3.4~9%

호산구 0~7%

호염기구 0~1.5%

3) 평가

가. 중성구 : 증가시 급성 감염이나 골수성 백혈병시 나타나며 감소시는 약물 효과, 애디슨 병, 무과립세포증, typhoid fever 등에 나타날 수 있다.


나. 호산구 : 알레르기나 기생충 감염시 증가하며 쇽이나 출혈시 감소한다.


다. 임파구 : Infectious mononucleosis, Lymphoma, Granulomatous disease시에 증가될 수 있다.


라. 단핵구 : 결핵, 단핵구성 백혈병, 기생충 감염시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마. 호염기구 : 골수성 백혈병과 Polycythemia vera시에 관찰된다.


(3) PBS smear : Blood cell morphology


(4) Eosinophil count

1) 백혈구의 감별 숫자중의 산성구의 절대적인 수를 의미하며 정상 성인 0~450개/mm3 이다.


(5)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적혈구 침강속도)

1) 적혈구 침강속도는 응고되지 않은 혈장내에서 적혈구가 침강하는 속도를 말한다.

2) 정상치

남 : < 9mm/hr

여 : < 20mm/hr


3) 관련되는 요소

가. 혈장 요인

a) fibrinogen이나 gammaglobulin 등의 단백이 영향을 준다.

b) Albumin은 낮추고, globulin은 증가시킨다.

나. 적혈구 요인

a) 적혈구의 크기나 수도 적혈구 침강속도에 기여한다.

b) 모양의 변화가 침강속도를 느려지게 한다.

다. 물리적 요인

a) 검사시 tube의 온도나 크기, 각도가 침강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깝게 나타나는 경우

a) 혈액성 질환

b) 국소적 감염

c) 양성 종양

라. 감소하는 경우

a) Polycythemia vera

b) Sickle cell anemia

c) Hyperviscosity syndrome 등의 macroglobulinemia


(6) Reticulocyte count

1) 명칭의 유래

검사실에서 

4) 평가

가. 생리적인 적혈구 침강속도가 증가한 경우

임신, 정상 어린이의 10%에서

나. 증가 요인

a) 감염 ; 결핵, 면역글로부린의 증가, Rheumatoid and pyogenic arthriti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b) 글로부린의 상대적인 증가시 : 신장 질환, 만성 간 질환

c) 글로부린의 절대적인 증가시 : 다발성 골수종, 임파종 등

d) 악성 암종이나 심근경색 등으로 인한 현저한 조직 괴사

e) 임신, 월경 등의 생리적 요인과 간경화시

f) 용혈성 빈혈

g) 이유없이, 노인에서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다.관찰시 vital dye에 의해 세포가 죽고 나서 세포질내의 기관들이 침전되어 실 모양의 intercytoplasmic reticulum이 출현한다는 데서 기원한다.

2) 공식

1000개의 적혈구에서 산정된 reticulocyte의 수를 10으로 나눈 것이다.

3) 정상 성인 : 0.5~1.5%

4) 이는 골수의 erythropoietic activity를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증가하는 경우 용혈성 빈혈이나 erythropoietin stimulation시 등이고 감소하거나 거의 정상에 가까운 경우는 악성 빈혈, thalassemia, sideroblastic anemia 등의 경우이다.

======================================================

2. 일반 화학검사 (I)


(1) Total Protein & albumin

1) 정상치

a) total protein : 64~82g/L

b) albumin : 34~50g/L

2) albumin의 증가는 어떤 원인에 의한 탈수에 의해 혈액의 농축이 나타난 경우이며 감소는 단백의 섭취가 작을 때, 간에서의 합성이 적을 때, 뇨나 조직액체강으로 단백의 손실이 있는 경우, 혈액의 희석의 경우이다. globulin의 증가는 감염이나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기타 간 질환시에 증가한다.


(2) 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1) Bilirubin은 혈색소 퇴화의 최종 산물이다. 간에서 혈색소의 제거가 일어나므로 간 기능의 평가에 중요하다. 적혈구가 수명이 다하면 혈색소를 유리한다. 이는 heptoglobin에 의해 전송되고 색소와 함께 신체의 scavengers 세포에 의하여 제거되어 bilirubin으로 전환된다. Bilirubin은 hemoxygenase에 의해 biliverdin, 일산화탄소, 철분으로분해되어 철분은 재활용되고 일산화탄소는 폐에서 제거되며 biliverdin은 bilirubin reductase와 NADPH에 의해 bilirubin으로 환원된다. Bilirubin의 전체 plasma binding capacity는 20~25mg/dl 정도이다.

2) Bilirubin 측정의 임상적 용도

혈장에서 bilirubin 수치가 2mg/dl 이상이면 황색을 보이고, 이를 황달이라 한다. 이때의 혈청은 어두운 색을 나타내며 "icteric"이라 한다.

3) 용혈성 황달

적혈구의 파괴 속도가 정상보다 빨라서 순환하는 bilirubin의 양이 증가한다. 이 양이 간의 분비 기전의 용량을 초과할 때 혈청내의 bilirubin의 수준이 정상보다 높아져 용혈성 황달을 보인다. 이 중 소량만이 결합형으로 나타나며 혈청내의 bilirubin은 대부분 결합되지 않은 형태이며, 혈청내의 albumin과 결합하여 뇨배설을 억제한다. 반면 urobilinogen은 뇨에 많이 나타난다. 용혈에 대한 반응으로 담즙의 형성이 증가되고 urobilinogen 생산이 증가한다.

4) 폐쇄성 황달

이는 정상적인 담즙 흐름의 장애이다. Bilirubin은 정상적 형태로 장에서 결합되지만 담관으로 나가지 못하고 순환계로 반응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혈청내의 bilirubin 농도가 증가하며 이들의 대부분은 결합된 형태이다. 비정상적 색소가 신장내로 나가고 뇨에서 발견된다. 완전히 폐쇄되면 소장으로 가는 담즙이 없어 대변이 회색을 띠며 urobilinogen은 형성되지 않는다.

5) 간세포성 황달

간 세포들이 손상을 받게 되면 bilirubin을 결합시키는 능력이 감소되고 담즙의 분비시에 부분적인 폐쇄가 나타난다. 전체 혈청내의 bilirubin은 증가하고 이 중 결합된 형태의 비율은 전체의 80% 이상이거나 20% 이하가 되는 등 다양하다. 뇨내의 bilirubin은 혈청내의 결합된 bilirubin양에 비례하고 urobilinogen은 간의 재분비 능력이 심한 장애를 보이므로 뇨에서 현저히 증가한다.

6) 선천성 황달

선천적인 황달은 하나 이상의 세포내의 배설 과정에 장애가 있는 광범위한 질환을 말한다.


가. 생리적 황달

일시적이고 약한 결합되지 않은 bilirubin이 뇨내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유아에 많이 나타나 5일 정도에 사라진다.


나. Crigler-Najjar syndrome

혈장에서의 결합되지 않은 bilirubin의 수치가 20-40mg/dl 사이로 많은 양이 일생동안 나타나는 것으로 유전된 glucoronyl transferase의 결핍의 결과이다. 이는 2가지 임상적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출생후 1-3일째 나타나는 색소가 다른 조직들 뿐아니라 뇌에 들어간다. 이때 Kernicterus가 나타나며 정신박약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른 하나는 더 후에 나타나는 더 약한 질환으로 bilirubin 수치가 6-20mg/dl 사이로 다양하며 보통 신경학적 손상은 없다.


다. Gibert's syndrome

Glucoronyl transferase의 양성 결핍으로 생각된다. 일생동안 다른 영향은 보이지 않는 약하고 결합되지 않은 bilirubin이 많이 나타난다.


라. Dubin-Johnson syndrome

색소가 간 세포들에 보유되는 낮은 수준의 만성 결합된 bilirubin이 많이 나타나며 간은 흑색을 띄게 된다. 담즙은 변형된 경로에 의해 정상적으로 분비된다.


7) 정상치

a) Bilirubin total : 0-17.1 micro mol/L

b) Bilirubin direct : 0-5.0 micro mol/L


(3) Cholesterol, total

1) 혈청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지질로 이중 70%는 긴 사슬을 가진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 되어 있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간에서 주로 일어나며 에스테르화가 된 것과 안된 것의 비율을 구하는 것이 간기능 검사를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2) 정상치 : 3.1~7.3 mmol/L

3)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a) 비조절성 당뇨병

b) 생리적으로 폐경기 이후 남자보다 증가한다.

c) Nephrotic syndrome

d) Hypothyroidism

e) Hypercholesterlemia --- artherosclerosis

4) 농도가 감소하는 경우

a) 소모성 질환이나 결핵

b) 염증성 간염이나 심한 간 괴사시

c) Hyperthyroidism

d) 말기 악성 종양


(4) AST(GOT) & ALT(GPT)

1) GOT(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는 transaminase의 일종으로서, 케토산과 아미노산간의 아미노기 교환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이들은 심장, 근육, 골격근 및 간조직에 가장 고농도로 존재하며 이들 조직의 세포 손상시 손상된 세포로 부터 혈류내로 유리되어 SGOT, SGPT가 된다. 특히 SGOT는 심근경색증 발생 후 8-12시간 사이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24-48시간 사이에 최고조에 달한 다음 3-8일 후에는 정상으로 되돌아오는 경우가 보통이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심근경색증에 대한 진단법의 일환으로서 SGOT측정이 이용된다. 그러나 간 질환의 경우에도 SGOT가 증가하므로 SGOT 측정이 심근경색증 진단에 절대적인 검사는 못된다. 반면 SGPT측정은 전염성 간염에 대한 진단법의 일환으로써 이용된다.

2) 정상치

a) AST(GOT) : 15-37unit/L

b) ALT(GPT) : 30-65unit/L

3) 평가

가. SGOT의 증가

a) 심근경색증

b) 전염성 단핵증(infectious mononucleosis)

c) 간경변증(liver cirrhosis)

d) 담도폐쇄(biliary obstruction)

e) 췌장염(pancreatitis)

f) 전이 간암(metastatic hepatoma)

g) 장시간의 쇽

h) 근육 손상

i) polycilin, opiates, erythromycin 등의 약물에 의한 가성 증가


나. SGPT의 증가

a) 심근경색증

b) 전염성 단핵증

c) 전염성 간염

d) 기타 간 질환


(5) ALP(Alkaline phosphatase)

1) Alkiline phosphatase는 alkaline media에서 phosphate ester의 가수분해에 촉매 작용을 하는 생리적 기능을 갖는다. 효소의 분비처는 조골 세포, 백혈구, 담소관의 세포, 근심소관, 태반, 활성 유선에서 합성된다. 정상적인 경우 혈청에서 발견되는 것은 간과 골에서 나오는 alkaline phosphatase이다.

2) 정상치 : 50~136 unit/L

3) 정상보다 활성이 낮은 경우

a) 심한 영양장애

b) 전신 방사선 조사시

c) achondroplasia

d) scurvy

4) 정상보다 활성이 높은 경우

a) 골에서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Paget's 질환, 구루병, 골다공증, 조골세포성 육종,

b) 뇌하수체 거인증

c) 소장에서 지방변증, 식후, 지방이 많은 음식의 섭취시

d) 신장 경색

e) 폐쇄성 간 질환시


(6) GGT(γ-Glutamyltranspeptidase)

1) 간 질환시 매우 민감하다.

2) 정상치 : 5~85 unit/L

3) 활성이 증가하는 경우

a) 신장 신생물, 신증후군, 신장 이식의 거부 현상, 신장 투석

b) 급만성 췌장염

c) 당뇨병

d) 울혈성 심장 질환, 급성 심근 경색, 협심증

e) 전립선 암

4) 담관의 폐쇄시에 매우 증가하나 알콜 중독시 매우 민감하다.


(7) BUN(Blood urea nitrogen)

1) 생리 작용

Urea는 ornithine-arginine-urea cycle의 최종 산물로 간에서 만들어지며 endogenous body protein이나 exogenous dietary protein의 정상적인 이화 작용에서 생성된다. 사구체에서 여과되어 tubular system으로 가며 이곳에서 재흡수되거나 뇨로 나가게 된다. 재흡수되는 양은 전적으로 tubule에서의 수분의 흐름에 의존하는데 탈수 상태에서는 물과 함께 재흡수가 많이 되고 이뇨 상태에서는 배출이 많이 된다.

2) 임상적 해석

가. 혈장내 평균 수준 : 2.5~6.4 mmol/L

나. 8mg 이하인 경우

a) 신소관내 재흡수의 희석과 결여

b) 간 질환으로 인한 urea 합성의 감소

c) 기아로 인한 외부 단백질의 공급 부족

d) 반복되는 복막 투석

다. 증가하는 경우

a) 전신(前腎)적 원인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과도한 단백질을 섭취한 경우와 소장내의 혈액의 존재시 나타나며, 열, 스테로이드 사용이나 종양으로 인하여 과도한 조직 단백질의 이화 작용이 있을 때, 울혈성 심부전에 의한 신장으로의 혈액공급 감소시와 심한 탈수시에 가능하다.

b) 신(腎) 원인

사구체의 여과율 감소, urea 제거 능력 장애 등의 다양한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

c) 후신(後腎)적 원인

세뇨관의 양측성 폐쇄, 요도 폐쇄, 방광에서 뇨가 빠져나가지 못할 때 나타난다.


(8) Creatinine

1) 생리 작용

Creatinine은 creatine 대사 작용의 배설물이다. Creatinine은 간과 췌장에서 합성되고 많은 기관 특히 근육에 이동하여 인산화에 의해 고에너지를 축적한다. Creatinine이 합성되어 혈류내로 확산되고 사구체의 여과 작용에 의해 제거된다. 신관에서는 극히 소량만이 배출된다.

2) 평가

가. 하루중 전체 체내의 creatine 중 2%가 creatinine으로 탈수되고 그 양은 몸의 크기와 대사율에 의존할 뿐 거의 일정하다. Creatinine은 혈류내로 가는 것이 일일 섭취량, 사구체에 존재하는 부하량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거의 일정하다. Creatinine의 배출은 거의 사구체의 여과에 의하기 때문에 혈청내 creatine의 농도는 사구체 여과율을 반영한다.

나. 평균 혈장 수준 : 53~65 micro mol/L

다. Creatinine에 대한 혈청내 urea nitrogen의 비율은 prerenal 또는 renal uremia의 발생 여부를 알게 된다.

a) Creatinine:BUN = 평균 1.5:1

b) 1.5:1 이상인 경우 --> Prerenal disorder


(9) Calcium total

1) 정상치 : 2.20~2.62 mmol/L

2) 증가 : 비타민 D 과잉증,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악성 종양, 다발성 골수종 등

3) 감소 :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비타민 D 결핍증, 골연화증, 신부전증 등


(10) Phosphorus

1) 정상치 : 0.81~1.58 mmol/L

2) 증가 : 심한 신장염, 결핵, 악성 종양, 다량의 비타민 D 섭취, 자외선의 과다 조사, 골절의 치유 과정중

3) 감소 : 구루병, 부갑상선 기능항진시

4) calcium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11) Uric acid

1) 정상치 : 2.6~7.2 mg/dl

2) Uric acid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는 nitrogen retention, urea, creatinine의 증가와 관계가 밀접하며 급성 염증성 질환이나 백혈병, 다발성 골수염 등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과도한 세포의 핵산 분해로 인한 세포 파괴를 의미한다. 뇨에서의 배설 증가는 백혈병과 통풍의 경우 나타난다.


(12) Magnesium

1) 정상치 : 0.74~0.99 mmol/L

2) 증가 : 근무력증이나 사지 마취시

3) 감소 : 과도한 신경 흥분이나 경련 증상시


(13) Sodium

1) 정상치 : 140~148 mmol/L

2) 증가 : 수분 결핍, 염분 과잉, 신 질환, 원발성 aldosterone증, Cushing 증후군

3) 감소 : 구토, 만성 신부전증, 당뇨병성 산성증, Addison 병


(14) Potassium

1) 정상치 : 3.6~5.2 mmol/L

2) 증가 : 뇨독증, 부신부전증, 신장염, 염분 과잉, 화상

3) 감소 : 대사성 알칼리증, Cushing 증후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등


(15) Chloride

1) 정상치 : 100~108 mmol/L

2) 증가 : 탈수증, 만성 신장염, 염분 과잉, 화상시

3) 감소 : Addison 병, 구토, 과식, 신우신염 등


(16) Lipid, total

1) 총 지질이란 cholesterol, 중성 지방, 인 지질 등의 지질 성분의 총화를 말한다. 혈청 총 지질은 혈청에서 유기 용매로 추출된 물질의 총량을 의미한다. 검체는 신선한 혈청 또는 혈장으로 식후 10시간 이상의 검체를 사용한다. 추출 검체중에는 ester 형 cholesterol, 유리 형 cholesterol, 인 지질, 당 지질, 지방 산, steroid hormone, 지용성 vitamin, 중성 지방 등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현재 신속하고 정밀성이 좋게 각종 지질을 분별하여 정량할 수 있으므로 총지질의 진단적인 가치는 거의 없어졌다.

2) 임상적 의의

효소법의 출현으로 각 지질 성분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현재, 총지질을 직접 측정하는 의의는 적어졌으나 지질 대사 이상을 해명하는데 필요한 검사 항목의 하나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

3) 증가 : 당뇨병, 동맥경화증, 본태성 고지혈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신증후군, 급성 및 만성 감염

4) 감소 : 중증 간염, 급성 황색 간 위축증, 간 기능 장애, 갑상선 기능항진증


(17) Triglyceride

1) 순수한 지방으로 당뇨병이나 동맥 경화증의 검사에 사용할 수 있는 긴 사슬을 갖는 car-boxylic acid의 glycerol ester이다.

2) 정상치

남 : 50-155mg/dl

여 : 40-115mg/dl

3) 증가 : 지질 대사의 이상, 동맥 경화, 관상 동맥 질환, 철결핍성 빈혈, 폐쇄성 황달, 당뇨병, 뇌염

4) 감소 : 중증 간실질 장애, 간경변, 갑상선 기능항진증


(18) HDL-cholesterol(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1) HDL-C는 그 혈중 농도를 높일 수만 있다면 관상 동맥 경화증을 비롯한 각종 동맥 경화증을 예방할 수 있는 인자로 여겨지고 있다. 반대로 그 혈중 농도가 떨어지면 이런 질환의 위험 신호로 여겨진다. 흡연, 고혈압, 긴장 등은 이의 감소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2) 정상치

남 : 32-72mg/dl

여 : 34-81mg/dl

3) 증가 : 체구가 마른 사람의 경우나, 에스트로젠, nicotinic acid, alcohol, heparin 투여시, 그리고 familial hyperalphalipoproteinemia 등

4) 감소 : 비대한 사람, androgen 투여시, 과도한 탄수화물, 당뇨, hypertriglyceridemia 등


(19) Free fatty acid

1) 지방산(FA)은 포화 FA(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등)와 불포화 FA(palmit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eicosatrienoic acid, arachidon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등)가 있다. 혈장 유리 FA(FFA)는 혈중 지질의 2% 이하로 albumin에 의해 운반된다. 심근 energy의 60%는 FFA에 의한다. FFA는 각종 hormone(epinephrine, norephinephrine, ACTH, thyrotropin, 성장 hormone, glucagon, insulin 등)에 의해 조절된다. 말초에서 처리 능력이 저하되면 FFA 및 TG는 함께 증가(당뇨병, 비만, lipodystrophy 등)한다.

2) 정상 : 150-600 micro Eq/L

3) 증가 : 허혈성 심 질환, 비만, 당뇨병

4) 감소 : 신 증후군, 부신 및 갑상선 Hormone 이상, 약물, 선천성 질환


(20) Phospholipid

1) 정상치 : 150-230mg/dl

2) 이는 대개 serum cholesterol치와 평행하며 지질 농도에 따라 서로의 비율은 다르나 cholesterol에 대한 phospholipid의 비율은 0.8mg/dl~1.0mg/dl 이다. 이 비율이 증가하면 artherosclerosis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1) β-lipoprotein(LDL)

1) 저밀도 lipo 단백은 지질 부분과 단백 부분으로 되어 있다. 분리법에 따라 chylomicron(CM), LDL, HDL, 또는 CM, β-lipo단백(-Lp), pre β-Lp 등으로 명명되었다.

2) 정상치 : 200-500 mg/dL


(22) Lp(a)(Lipase)

1) lipase는 췌장에서 합성되어 췌장액으로 분비되는 지방 분해 효소이다. 이것은 급성 췌장염시에는 혈액내에 대량이 들어가서 혈청치가 상승하게 된다. 발병 36시간이 지나면 amylase는 감소하므로 10여일간 높은 혈청치를 유지하는 lipase를 측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2) 정상치 : < 25mg/dl


(23) CK(Creatine kinase)

1) CK는 별도로 creatine phosphokinase(CPK)라고도 불리우며 에너지의 저장에 관련하는 ATP + creatine ADP + creatine phosphate의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2) 정상치 : 21-232unit/L

3) 심근경색 후 6시간이면 상승이 나타나고 36시간에 최대 활성치를 나타낸다. 이 경우 가장 변동이 심한 효소로 발병 4일쯤에 정상으로 떨어진다. Duchen's muscular dys-tropy시에 1,600unit 이상으로 증가하며 갑상선 기능저하증시 9배 이상 증가한다.

4) protein bound iodine과 역상관관계를 가진다.


(24) LDH(Lactic dehydrogenase)

1) 정상치 : 100~190unit/L

2) 이 효소는 lactate가 pyruvate로 되는 반응을 촉매하고 세포의 에너지를 위해 당분해 작용에 의존하는 모든 조직에서 발견된다. 이는 GOT나 GPT보다 덜 민감하다.

3) 평가

가.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심근 경색, 간 질환, 악성 임파종, 악성 빈혈 등이며 혈액의 채취시에 용혈로 인한 거짓 증가도 나타난다.

나. 감소하는 경우

X-선 조사를 받은 경우


(25) Acid phosphatase

1) pH 5에서 잘 작용하는 것이 acid phosphatase라고 하여 전립선 질환 진단시에 많이 사용되며 이와 상반되게 pH10에서 작용하여 간 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것이 alkaline phosphatase이다.


(26) Iron

1) 정상치 : 35-150ug/dl

2) 증가 : 재생 불량성 빈혈, 악성 빈혈, 급성 간염시

3) 감소 : 철결핍성 빈혈, 감염증, 만성 출혈성 빈혈


(27) TIBC

1) 정상치 : 260-445ug/dl

2) 증가 : 철결핍성 빈혈, 만성 출혈성 빈혈, 구충증, polycythemia vera

3) 감소 : hemochromatosis, 악성 종양, 감염, 간경변


(28) Lactic acid

1) Lactic acid는 혐기성 해당의 종말 대사물로 pyruvic acid가 환원된 물질이다. 주로 골격근, 적혈구, 뇌, 피부, 장관에서 생성된다(1200-1500 mmol/d). 대부분이 간이나 신장에서 TCA cycle이나 당신생계(gluconeogenesis system)의 기질로써 이용된다. 혈중 lactic acid가 증가하는 것은 NADH/NAD 비가 일정하여 pyruvic acid 생성이 증가할 때와 NADH 산화

에 장애를 받을 때이다.

2) 정상 범위 : 0.6-2.2

3) 증가 : Lactate Acidosis, Shock, 심장 질환, 폐 질환, 당뇨병, 간 질환, 악성 종양, Alcohol 및 약물, 선천성 대사 질환

================================

3. 요 검사 및 임상 경검


1) 표본의 채취는 가장 표준화되고 최고 농도를 지닌 표본을 얻기 위해 아침 첫 소변의 mid-stream을 채취한다.

2) 채취된 표본은 즉시 검사되어야 하나 불가능할 때는 4℃에서 보관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는 glucose, albumin과 hemoglobin의 검사만이 유효하다.

3) 정상적인 경우의 뇨는 pale yellow, deep amber 또는 색깔이 없으며 약간 흐리거나 맑으며 특징적인 냄새를 가진다.


(1) Routine(9종)

1) Specific gravity(비중)

가. 동량의 순수한 물에 대한 측정된 기질 질량의 비율

나. 정상 뇨 : electrlytes, nitrogenous waste(urea, creatinine) 등이 포함

다. 비정상적인 뇨 : glucose, protein 등이 포함

라. 아침에 수집한 first voided urine ; 1.000~1.030

마. 수치 이상 : 탈수, 지속적 갈증, 고분자의 방사선 조영제 투여

바. 0.001~1.005 : 많은 양의 수분 섭취, 이뇨제 투여, 뇨붕증의 경우


2) pH

가. 정상 뇨 : pH 4.5-8.0

나. 알칼리성 뇨 : 전신적인 알칼리증의 증거이나 채식주의자, 요도 감염의 경우, 뇨를 상온에서 장시간 방치한 경우에서도 나타난다.

다. 뇨의 pH를 알칼리 상태로 유지시키는 치료

a) oxalate, uric acid와 cystine에 의한 뇨석증의 방지

b) 용혈성 수혈의 치료

c) salicylate 중독 치료

d) sulfonamide streptomycin을 이용한 비뇨생식계 감염의 치료

라. 뇨의 pH를 산성으로 유지하는 경우

a) calcium carbonate, calcium phosphate, magnesium ammonia phosphate에 의한 뇨석증의 방지

b) 비뇨계 감염의 치료


3) Protein

가. 정상인 : 매일 50~150mg의 단백을 방출, 이 양의 20% 정도는 albumin

나. 평형은 비혈장단백(고분자 uromucoid of Tamm-Horsfall mucoprotein)에 의해 조절된다.

다. 단백뇨의 분류로

a) prerenal with normal kidney funtion

b) glomerular

c) tubular

d) lower urinary tract

e) 무증상으로 나뉜다.

라. 단백뇨는 myoglobinuria, hemoglobinuria, multiple myeloma 같이 혈장내에 저분자량의 단백질 증가에 의하거나 비정상적인 액체 정수압에 의해 disordered glomerular perfusion 야기에 의해 나타난다.

마. 독성, 감염, 혈관성, 면역학적 과정, 사구체 막 손상, 여과의 기능 상실로 인하여 사구체성 단백뇨가 나타난다.

바. 세관성 단백뇨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금속 중독, phenacetin 남용, Vit. D 중독, hypokalemia, Wilson's disease, galactosemia, Fanconi's syndrome, transplantation pyelonephritis, acute tubular necrosis, polycystic kidney disease에 의해 야기되는 것 같다. 하비뇨기관 단백뇨는 세뇨관이나 방광의 염증에 의한다.

사. 무증상의 단백뇨의 경우 기왕력이나 신장 계통의 증상을 갖지 않는 환자에게서 발견되며 기립형 단백뇨는 환자의 first voided morning 표본과 몇 시간 후의 표본을 채취하여 검사하는데 시간이 경과한 전후나 recumbency period 후에는 정상으로 회복하며 격렬한 육체활동 후에 단백뇨나 cast가 형성되기도 한다.

아. Heat test와 dip stick test 모두 양성일 때는 단백뇨이나 두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타나면 정상 뇨이다. 만약 dip stick test는 음성이나 turbidity test가 양성이면 약물 간섭이나 비전형적인 단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좀 더 특별한 정량을 사용하여 검사한다.


4) Glucose

가. Glucose는 근심 세관에서 걸러져 소량만 뇨로 배출되고 active transport system에 의해 재흡수되는데 plasma glucose 수준이 높거나 세관에서의 흡수능에 이상이 있을 때 뇨로 배출된다. 보통 혈장 glucose 수준이 180mg/dl에 달하면 뇨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180mg/dl 이하의 혈장 glucose 수준에서 나타나는 포도당 뇨는 근심 세관의 질환을 의미한다.

나. Glucose 측정의 의의는

a) 쉽게 당뇨병을 예방하고 관찰

b) 근심 세관 이상(Fanconi's syndrome, nephrotoxic chemical poisoning, renal parenchymal disease) 검사

다. Fructose

많은 양의 과일을 먹은 경우에 나타나며 fructose-1-phosphate aldose 부족에 의한 hereditary fructose intolerance는 glycolytic pathway에 이상을 일으켜 hypoglycemia, vomiting, jaundice, amino aciduria, cirrhosis, renal tubular acidosis를 일으킨다.

라. Pentose

Pentose는 핵산 대사의 산물로 소량이 뇨로 배출되며 과일의 비정상적인 섭취에서도 뇨에 arabinose, xylase가 나타난다. Ribosuria는 근육 작용의 부산물로 각각의 효소 결핍으로 뇨에 배출된다.

마. Galactosuria

간 질환에 의해 효소 기능이 떨어져 나타나며 galactose-1-phosphate uridyl transferase가 결핍된 유아의 경우 glycogenic pathway에 적용되지 못하여 뇨내로 배출되며 결국 백내장, 용혈, 간손상을 야기한다. Galactokinase의 결핍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바. Mannoheptulose

Avocado를 많이 먹은 경우 나타나며 lactose는 임산 수유부에서 많이 나타난다. Maltose는 당뇨병이나 심한 외상 후에 나타나며 sucrose는 다량의 설탕 섭취 후나 드물게 cystic fibrotic 환자에서 나타난다.


5) Ketone

가. 기아나 인슐린 결핍의 경우 유리 지방산이 열원으로 쓰이기 위해 방출되며 쓰이고 남은 지방산은 여러 과정을 거쳐 78% hydrobutylic acid, 20% acetoacetic acid, 2% acetone으로 분해된다. 뇨내의 ketone body의 검출은 단지 acetoacetic acid만 검출할 수 있는 Gerhardt's ferric chloride reagent와 acetoacetic acid와 acetone을 검출할 수 있는 nitroprusside reaction을 이용한다. Dip stick test에서 검사판의 심홍색은 ketone 검출을 의미한다.


6) Bilirubin

가. Bilirubin은 간에서 glucoronides와 공유 결합되며 혈액에서 걸러져 biliary tract으로 들어가나 담관 폐쇄나 간내 폐쇄의 경우 혈류내에 잔존하여 뇨내에 나타나게 된다.

나. Bilirubin test에서 shake test에서는 황색 거품으로, dip stick test에서는 1) Ames stick : 황색에서 오랜지 색으로, 2) BMC 산물 : 적색-자주색의 azo-dye를 형성한다.


7) Occult blood

가. Hemoglobin

이는 사구체 신염이나 방광 종양, 뇨로 감염의 경우나 다량의 혈관내 용혈에 의해 배출된 경우 뇨에 나타나며 dip stick test에서 검사부위가 황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면서 녹색 점이 증가하는 것은 적혈구의 존재를 의미하고 균일한 색상 변화는 유리 hemoglobin의 존재를 나타낸다.


8) Nitrite

5% 정도 발생 비율을 갖는 신우 신염은 현미경학적 관찰을 통해서 뇨의 침전물내에 백혈구, 세균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검사된다. 뇨내의 nitrites는 세균의 존재를 나타낸다. 대장균, Proteus, Klebsiela, Enterobacter, Citrobacter, Salmonella들은 뇨내의 nitrates를 nitrites로 환원시키며 Enterococcus, Staphylococcus, Pseudomonas는 partial nitrite 전구체들이다.


9) Urobilinogen

가. Uronbilinogen은 bilirubin이 담낭을 통해 소장으로 들어가 혐기성 균에 의해 형성되고 간에 흡수되며 소량만 뇨로 배출된다.

나. 뇨내의 urobilinogen 측정은 용혈성 질환, 폐쇄성 간 질환, 간세포 이상의 검사에 유용하다.

다. 뇨내의 urobilinogen 측정 방법 - Dip stick test

a) Ames test : 분홍색을 보이며 1.3 g/dl 까지 검출하며 aminosalicylic acid, antipyrine, phenothiazine, sulfonamide 같은 약물에 방해를 받는다.

b) BMC 산물

적색 azo-dye로 0.5/dl까지 검출하며 porphobilinogen, indican, sulfon-amide에도 방해를 받지 않는다.


(2) Sediment

요 침사 검사란 요중 유형 성분을 모아 생표본을 만들거나 염색액을 가하여 100~400배로 검경하여 유형 성분의 질과 양을 정성적으로 판정하는 검사이다. 요중 유형 성분은 신장에서 요도까지의 누출 또는 박리 세포, 붕괴된 세포 잔유물, 세뇨관내에서 형성된 원주체를 비롯하여 석출된 염류, 외계로부터 오염된 혼입물 등으로 구성된다.


1) RBC

가. 원형이며 간혹 양측이 오목한 디스크의 모양도 나타난다.

나. Prerenal-renal congestion, 악성 고혈압, 신내-신 경색, 외상, 결핵, 사구체 질환, 후신 외상, 감염, 비뇨계 종양, 결석, 질내 혈액 오염 때 나타난다.

다. 정상 ; 2~3개/HPF 이하


2) WBC

가. 유핵이며 적혈구보다 크다.

나. 뇨내의 백혈구는 비뇨기관내의 염증을 의미한다. 결석, 종양, 백혈병의 경우에 볼 수 있다.

다. 건강한 남성에서는 5개/HPF 이하

여성에서는 15개/HPF 이하


3) Cast

가. Cast는 관강에서 압축된 단백내의 albumin이 침전되어서 세포 부스러기를 잡음으로서 형성된다는 것과 기질로써 관세포의 박리가 제공된다는 것이 있으며 최근에는 Tamms-Horsefall mucoprotein의 관분비에 연관된 것으로 나타난다.

나. 주된 cast들은

a) 초자질 cast : 맑은 기질을 가지며 창백하고 투명하며 보기 어렵다. 낮은 빛의 광도가 검사에 필수적이며 Stain이나 극광은 보조 수단이다.

b) 상피성 : 기질내에 표피세포가 포함되어 있고 신장의 급성 염증을 나타낸다.

c) 과립성 cast : 조밀한 과립, 거친 과립, 지방성의 물질로써 기질이 형성되고 보통 신장의 만성 장애를 나타낸다.

d) 적혈구 cast : 혈색소의 색깔로 특징지워지며 불규칙적이다. 사구체 신염의 경우 나타난다.

e) 백혈구 cast : 방광이나 요도에서 백혈구의 덩어리로 형성된다. 비뇨기계 감염을 나타낸다.

f) 밀납성 cast : 만성 진행 과정과 관련된다.

g) 위 cast : 섬유소, 상피 세포, 백혈구, 세균이 cast와 비슷한 배열로 덩어리를 이루어 다양하고 불규칙적인 외형을 갖는다.


(3) Bence-Jones protein

1) 이는 1847년 Bence-Jonce에 의해 보고되었고 약 40%의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뇨중에서 발견되는 일종의 특징있는 단백을 Bence-Jones protein이라고 불러 다발성 골수종의 진단에 사용되고 있다.

2) 전이성 종양, 만성 임파성 백혈병, amyloidosis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4) Fat, qual(-)

1) 요침사에는 흔히 세포질내에 크고 작은 여러 가지 지방 입자를 함유한 세포가 보이고 그 대부분은 세뇨관 상피세포가 지방적(fat droplet)을 갖고 있는 것으로 원형에서 난원형 지방체(oval fat body; OFB)로 부른다. 이것의 생성기전은 세뇨관 상피세포의 지방변성 또는 지방탐식을 생각할 수 있다.



(5) Hemosiderin

1) Hemosiderin 은 단백, 지질, sialic acid, porphyrin 체와 비 hemoglobin 철로 되어 있으나 또한 일부 ferritin 을 함유한다.

2) Ferritin 과의 차이점은 단백 조성이 다르다는 것인데 ferritin 은 전자현미경상에서는 거의 하나의 물질이고, 철 함유가 많다는 것과 불용서이라는 것, Berlin blue 양성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hemosiderin 은 ferritin 에서 유래된 것이다.

3) Hemosiderin 의 생리적 의의는 철 저장으로, ferritin 에 비해 안정하여 저장철로서 의의가 크며 새로운 철은 ferritin 으로 되어 방출된다.


(6) Indican(light sky blue)

1) 고단백질 식사를 한 경우, 위장관에 세균이 증가하는 질환(장폐쇄, 위 암, 장티푸스 등), 괴저, 축농증, 폐화농, 결핵 등의 질환에서 처럼 조직 단백질의 세균성 분해나 화농성 삼출물이 있는 경우 높게 나타난다.


(7) Melanin

1) melanoma가 있는 경우(환자의 25%) 높게 나타나는데 광범위한 liver metastasis가 있는 환자에서 더욱 빈번하게 나타난다.


(8) Myoglobin

1) 근육 조직의 손상, 대발작, 고삼투압성 혼수, 헤로인 과용, strennous exercise, 바이러스 질환, 근육증의 경우에 myoglobulinuria가 나타난다.

2) 이러한 상태는

a) positive o-toluidine urine test

b) reddish-gold pigmented granular cast를 포함하는 뇨 침전

c) serum creatinine kinase 활성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낸다.

3) 가장 적합한 검사법은 immunodiffusion technique이다.

================================================================

4. 임상 혈청 검사


(1) ASO(Antistreptolysin O test)

1) 연쇄상 구균 A군, C군, G군에 의해 주로 streptolysin(SLO)가 생기며 이는 antistreptolysin antibody의 형성을 촉진하여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난다. 항원에 의해 환자의 serum을 첨가하면 streptolysin의 hemolytic action을 막을 수 있다. 그 후 적혈구를 첨가시키는데 용혈이 계속 일어나면 항원의 과대를 의미하며 적혈구 용혈이 없으면 환자 혈장속에 항체가 항원과 완전히 반응하였음을 의미한다.

2) ASO titer(Todd units)는 용혈이 일어나지 않는 serum의 최고 농도의 역이다.

3) 정상치

0~200 Todd units의 넓은 경계는 대부분의 사람이 한 번 정도는 연쇄상 구균 감염을 경험한 적이 있었음을 의미하며 single titer로는 잘 알기 어려우며 10~14일 후에 second titer를 측정해야 한다.

4) 기여 요인

가. ASO titer에 대한 정상 상한치는 나이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양하다.

나. young adult에서 정상 상한치는 200 range이며 이 인구의 약 80%가 200 level 이하의 titer을 갖는다.

다. 6~14세의 youngster는 다소 높은 250을 갖는데 정상적으로 17세 이상으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ASO titer는 결국 100 이하로 떨어진다.

5) 평가

가.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al infection은 pharyngitis, impetigo, pyoderma, cellulitis, erythema nodosum 등을 일으키며 group A strepto-coccal infection은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와 rheu-matic fever를 일으킨다.

나. 400 Todd 이상이면 최근 연쇄상 구균의 감염을 의심하여야 하나 임상적 증상을 나타낼 쯤이면 titer가 정상 level로 올라올 수 있으며 또 연쇄상 구균 감염의 80% 만이 증가된 titer와 관련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2) CRP(C-reactive Protein)

1) Pneumococcus의 non-type-specific somatic c polysaccharide와 침전물을 형성하므로 이러한 명칭이 붙여졌다. 최소한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α-글로부린으로 생각되며 세균 감염에 의해 생성되며 손상된 조직의 부산물일 수 있다.

2) CRP는 여러 염증성 질환들의 급성 단계의 혈액에 나타나는 비정상적 단백질이며 감염된 후 며칠 후에 증가되었다가 염증 반응이 가라앉으면 급속히 감소한다.

3) CRP와 ESR

CRP와 ESR 둘 다 nonspecific test이지만 CRP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가. ESR은 빈혈, 임신, 염증성 질환의 회복기, nephrotic syndrome, hyper-globinemia 같은 염증성 진행이 없는 경우에도 상승할 수 있다.

나. ESR은 선천성 심장 부전증이 있고 rheumatic activity가 있을 경우 정상으로 나올 수 있으나 CRP는 증가하여 나타난다.

다. 뇌척수액에서 CRP는 nonbacterial meningitis와 bacterial meningitis의 구별에 매우 민감하다.

4) CRP의 증가

acute rheumatic fever, bacterial infection, mypcardial infartion, rheumatoid arthritis, carcinimatosis, gout, viral infection


(3) RA factor(Rheumatoid factor)

1) RA를 가진 대부분의 환자에서 rheumatoid factor를 갖는다.

2) RA factor는 IgG로 complexed된 IgM으로 구성되는데 이것의 현저한 특징은 aggregared IgG의 Fc portion과 반응하는 능력이다.

3) 항원은 보통 rabbit antibody의 subagglutinating dose나 human γ-globulin의 latex particle 같은 SRBG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4) 대부분의 arthritis(juvenile arthritis, ankylosing spondylitis, psoriatric arthritis)는 ulcerative colitis와 regional enteritis와 연관되어 나타나고 RA agammaglobulinemia가 음성으로 나타난다.

5) RA factor(+)의 경우

결체조직 병변(Connective tissue syndrome)이나 만성 감염의 경우

a) lupus(SLE)

b) rheumatoid arthritis

c) Sjogren's disease

d) 만성 활동성 간염


(4) Widal test

1) 장티푸스의 진단을 위한 검사로 killed salmonella typhi organism의 현탁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항체를 감지하는 agglutination test의 일종이다.

2) 검사의 시행 및 평가시 몇가지 법칙이 필수적이다.

가. 1회의 검사는 의미가 없다. 최소 2회 이상의 검사를 발병 후 3~5일 마다 시행하여 antibody titer를 본다.

나. 항체가 새로운 그리고 무관한 감염에 의해 자극을 받아 생성될 수 있다.

다. 이 검사는 많은 항원을 가진 battery로 검사하여야 한다.

Salmonella group Ag은 somatic(O) Ag이고 paratyphoid, typhoid(d)은 fragella(H) Ag인데 둘 다 사용하여야 한다.

3) 장티푸스시 사용되는 항원의 선택은 질환의 민감성과 실험실이 위치하고 있는 지리적 여건에 따라 달라진다. 미국 북부의 paratypoid A(Salmonella A) Ag의 사용은 불필요한데 그 이유는 이 질환이 이 지역에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빠른 교통, 군대의 대규모 이동, 사업가의 대륙간 왕래로 인해 원거리에서도 질환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5) VDRL qual, VDRL quan

1) 매독의 혈청 검사는 소의 심장 추출액을 항원으로 써서 reagin을 검사하는 방법이 많이 쓰여 왔는데 이중에서 신빙성 있고 경제적이며 쉬운 방법이다.

2)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분명한 clumping은 reactive(R), clumping이 없거나 경미한 roughness는 non-reactive(NR)의 2가지로 보고된다.


(6) TPHA(Treponema pallidum hemagglutination)

1) 면역 적혈구에 Nichols strain의 균체 성분을 입힌 것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환자 혈청 중의 treponemal antibody와 만나면 혈구 응집을 일으키게 만든 검사법이다.


(7) Anti-DNA Ab

1) 항핵 항체(ANA) 중 일찍부터 대응 항원이 밝혀진 것은 항 DNA 항체이다. 단백 부분을 제거하여 정제된 DNA에 대하여 SLE 환자 혈청이 항원 항체 반응을 보이는 것은 거의 모두 면역학적 방법으로 증명한다.

2) 항 DNA 항체는 SLE가 의심되는 환자에 반드시 시행하는 검사이다. 진단 기준에도 포함된 검사 항목으로 보조 진단에 의의가 크다. 그러나 일상 검사에서는 항 ss-DNA도 동시에 측정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약 양성인 예는 rheumatic 질환에서 흔히 나타난다.


(8) Antinuclear Ab

1) 세포 핵내에 함유된 여러 가지 항원 물질과 반응하는 항체군을 총칭해서 항핵 항체(ANA)라고 부른다.

2) 이와 같은 항체군은 SLE를 중심으로 전신성 자가 면역 질환의 혈류 중에 고 빈도로 검출된다. 그렇기 때문에 자가 항체로 간주되는 것이다.

3) 핵 항원 가운데는 saline에 가용성인 것과 불용성인 것이 있다. 따라서 용액내 반응으로 ANA군 모두를 검출하기가 곤란하다.

4) 세포 핵에 존재하는 항원성 물질을 그대로의 상태로 환자 혈청과 반응시켜서 항체군을 검출하는 방법이 아직까지 널리 사용하고 있다.

5) ANA 검사는 SLE 진단에 가장 중요하다. SLE에서 가장 고 빈도(90-100%)로 동시에 고 역가(∼2048배)로 관찰된다.

6) SLE 이외에 경피증 30-100%, Sjogren 증후군 60-70%, RA 10-40%,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35%, 피부 근염 30-35%, 중증 근무력증 20-40%, Behcet 병 15%, 간 경변 15-20%, 악성종양 10-20%의 빈도로 양성 소견을 나타내므로 SLE에 대하여 반드시 특이성이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러나 SLE에서 ANA는 IgG 성, 고역가에서 염색은 shaggy pattern을 보인다. 이 경향은 병변이 활성화되고 신증을 수반하는 증례에서 현저하다.

7) ANA는 특이성이 부족하므로 임상적으로는 어디까지나 screening 검사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8) ANA의 양성 소견을 얻을 때에는 보다 상세한 ANA 검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9) IgG(Serum)

1) 혈청내의 항체 가운데 양적으로 가장 많은 IgG는 분자량 약 15만으로 면역 화학적으로 상당히 다양하므로 여러 가지 subtype으로 분류된다.

2) 반감기는 약 3주간으로 Ig 가운데 가장 길고 중화 항체, opsonin 항체의 대부분은 IgG에 속한다.

3) 다른 Ig에서 볼 수 없는 특징으로 태반 통과성이 있으므로 신생아의 혈중 농도는 모친과 거의 같다. 그러나 생후에는 소비만 되므로 점차 감소하여 약 4개월에 가장 낮은 농도로 된다. 그후 IgG 생산 능력이 커지기 때문에 증가한다. 따라서 출생 후 잠시 모친 유래 항체가 감염 이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4) 정상치 : 732-1,685 mg/dl


(10) IgA

1) IgA는 분자량 17만으로 혈청 농도는 γ분획의 약 10%이다. 보체 결합성은 없다.

2) IgA의 특징은 점액, 누(눈물), 타액, 요, 모유 같은 분비액에 제일 많은 Ig으로 분비되는 과정에서 항체 분자의 기본 구조 물질인 secretory piece라고 하는 당 단백에 의해 2분자가 결합되어 분비형 IgA(분자량 37만)로 된다.

3) 생체외로부터 세균 등이 침입하기 쉬운 부위, 즉 구강, 인두, 기관지, 소화관 등의 점막에 분비형 IgA가 존재하여 세균 등의 미생물과 결합하여 체내로의 침입을 막는다. 이와 같은 국소 방어기구를 국소 면역이라 부르고, IgA는 국소 면역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4) 정상치 : 69-382 mg/dl


(11) IgM

1) IgM은 항체 분자의 기본 구조 5개가 모인 형으로 분자량도 약 90만으로 크므로 macroglobulin이라 할 수 있다.

2) IgM은 초기 항체라고도 부르는 바와 같이 항원 자극에 대하여 다른 Ig보다 빨리 만든다.

3) 보체의 활성화도 강하므로 보체의 용균 작용에 크게 관여하고 있다.

4) 정상치 : 63-277 mg/dl


(12) IgD

1) 생화학적 성상이 확실하지 않은 점이 많은 IgD는 분자량이 20만으로 반감기는 약 3일로 알려졌다.

2) IgD에 속하는 특이 항체의 존재는 알려지지 않았다.

3) 임상적으로도 다발성 골수종 이외에는 의의가 밝혀지지 않았다.

4) 정상치 : 0-14 mg/dl


(13) HBs Ag(R-PHA), anti-HBs(PHA)

1) B형 간염 바이러스는 다음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대개 3가지의 항원을 가지며, 각각 nuclear core antigen, e antigen, double stranded surface antigen의 3가지로 나뉘며 각각 antibody가 생성될 수 있다.

2) Surface antigen은 환자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 2주~2개월 부터 발병 후 1~2개월까지 혈청에서 검출된다. surface antigen이 음성인 혈액을 수혈하면 간염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므로 수혈용 혈액은 항상 이 검사를 하도록 되어 있다.

3) surface antigen은 간 질환의 시작 2~4주 전에 나타나서 질환이 시작될 때 쯤에 최고에 이른 다음 4~6중에 발견하지 못할 정도의 수준으로 떨어진다.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e antigen, core antigen 등이 혈청상에 나타나게 된다.

4) surface antigen이 없어지고 anti-HBs antibody가 생기기 전이라면 anti-HBc가 유일한 indicator가 된다.

5) surface antibody와 core antibody는 몇 년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e antibody는 core와 surface antibody 생성 전에 생긴다.

======================================

5. 면역 혈액 검사


(1) Transfusion reaction study

1) 수혈의 부작용으로 Allergic reaction(과민증 반응), Febrile reaction(발열 반응), 과중 수혈 반응(over roadreaction), 용혈성 반응(Hemolytic reaction)이 있다.


(2) ABO typing

1) 혈장과 적혈구의 반응에 따라서 다음 4가지 혈액형으로 나눠진다.


cells serum내의 antibody

A B

B A

O AB

AB -


2) 검사 방법

a) slide test와 modified tube test을 시행할 수 있다. 두 사람의 blood grouping시는 forward(cell)와 reverse(serum) grouping으로 나누어져 각 sample에서 시행하여 두 결과가 일치되어야 한다. forward grouping을 위한 reagent는 anti A, anti B, anti AB 이고 serum grouping은 A, B, O cell이다.

b) 환자와 수혈자의 혈액을 튜브에 정착하여 원심분리시킨다.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응집(agglutination) 여부를 확인한다.


(3) RH typing

1) Rhesus blood grouping은 매우 복잡하고 응집원과 응집소간의 고도의 다양성이 존재한다. Rh locus는 chromosome 1 이고 Rh locus의 핵소체는 편의상 다음 3가지의 상반된 유전인자를 가진다. ; C or c, E or e, D or d 여기서 후자는 반응하는 응집소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set는 각각의 부모로 부터 haplotype(CDe, CDe, CDE와 같은)으로 유전된다.

2) Rh antigen이 없는 사람은 Rh-negative이고 이것은 Rh-positive RBC를 수혈받았을 때 파괴가 일어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Rh-negative인 사람은 언제나 수혈을 받을 때 Rh-negative의 혈액을 받아야한다.


(4) Cross-matching

1) Cross-matching은 주는 혈액과 받는 혈액 사이에 있을 수 있는 부적합성을 시험관내에서 알아내려는 검사이다. 여기에는 주는 피의 혈구와 받는 피의 혈청을 섞는 주시험과 받는 환자의 혈구와 주는 피의 혈청을 섞어보는 부시험이 있다.

2) 부적합 반응은 응집 또는 용혈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흔히 혈핵형의 그릇된 판단이나 불규칙 항체 또는 기록의 잘못으로 일어난다.

3) 잘못 cross matching된 수혈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므로 모든 검사중에 가장 신중하여야 한다.


(5) Antibody screening test

1) 임상적으로 중요한 적혈구 항원을 가지고 있는 O형 panel coll과 환자의 혈청을 30도 식염수, 37도 식염수, 항글로부린 phase를 이용하여 반응시킴으로서 미지의 적혈구 불규칙항체 존재를 선별한다.

2) 임상적 의의

a) ABO항체 이외의 적혈구 불규칙 항체를 선별한다.

b) Microplate법에 의한 항체 섬별 검사 양성 검체의 확인에 사용한다.


(6) Antibody identification test

1) 동정용 panel cell을 이용하여 30도 식염수법 --> albumin법 --> 간접 Coombs법 혹은 효소법을 시행하여 세포의 antigram으로 항체의 특이성을 동정한다.

2) 임상적 의의

수혈자의 항체 선별에서 양성으로 나온 경우,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신생아 용혈성 질환 등에 있어 항체를 동정하는데 이용된다.

3) 참고치 : 음성


(7) Direct Coombs' test, Indirect Coombs' test

1) Coombs' test는 불완전한 항체를 증명하기 위한 검사 방법이다.

2) 직접법은 생체내에서 이미 불완전한 항체에 의해서 감작된 적혈구를 검사하는 방법이고 간접법은 혈청을 검사하여 아직 적혈구와 반응하지 않은 불완전 항체 자체를 증명하는 방법이다.


(8) Isoagglutinin titer

1) 피검 혈청을 생리식염수로 계단 휘석하여 A 혈구나 B 혈구와 반응시켜 응집이 일어나는 최고 희석 배수를 응집소가로 한다.

2) 임상적 의의

장기 이식 전후의 항A나 항B의 변화 및 면역부전 상태 등에서의 면역능의 지표로도 측정된다.


(9) Rh Ab titer

1) 피검 혈청을 생리식염수로 계단 희석하여 O형 Rh형 양성 혈구로 감작시킨 후 항글로부린 혈청을 가해 응집이 일어나는 최고 희석배수를 Rh 항체가로 한다.

2) 임상적 의의

Rh 음성자가 Rh 항원을 가진 혈액의 수혈이나 임신을 통해 감작되어 생성된 Rh 항체의 역가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다.

3) 참고치 : 음성

========================

6. 혈액 응고 검사


(1) PT(Prothrombin Time)

1) 피검물에 fibrinogen 양이 정상이라는 전제하에 충분한 양의 thromboplastin을 공급하고 일정한 양의 calcium과 oxalated plasma를 섞을 때 응혈이 일어나는 시간으로 혈액응고 기전 중 3rd phase의 이상 유무를 암시해 준다.

2) 정상치 : 12~14초(80~100%)

3) Factor II인 prothrombin은 간에서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vitamin K가 항상 동반되어야 한다. 이는 혈청내에서는 활성이 없는 단백 분해 효소인 thrombin으로 존재한다. Thrombin은 활성시 Fibrin 형성을 매개하게 된다. 혈액의 응고 기전에 이상이 나타나면 coagulopathy의 원인을 찾게 되고 PT로 간에 대한 문제점을 알 수 있다.

4) 설명

PT의 시험은 혈액 응고 기전의 stage III의 손상을 알고자 시행한다. Stage III 손상의 주된 원인은 항응고제 치료이다. 다른 PT의 상승 요인은 간 질환, Vitamin K 결핍 등이며 영향을 주는 약물은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수면제, 아스피린 등이다. 그리고 항생제, sulfonamide과 경구 피임약 등의 사용시에 PT가 감소한다.

5) 평가

A. PT 지연

a. prothrombin 결핍

b. anticoagulant therapy

c. liver disease

d. 유아의 hypoprothrombinemia

e. 비타민 K 결핍

f. 항히스타민제, sterid, barbiturates, salicylates, aspirin 등의 drug therapy

B. PT 단축

a. 항생제, 경구 피임약, hydroxyzine, sulfinamide 등의 약물 치료


(2)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1) 정상치 : 20-35초

2) APTT는 용혈 기전의 전체적인 screening test도 되지만 특히 제1단계의 이상 즉, intrinsic thromboplastin 형성에 관계되는 인자들의 결핍을 검출하는 예민한 검사이다.

3) prothrombin이나 fibrinogen에 결핍이 있으면 응혈 제1단계에는 이상이 없어도 APTT가 길어질 수 있다. 그래서 PT를 동시에 측정하여 PT가 정상이고 APTT가 연장된 경우라야 제1단계 이상 즉, factor VIII, XI, XII의 결핍을 의심할 수 있다. 반대로 PT가 연장되는데 PTT가 정상이면 factor VII의 결핍이라 볼 수 있다.

 aPTT → intrinsic path + common path 반영

- platelet poor plasma에 인자에 대한 활성제(kaolin. ellagic acid. delite 등)와 혈소판 대용물인 인지질(phospholipid) 성분을 가한 후 칼슘을 첨가하여 응고 시간 측정

- 목적 : 헤파린 치료의 조절, lupus anti coagulant(antiphospholipid antibody)의 겸출

- 정상치 : 30.545.0sec


(3) Bleeding time(출혈시간, BT)

1) 피부 출혈을 야기하여 지혈되기 까지의 시간

2) 정상치 : Duke 법 : 1~4분

3) 평가

a) 지연된 출혈시간은 중등도의 심한 thrombocytopenia와 비정상적인 혈소판 기능을 가진다.

b) BT 지연

응혈 기전의 장애 환자(ex. 혈우병)의 경우

ASA의 single dose ingestion이 5일 이상일 때


(4) Fibrinogen

1) 주된 혈장 단백질 중의 하나로 정상 농도는 200~400mg/dl이며 분자량 340,000을 가지는 globular-shaped glycoprotein이다.

2) Thrombin에 의해서 fibrin으로 전환된다.

3) 간에서 생성되며 생물학적 반감기는 77~108시간이다.

4) 급성 염증성 질환, 조직 손상 후, 내독소 주입 후 10~20배 생성이 증가한다.


(5) FDP(Thrombo-wellco test)

1) FDP 측정에 latex 응집 시험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 검사를 위한 채혈은 FDP 채혈관에 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혈액의 응고를 빨리 그리고 완전하게 시키기 위한 thrombin과 또한 시험관내에서의 fibrin의 분해를 막기 위한 효소 억제제가 들어 있다.

2) 혈청 FDP의 정상 범위는 < 200 ng/ml이며 월경, 운동 및 긴장 등의 영향을 받는다. 혈청 FDP 수준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오는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를 비롯하여 thrombo-embolic disease, 급성 심근 경색증 및 악성 종양 같은 때에 상승한다. 신장 이식 이후 또는 lupus nephritis 때는 뇨중에서도 FDP의 증가를 볼 수 있다.


(6) Thrombin time

1) 정상치 : 10~18초

2) TT란 decalcified plasma에 일정한 thrombin solution을 가하여 clot이 생기기 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것은 fibrinogen의 양이 적으면 길어지고 heparin 등의 anticoagulant가 많으면 길어진다.


※ PT에서의 INR(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환자 PT/정상인의 평균 PT)의 ISI승

ISI는 international sensitivity index of the thromboplastion으로써 WHO에서 정한 reference thromboplastin에 대한 실제 실험에 사용되는 시약의 활성도를 말함

→ISI의 값이 낮을수록 항응고제 복용 환자의 혈장에 예민함을 의미

목적 : 경구 항응고제 복용 환자의  PT monitoring

INR의 정상치 : 0.8~1.3INR

========================================

7. 혈당 및 요당 검사


(1) Glucose, Fasting

1) 정상치

70~110 mg/dl


(2) Glucose, PP 2hrs

1) 고혈당의 경우

a) 경증 당뇨병 : 140~300mg/dl

b) 중증 당뇨병 : 300~1200mg/dl

c) 그 외에 갑상선 기능항진증, 부신수질 종양, 발열성 질환, 신장염, 간 질환의 일부에서 증가한다.

2) 저혈당의 경우

인슐린의 과용, Addison병,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cretinism, myxoedema, 영양장애 등에 혈당이 감소한다.


(3) Glucose tolerance test

1) 일정량의 glucose를 주사하든지 경구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당과 요당을 측정하는 것이다. 보통 정상인은 glucose 투여 후 30~60분에 최고 혈당치를 나타낸다. 2시간 경과 후에는 glucose를 주기 전보다 더 낮은 수치를 보이다가 점차 올라서 정상과 같게 된다.

2) 정상인은 glucose를 주면 1시간 후 혈당이 110~170mg/dl로 올라가고 2시간 내에 정상으로 떨어지는데 당뇨나 신장 질환 환자에서는 혈당은 계속 상승하며 2시간 후에도 정상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glucose를 주입하였을 때 주사 후 30분에 최고 혈당에 이르고 90분이내에 정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3) 경구 투여시의 용량은 체중 1kg당 1gm, 정맥 주사시에는 0.5gm/kg 체중이 합리적이다.


8. 수탁(외부 의뢰) 검사 (Ⅰ)

(1) Cadmium(Cd)

1) Cadmium(Cd) 및 그의 화합물에 의한 건강 장애는 직업성 질환으로 급성 및 만성 중독이 주로 알려졌다.

2) Idai idai병의 원인 물질로 의심된 이래 생활 환경 오염 물질로서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3) 원래 Cd은 지각, 해수 중에 미량 존재하고 성인 체내에도 50 micro gm 전후 축적되어 있다고 추정되는데 생체내에서 아무런 생리 기능을 하지 않는 비필수 원소이다.


(2) Copper(Cu)

1) 증가 : 담도 질환, 빈혈, 악성 종양, 감염증

2) 감소 : Wilson 병, Menkes 증후군(Menkes' kidney hair syndrome), 저단백혈증 및 흡수부전


(3) Hg(Mercury)

1) 수은(Hg)은 급격한 수요 증가에 수반하여 공장 폐수에서 기인하는 Minamata 병, methylmercury 또는 ethylmercury 농약에 의한 약화 등으로 인한 위해를 계기로 하여 많은 정보가 보고되고 있다.

2) 수은은 우리 생활 환경에 광범하게 존재하는데 반해 인체의 생리적기능에 전혀 필요없는 원소로 축적성 유해 물질인 것이다. 따라서 혈중 또는 요중에서 검출된 수은은 이 물질로 소위 정상치의 개념에 넣을 수 없으나 건강인에서 특히 수은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에서도 일정량이 존재한다.


(4) Pb(Lead)

1) 연(Pb) 중독은 이미 Hippocrates 시대부터 알려졌으나 검사 방법이 출현한 것은 최근이다.

2) 일반 임상 검사의 발전으로 우선 연중독에서 빈혈이 나타나는 것을 하나의 지표로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다른 빈혈과의 감별이 불가능하다.

3) 연에 의한 직업성 폭로와 중독 증상

a. 위장증상 : 복부 선통, 피로, 이흥분성, 쇠약, 수면 이상, 식욕 부진, 설사, 변비, 안면 창백, 입안의 금속 맛

b. 말초 신경-근육 증상 : 근육통과 관절 장애

c. 뇌증 : 소아에서 보기 쉽다. 두통, 불면, 악몽, 인격 변화, 뇌염 증상

d. 기타 : 지능 발달 지연(소아기 중독), 신장애 등이 출현할 가능성


(5) Zinc(Zn)

1) 아연(Zn)은 성장에 필요한 필수 미량 금속으로 임상적으로는 아연결핍증이 중요시되고 있다.

2) Zn 대사의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는 아직 모르는 점이 많으나 측정법의 개발로 많은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3) 결핍증은 경정맥 영양 요법 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양 요법 시 Zn를 투여하지 않으면 1/2~2개월에 결핍증이 나타나게 된다.

< 당 관련 혈액 검사 >

1. 당부하 검사 GTT (Glucose Tolerance Test)

 : 표준량의 포도당을 주입한 뒤 인체의 탄수화물 대사 능력을 검사하는 방법.

   일정 간격으로 혈액과 소변 내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한다. 검사 환자는

   검사 3일 전부터 고탄수화물 식이를 섭취하고 검사 전날 금식한다.

   다음날 아침 공복시 혈당을 채취하고 난 뒤 포도당 100g을 마시고, 혈액과 소변을 6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채취한다. 당 부하 검사는 당뇨와 그 외 탄수화물 대사 장애 진     단에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2. 혈당 검사 BST (Blood Sugar Test)

 : 정상 혈액의 구성 요소로 세포 대사에 필수적인 혈중 포도당의 농도로 혈액 1dL에 들 어 있는 포도당을 측정.

3. 공복시 혈당 FBS ( Fasting Blood Sugar)

 : 4시간 동안 수분을 제외한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혈당을 검사.

   FBS가 140mg 이상이 2~3회 되면 당뇨병 의심.

4. 당화 혈색소 (Hemoglobulin A1C)

 : 3개월 이전의 혈당 조절의 평균치(-포도당이 Hgb에 부착되어 120일 동안 지속)

   하루 중 어느 시기에든 채취 가능. 정상은 10~12%, 12%이상일 경우 치료 변경 필요

5. 당화 알부민 ( Fructosamine)

 : 2-3주 동안 혈당 조적 상태 반영

6. C-펩티드

 : 인슐린 생성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시도.

   C-펩티드 수준이 정상이면 대상자가 충분한 인슐린을 생성하지 않음을 의미.

7. 요 케톤 검사

 : 혈액과 소변에 케톤이 있으면 에너지 자원으로 지방이 이용되는 것을 의미.

< 동맥혈 가스 분석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

   SaO2 (Saturation of Arterial blood )>

※ ABGA의 목적

동맥혈 가스 분석은 폐의 가스 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며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검사이다.

동맥혈 가스분석은 PaCo2, PaO2를 측정하여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COPD 등 폐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한다. 또한 동맥혈의 pH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산-염기평형 상태를 알 수 있다.

※ ABGA의 천자 부위 및 방법

보통 요골동맥, 상완동맥, 대퇴동맥에서 채혈하는데 요골동맥이 접근하기 쉽고 잘 만져지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계속해서 ABGA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여러번 천자하지 않고 요골동맥에 도관을 삽입하여 유치해 두고 채혈하기 위한 입구는 heparin으로 주사기를 한번 통과시킨 후 채혈한다. 이때 heparin의 양이 많으면 pH에 영향을 주어 그 결과가 산성쪽으로 기울게 되고, 양이 적으면 혈액이 응고되므로 주의한다. 채혈검사물에 공기가 섞이면 가스분석결과가 틀리게 나오므로 채혈 후 바늘 끝에 고무마개를 하여 공기를 차단시킨다. 보통 2.5ml의 혈액이면 충분히 검사할 수 있고 검사물은 채혈 즉시 얼음상자 안에 넣어 검사실로 보내야한다. 주사기 내에 있는 검사물 속에서도 확산이 계속 일어나므로 이 확산을 억제 시키기 위해 얼음 상자 안에 넣어야 한다. 완전하게 밀폐시켜 얼음상자에 넣은 검사물은 1시간정도는 안전하다.

※ 동맥혈 가스분석의 단계

1단계 : pH를 분류정상치 :

         PaO2 - 80~100mmHg

         PaCO2 - 35~45mmHg

         pH -7.35~7.45

         HCO3 - 22~26mEq/L

         Sa02 - 95~100%

정상 : 7.35 - 7.45

산증(acidosis) : 7.35이하

알칼리증(alkalosis) : 7.45이상

(주의)간호사는 잘못 수집된 동맥혈액으로 가스분석을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상당히 주의를 한다하여도 잘못된 혈액가스자료가 가끔 발생하기에 혈액가스의 결과가 내적 일관성이 부족하거나 외적 조화가 부적합하면 혈액표본채취에 문제가 있거나 결과기록에 잘못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