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항암&방사선

근육량 적을수록 항암치료 부작용 및 사망률 높다

암사랑 2015. 9. 1. 16:50

근육량 적을수록 항암치료 부작용 및 사망률 높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 대장암환자 근육량 따른 부작용 및 사망률 분석
2015년 08월 25일 (화) 11:37:04 박명인 기자 pmi0901@hanmail.net
   
▲ (좌로부터 김지현 김진원 교수)

 사람은 나이가 들면 호르몬 감소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근육량이 점차 줄어들며 이는 전신 염증 및 일상생활 기능장애, 심지어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최근 이러한 근육량 감소가 대장암 환자의 항암치료 부작용 발생률 및 사망률과도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현, 김진원 교수 및 정희원 전공의 연구팀은 2003-2010년 대장암 수술환자 2,047명 중 동일한 항암 치료를 받은 229명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은 각 환자들이 수술 전 촬영한 CT에서 허리와 다리를 이어주는 근육인 4번째 허리뼈 앞 허리근육의 면적을 측정, 근육량이 가장 적은 그룹부터 가장 많은 그룹까지 총 4개의 그룹의 예후를 비교한 결과, 근육량이 적을수록 중증 항암치료 부작용 발생률이 높았고 근육량이 가장 적은 그룹은 가장 많은 그룹에 비해 중증 항암치료 부작용 발생률이 약 20% 이상 높았다. 사망률 또한 근육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근육량이 1(mm²/m²) 감소할수록 사망률은 2배 가까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즉 근육량이 적을수록 중증 항암치료 부작용 발생률 및 사망률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항암치료 시 근육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책임연구자인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현 교수는 “현재까지 대장암은 비만 환자의 경우에 예후가 좋지 않다는 보고는 있었지만, 환자의 근육량에 따른 항암치료 부작용 발생률 및 사망률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며, “근육량이 적은 환자는 근육량이 많은 환자보다 항암치료 시 중증 부작용 발생률이 더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Supportive Care in Cancer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