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운동 후 근육이 당기거나 아픈 건 피로물질인 젖산이 분비되기 때문인데요.
이 젖산이 세포 성장 단백질과 만나 암세포를 키우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습니다.
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과도한 등산이나 달리기는 어김없이 근육통을 동반합니다.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젖산이 만들어져 근육에 쌓이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피로물질로만 알려졌던 젖산의 새로운 기능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밝혀냈습니다.
젖산이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과 결합해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암 세포의 성장을 돕는다는 겁니다.
모든 세포에 있는 NDRG3 단백질은 세포 성장과 혈관생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정상 상태에서는 자연적으로 분해돼 제 기능을 못하지만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젖산과 결합하면 암 세포를 키우는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인터뷰:이동철,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많아 만들어진 젖산은 'NDRG3 단백질'과 결합해 'NDRG3 단백질'의 양을 많이 만들어냅니다. 이를 통해 암세포는 저산소 상태에서의 세포사멸을 회피하는 신호전달체계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연구팀이 쥐에게 간암 조직을 이식해 실험한 결과,'NDRG3 단백질'을 발현시킨 암세포가 억제한 암세포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커졌습니다.
[인터뷰:염영일, 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젖산에 의한 세포 신호전달체계를 규명했기 때문에 앞으로 정상적인 인체 활동을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됐고, 나아가 암이나 염증성 질환 등 저산소 현상과 관련된 질병 치료제 개발에 중요하게 쓰일 것입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에 게재됐습니다.
YTN science 양훼영[hwe@ytn.co.kr]입니다.
젖산이란??
젖산은 유산(乳酸)이라고도 합니다.젖산은 크게 2가지로 분류를 합니다.
젖산은생체내 해당계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으로 탄수화물이 포도당으로 해당되어 새포내에서
애너지로 대사가 되고 나머지 남는것이 젖산인데 이 젖산은 인체에 피로물질(건강에 나쁜물질)이라고 합니다.
운동을 하거나 일을 많이 하였을때 피곤을 느끼는것이죠.
젖산의 경우 신체운동을 많이 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인체는 산소 소모량이 늘어납니다. 이로 인해 젖산을 분해할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분해되지 않은 젓산이 근육에 축적되게 됩니다. 젖산이 많이지면 근육이 뭉치거나 뻐근하게 결리는 증상이 나타
나는데 우리몸은 이때 피곤하다고 느끼기 시작합니다.
근육이 운동을 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피롷 물질인 젖산이 발생하며, 근육내 쌓이게 됩니다. 이것은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서
영양소를 태우고 난 후, 남는 찌꺼기 정도에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평소에 체력을 잘 단련한 사람은 이 찌꺼기 처리 능력이 뛰어나서, 그때그때 젖산을 근육내 남기지 않고 처리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처리 능력이 떨어져, 금방 근육내 젖산이 쌓이게 됩니다.
결국 이 젖산을 처리하는 것은 혈액 입니다. 그래서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혈액순환이 빠르면 이러한 젖산의 소비를 몸이 알아서 해결해 줍니다. 그래서 운동 전후의 스트레칭은 운동 다음날 근육통으로 부터
벗어 날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외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면 근육을 풀어 주어 혈액순환을 도와주게 되어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모음 > 일반 건강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울증 테스트와 다양한 치료법 (0) | 2015.04.22 |
---|---|
[스크랩] 최고의 의사? 아무것도 처방 안 하는 의사다! (0) | 2015.04.20 |
[스크랩] CT·MRI 조영제 부작용..20명 사망 (0) | 2015.04.16 |
[스크랩] 약 먹을 땐 미지근한 맹물 한 컵! (0) | 2015.04.15 |
[스크랩] 마음의 평안보다 더 행복한 것은 없다 (0) | 201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