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항암치료 (chemotherapy)의 부작용
암세포는 보통의 건강한 세포보다 빠르게 분열하며, 항암화학요법 약은 효과적으로 이러한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들을 타겟으로 삼는다. 불행히도 건강한 상태에서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들 또한 이러한 항암요법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잠재적으로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항압요법 약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부작용은 사람마다 또 치료법마다 다를 수 있다.
1. 혈액
항압화학요법은 건강한 혈액 혈소판, 적혈구 세포, 백혈구 세포들을 생성하는 신체의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 적은 혈액 세포의 수 (low blood counts)는 심각한 부작용을 다양하게 일으킬 수 있다.
2. 심장
항암화학요법은 심장 근육을 약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심장 질환을 가진 사람에게 더 그럴 수 있음).
3. 뇌
흐릿한 생각과 기억 문제는 일부 항암치료 환자들을 괴롭힌다. 이러한 부작용을 불안과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4. 근육과 운동기능
지치고 아픈 근육은 신체 균형과 조정능력 및 운동기능을 방해한다.
5. 구강점막 질환
볼 안쪽의 잇몸과 혀 그리고 목구멍은 아프기 쉽다. 감염을 피하기 위해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6. 매스꺼움과 구토
매스꺼움은 항암치료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치료 도중 효과적인 매스꺼움을 막는 약은 구토를 막을 수 있다.
7. 소화불량
일부 환자들은 변비로, 또 다른 이들은 설사로 고통을 입는다. 몸무게 감소와 병약해짐은 일반적이다.
8. 식욕감퇴
임에서부터, 항암치료는 전체 소화 시스팀을 방해할 수 있어 식욕을 제거하는 다양한 반갑지 않은 증상을 일으킨다.
9. 탈모
암환자의 탈모는 암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항암치료 때문이다. 항암치료의 일부는 모낭에 손상을 주어 몸 전체의 털을 잃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것은 이것은 일시적이라는 것이다.
10. 진정이 필요한 피부
일부 사람들은 건조하고 자극성 피부에 시달린다. 다른 이들은 햇빛에 민감한 피부가 되어 외출 시 햇볕에 의한 화상을 피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책을 챙겨야 한다.
11. 손톱과 발톱 문제
일부 항암치료 환자는 갈색과 깨진 발톱과 손톱을 가진다.
12. 성기능 장애
만약 항암치료의 증상이 심각하다면, 분위기를 잡는데 어려워 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대게 일시적인 문제이다.
13. 항암치료와 임신
항암치료는 정자에 해를 줄 수 있으며 호르몬 변동을 유발할 수 있다. 불임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도 있다.
14. 조기폐경
항암치료는 생리 주기에 영향을 주어 홍조나 조기폐경을 유도하기도 한다.
15. 신장에서의 효과
배뇨의 감소는 항암치료가 신장에 해를 주었다는 신호일 수 있다.
16. 방광에서의 효과
붉은 오즘은 (모든 항암제의) 필연적인 문제가 아니다 - 이는 특정 함암제에서 그들의 작용을 벗어기에 생겼을 수 있다.
17. 손과 발이 부어오름
손과 발이 부어오른다는 것은 신장이 초과적으로 일을 하였다는 표시일 수 있다.
18. 뼈에의 장기적인 영향
항암치료의 장기적인 부작용은 암과 연관된 골다공증이다.
19. 불안과 우울증
항암치료와 이의 부작용은 일상생활에 스트레를 주어 대응하기 힘들게 한다. 보완 치료와 지원 그룹은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한 부하를 덜 수 있다.
자료출처: Don't be a monkey블로거
NOTE:
현대의학의 표준치료는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 치료를 위주로 하지만 암 진단을 받았다고 모든 환자가 항암 치료를 받는 것은 아니다. 조기 암의 경우에는 수술로 병소 부위만 제거를 하고 더 이상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잔존하는 암세포들을 없애기 위하여 예방 차원에서 항암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수술, 방사선치료,항암치료 모두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환자의 암종이나 유형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그리고, 항암 치료를 두려워하거나 거부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항암 치료를 하면 머리가 빠지고 다양한 부작용으로 힘들다고 인식을 하지만 암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무조건 부정적인 인식을 가져서는 안 된다, 물론 어떤 환자의 경우에는 항암 치료가 힘들고 각종 부작용으로 견디기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잘 견디고 호전되는 사례도 많으므로 너무 단편적으로 생각을 할 필요는 없다, 또한 막연하게 항암치료를 거부하여 증세가 나빠지거나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있기에 항상 의료진의 조언에 따라 잘 대처를 하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치료를 시도하여도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단순하게 생명 연장의 의미라면 차선책을 강구하여 대처하는 방법도 있다, 모든 선택은 환자와 보호자의 몫이지만 보다 지혜롭고 이성적으로 판단을 하는 것이 좋다, 비록 현대의학적 치료를 거부하고 호전이 되거나 생명 연장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무엇보다 암에 관하여 제대로 파악하고 그 결과에 관하여서는 누구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없으므로 신중하게 생각하고 어떤 방법으로 대처를 하면 가장 좋은 것인지를 가족과 잘 의논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의공학 전문가 김동우
자료출처: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http://blog.daum.net/inbio880
'건강정보 모음 > 항암&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항암제 사용시 최소한 꼭 생각해야할 5가지 사항 (0) | 2014.11.08 |
---|---|
[스크랩] "항암바이러스 JX-594" 천연두 잡았던 우두, 간암까지 잡을까` ? (0) | 2014.11.08 |
[스크랩] 표적치료제에 대해서..(삼성병원 김희철교수) (0) | 2014.11.08 |
[스크랩] 항암치료 중 식사 요령 (0) | 2014.11.08 |
[스크랩] 암 수술 · 항암치료 하지 말라 (0) | 201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