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든 암세포, ‘스트레스 호르몬’이 깨운다
라이프 김동우
스트레스들 잘 다스려야 합니다.
잠든 암세포, ‘스트레스 호르몬’이 깨운다
잠든 암세포, ‘스트레스 호르몬’이 깨운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가 - 가 + 2020/12/04 11:20 ▲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몸속에서 휴면 중인 암세포를 활성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암 환자들은 치료가 성공적으로 끝나도 재발에 관한 막연한 불안감을 안고 산다. 실제 화학치료나 외과적 절제 수술을 하고 호전되는 듯했던 암이, 다시 활성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몸속에서 휴면 중인 암세포를 다시 활성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 미국 ...
암 환자들은 치료가 성공적으로 끝나도 재발에 관한 막연한 불안감을 안고 산다. 실제 화학치료나 외과적 절제 수술을 하고 호전되는 듯했던 암이, 다시 활성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몸속에서 휴면 중인 암세포를 다시 활성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의 위스타 연구소 연구팀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휴면 상태인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동물실험과 인간 대상 연구를 함께 진행했다. 연구팀은 먼저 쥐를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노출시켰고, 이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오른 후, 면역계에 의해 호중구(호중성 백혈구)가 생성됐고, 호중구는 염증성 단백질(S100A8/A9)를 방출시켰다.
이어 연구팀은 암 종양절제술을 받은 폐암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염증성 단백질과 재발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대상자들의 혈액을 채취했다. 그 결과, 혈액에서 염증성 단백질 농도가 높은 환자는 수술 33개월 후 암 재발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컸다. 이와 관련해 연구팀은 암세포가 자라면, 일부는 다른 장기로 이동해 휴면상태에 들어가기 때문에 화학요법이나 수술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팀은 염증성 단백질은 골수계 세포가 가진 효소(myeloperoxidase)를 활성화해 세포 내 산화된 지질을 축적하고, 이는 암 성장·증식에 관여하는 세포(섬유아세포)에 영향을 미쳐 휴면상태의 암세포가 활성화된다고 말했다. 연구를 진행한 미켈라 페레고 박사는 “암 완치자들이 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건강정보 모음 > 암 관련 도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방법 (0) | 2020.12.21 |
---|---|
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올바른 커뮤니케이션 방법 (0) | 2020.12.21 |
암 진단을 받았을 때 해야 할 50가지 (0) | 2020.12.19 |
암을 고치고 싶은가요? (0) | 2020.12.18 |
암을 고치고 싶은가요? (0) | 202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