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즙 기계(녹즙기, 생즙기)의 선택
암 환자가 어떤 제품을 선택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많다.
많은 제품들이 암 환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 제품을 마케팅기법으로 판매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 제품들은 사 놓고 사용하지 않는다.
생즙기, 즉 녹즙기는 암 환자가 가장 많이 사용해야 할 제품이다.
마르고 닳도록 사용해야 한다. 치유의 핵심엔 물질이 있고 그 물질이 가장 유효하게 여러분들에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즙의 형태가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제품들과 달리 생즙기, 즉 녹즙기는 선택에 있어서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그 선택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몇가지 사항을 언급하고자 한다.
그 동안은 세계시장에서 유통되는 즙 기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주 고려사항은 식물의 섬유세포(약 5~200㎛)를 해체하여 그 속에 숨어있는 미세전자적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놓고 즙 기계의 우수성을 가늠하여왔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개발ㆍ생산되는 Twin-gear로 구성된 저속회전방식의 즙 기계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이는 세 가지 측면에서 상당한 유효성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미량영양소의 다량 추출과 영양소 파괴방지, 그리고 흡수율의 증가가 그것이다.
그런데 좀 더 깊게 연구를 해 가는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One-screw 즙 기계의 Screw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어 환경호르몬과 식물 섬유세포 분쇄 시 플라스틱 탈랄 물질이 즙 속에 들어갈 가능성 때문에 논란이 일고 있다. 또한 Twin-gear 즙 기계도 반드시 안전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과거 여러 경험을 한 바 있다. 녹즙기 쇳가루 파동, 쇳가루 황토 팩 파동, 고춧가루 쇳가루 파동 등을 겪어오면서 건강과 직결된 문제에 대해서는 과민반응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쌍기어 즙 기계방식이 즙 기계로서의 유효성은 인정하지만 두 가지 문제는 해결해야 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1)즙에 유입될 가능성 있는 쇳가루, (2)그리고 유리된 즙이 금속성분과 만나면서 변질되는 것에 대한 대응이 그것이다. 과거 녹즙기 쇳가루파동으로 인해서 녹즙기 시장이 몰락한 사례가 있어서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대부분 암 환자가 사용하는 즙 기계라 또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즙에는 어떤 금속성분도 포함돼서는 안 된다. 물론 그것이 외부의 이물질인 경우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별도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채소 과일 등 식물의 섬유세포를 분쇄하면 이온화된 영양물질이 바깥으로 쏟아져 나온다. 이 때 이 물질들이 금속성분과 맞닥뜨리게 되면 변성이 생기게 된다. 이는 쉽게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사과를 스테인리스 칼로 깎거나 자르게 되면 갈변현상이 발생하는 데 반해 세라믹 칼로 자르면 급속한 갈변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사실을 보면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공기 중의 산소를 만나면서도 변성이 일어나기는 마찬가지지만 금속성분을 만나면서 발생하는 변성의 속도보다는 훨씬 더 느리게 진행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Twin-gear 즙 기계도 두 가지 유형으로 개발되었는데 착즙메커니즘은 거의 같고 다만 기어부분에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기어부분에서 All Stainless(분쇄부분+착즙부분)로 제작된 것과 Stainless(분쇄부분)+플라스틱(착즙부분)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 Stainless는 주방용품이나 혹은 의료처치 시에 가장 안전한 금속으로 인식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환경호르몬 등의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Stainless의 주 구성성분은 철(Fe)을 베이스(Base)로 하여 니켈(Ni)과 크롬(Cr)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합금이다.물론 이 이외의 금속성분들이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즙 기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기어를 Stainless 재질로 하고 있는 것은 다른 물질보다 비교적 안전하다고 판단한데서 비롯됐다.
그것이 더 안전하고 실효성 있게 암 환자들에게 사용되려면
1. 쇳가루 등 금속물질이 탈락 돼 즙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
예를 들면 분쇄부분과 착즙부분을 분리해서 기어를 제작하는 것 등과
2. 채소과일 생즙(통상 녹즙으로 표현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임)의 이온화된 물질이 스테인리스 등 금속성분과 만나는 것을 최소화(스테인리스 표면적이 넓을수록 즙의 변성이 빨리 진행됨)하여 신선하고 유효한 채소과일생즙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할 것
무엇이든 한 가지 점에 초점을 맞추다보면 다른 부분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즙 기계에 있어서만 본다면 즙 기계를 싸게 제작하려 하면 원료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착즙률이 낮아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고 즙 재료(통상은 채소과일) 구입비를 절약하려는 경제적 이득을 챙기기 위한 목적으로 착즙률을 높이려다보면 앞에서 언급했듯이 두 가지 문제, 즉 금속물질 문제와 채소·과일즙의 변성을 촉진시키는 스테인리스의 표면적을 넓게 하게 된다. 아무튼 이 문제도 역시 선택의 문제라고 본다.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답은 스스로 내릴 수밖에 없다.
'건강정보 모음 > 일반 건강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먹거리정보 * 의료 정보 * (0) | 2020.07.29 |
---|---|
근육 안 생기는 나쁜 운동 습관 5 (0) | 2020.07.26 |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더욱 필요한 이유 (0) | 2020.07.26 |
우리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 이야기 (0) | 2020.07.26 |
자연의학에서의 MSM 이용가치 (0) | 2020.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