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의 양면성
소금에는 양명성이 있 습니다.웃는 얼굴과 무서운 얼굴을 가지고 있습니다. 몸에 소금이 부족하면 신장의 기능이 약해 집니다. 하지만 소금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신장이 공격을 받습니다.또 의사들은 짜게 먹으면 고혈압에 걸린다고 경고 합니다. 염화나트륨이 혈압을 올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소금에 있는 칼륨은 오히려 혈압을 내려줍니다. 소금이 가진 이런 양면성 때문에 사람들은 종종 편을 갈라 다투곤 합니다.소금이 건강에 위험하다고 말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 봅시다. ''음식을 싱겁게 먹는 국민일수록 오래산다'' TV 나 신문에서 아주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입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믿고 있기도 합니다.
자 이번에는 여기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말도 들어봅시다. ''에스키모 인들은 물고기와 물고기에 배인 소금만 먹을 뿐인데도 평균 수명이 40세 밖에 안되는데?'' ''뭐야,몇 명 되지도 않는 에스키모 인은 빼야지!'' 좋 습니다.그럼 우리나라 인구의 두배인 독일은?'' 독일인들은 짠 음식을 좋아하기로 유명합니다. 세계보건기구 (WHO)의 일일 소금 권장량보다 4배에 가까운 25g의 소금을 먹지만 대표적인 장수 국가입니다.소금을 둘러싼 이 논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양쪽 다 한 가지 사실에는 동의를 하고 있습니다. 소금은 몸에 이로운 성 격과 해로운 성격 모두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소금이 가진 웃는 얼굴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건강한 사람의 체온을 재면 약 36. 5도 입니다.여름철 한낮 기온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게다가 인간은 항온 동물이기 때문에 이 체온은 늘 유지해야 합니다.
문제는 이 정도 온도라면 몸 속의 피와 다른 체액이 부패하기 딱 좋은 환경이라는 겁니다.무더운 한 여름에 생선을 밖에 두면 금방 부패하는 것과 같습니다.그런데 왜 이 온도에서 체액이 썩지 않을까요? 핏속에 녹아 있는 0.9% 의 소금기 때문입니다. 또 소금은 혈액과 혈액 외의 몸 속 체액의 산과 염기 비율인 수소 이온 농도가 7.4로 유지되도록 해 줍니다.이 비율이 깨지면 우리 몸은 산 ,알칼리 중독증을 앓게 됩니다.이런 것들이 소금이 우리 몸에 주는 이로운 성격입니다.
그렇다면 소금이 가진 무서운 얼굴은 무엇일지 살펴보겠습니다. 염화나트륨 (Nacl)은 나트륨 (Na)과 염소 (CI)가 결합된 물질로 투명한 정육면체의 결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소금이라 부릅니다.과학자들이 붙여 준 소금의 또 다른 이름이 염화나트륨이란 것입니다. 염화나트륨에서 나트륨과 염소의 결합 비율은 약 40: 60 입니다. 1그램의 소금에 400밀리그램의 나트륨과 600밀리그램의 염소가 들어 있다는 뜻 입니다.그런데 염소와 나트륨은 둘 다 대단히 위험하고 난폭한 물질 입니다.
나트륨은 쉽게 폭발하는 성질 때문에 화학을 만드는데 사용될 정도고요,염소는 불에 태우면 독한가스를 만들어 냅니다. 특히 나트륨을 필요 이상 섭취할 경우 고혈압과 각종 성인병에 시달리게 됩니다.그런데 신기하게도 나트륨과 염소라는 두 문제아가 소금으로 합해지면 아주 얌전해집니다.소금은 염소와 나트륨만으로 이뤄져 있지는 않습니다. 소금에는 황산과 마그네슘이라는 무서운 얼굴이 더 있습니다.특히 천일염의 경우 칼륨, 칼슘, 마그네슘 ,황산 등의 물질이 소금의이 결정에 잔뜩 들러붙어 있습니다. 소금이 희게 보이는 것은 바로 마그네슘 때문입니다. 소금의 간수에 들어 있는 염화마그네슘은 인체 에 아주 해롭습니다.가열해서 먹지 않으면 체내 단백질을 단단히 굳게 만들고 간까지 공격 합니다.천일염을 후라이팬에 넣고 센 불에 가열해 보면,아주 지독한 냄새의 독가스가 나옵니다.이 가스가 황산과 마그네슘입니다.
#소금
'건강정보 모음 > 일반 건강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밤은 편안하셨나요?…‘꿀잠’ 부르는 방법 4가지 (0) | 2020.08.11 |
---|---|
?스위스 루카스 클리닉의 인지의학 암 공포 잊고 즐겁게 고친다. (0) | 2020.08.11 |
혈관에 바늘을 찌른 자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0) | 2020.08.11 |
생식과 화식의 충격적인 실험 결과 (0) | 2020.08.10 |
명현현상&호전반응의 이해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