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식이요법 /통합&자연의학

암환자분이 경구용 비타민 C를 메가도즈로 섭취해야 하는 이유 1 : 콜라겐 합성 ​

암사랑 2020. 4. 6. 08:35

작성자 라이프 김동우  





암환자분이 경구용 비타민 C를 메가도즈로 섭취해야 하는 이유 1 :

콜라겐 합성

 

고용량의 비타민 C 정맥주사(IVC)가 항암치료처럼 암세포를 살상하는 산화제 역할을 한다면 경구용 비타민 C는 대표적인 항산화제니까 서로 상충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일어납니다. 댓글로도 이런 질문이 많이 있었고 저도 이런 의문이 들어 해답을 찾으려고 고심했었습니다.

 

그러다 아래 논문을 공부한 뒤로는 ', 메가도즈를 하는게 맞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비타민C의 경구 복용은 항산화제 역할 때문이 아니라 '정상세포가 콜라겐 합성을 하기 위하여복용하는 겁니다.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면 암세포를 감옥에 가두어 꼼짝마라!!’ 하는 상황이 되는 겁니다. 이런 효과를 다른 논문에서는 ‘walling off(벽으로 막기)’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정상세포가 암세포 주위를 단단히 둘러싸서 적이 도망가지 못 하게 하는 상황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아래부분에 번역해 두었지만 "gluing themselves(스스로 접착)” 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메가도즈로 비타민 C를 주면 암세포도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지네들끼리 들러붙어 전이 가는걸 막아준다는 얘기입니다.

 

따라서 저는 제 환자분들께

IVC 당일 오전은 IVC 효과와 상충하니 경구용 비타민 C 복용은 하지 마시고, 집에 가셔서 저녁부터 비타민 C 경구 복용하시라고 합니다. 그리고 IVC가 없는 날은 하루 최소 18g 이상은 복용하시라고 합니다.

 

아래 논문은 IVC 치료에 한 획을 긋는 중요한 논문입니다.  

여기서는 경구로 고용량 비타민 C를 복용해야하는 것과 관련된 부분만 발췌해서 원문과 함께 번역해 올리겠습니다. 이미 경구용 비타민 C의 역할에 대해 적은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아래 링크 글의 3번을 보시면 됩니다.

 

https://blog.naver.com/vitaminclinic/221696713218

 

 

[펜벤다졸] Dr. 이영실이 바라보는 "펜벤다졸"의 효과 -

 

펜벤다졸 시리즈 이전글 링크 클릭

https://blog.naver.com/vitaminclinic/221694856190https://blog.na...

blog.naver.com

 

   


[종양 세포의 콜라겐 생산에 고용량 비타민 C의 효과]

Effects of High-Dose Vitamin C on Tumor Cell Collagen Production

 

비타민 C는 프롤린(proline)의 수산화(hydroxylation)을 위해 필요하고, 비타민 C의 낮은 농도는 콜라겐 합성에서 제한 인자(limiting factor) 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It is well known that vitamin C is required for the hydroxylation of proline, and

that low levels of vitamin C can be a limiting factor in the production of collagen

 

제한인자(limiting factor) : 어떤 생리학적 과정에서 그 과정을 진행시킬지 멈출지를 결정하는 열쇠가 되는 가장 중요한 인자라는 의미

 

많은 종양세포는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와 다른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기 때문에,우리는 비타민 C 보충(supplementation)으로 종양 세포에 의한 콜라겐 생산을 증가시켜 콜라겐 분해효소와 균형을 맞추는지를 알기를 원했다.

 

Because many tumor cells produce collagenase and other proteolytic enzymes, we wanted to determine if vitamin C supplementation would increase collagen production by tumor cells, thereby having a balancing effect on collagenase

 

실험실에서, 우리는 종양 세포에게 경구용 보충으로 도달할 수 있는 비타민 C 농도(2 and 4 mg/dL)를 주었고,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콜라겐 생성을 측정하였다.

 

In an experiment, we supplemented cultured tumor cells with vitamin C concentrations that are achievable with oral supplementation (2 and 4 mg/dL) and measured the collagen produced using a well-known method

 

우리는 "정말로" 경구용으로 보충한 이 농도(2~4mg/dL)의 비타민 C가 콜라겐 생산을 크게 증가시켰다는 것을 알았다.

 

We found that indeed, these concentrations of vitamin C grea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collagen

 

Dr. 이영실 부연 설명

아래 그림은 비타민 C를 줬을 때 전립선암과 난소암 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이 증가했다는 그림입니다.

    

 

우리가 PC-3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에 비타민 C 농도를 300mg/dL 만큼 높은 농도를 이용하여 비타민 C의 세포 독성 분석을 하였을 때, 우리는 조직 배양 플라스크로부터 남아있는 살아있는 암세포를 떼낼 수 없었다 .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when we performed cytotoxicity assays of vitamin C against the PC-3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 lines using concentrations as high as 300 mg/dL, we were unable to detach remaining live cells from the tissue culture flasks using trypsin/EDTA

 

그래서 일부 경우에 암세포를 떼내기(분리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로 며칠 동안 처리해야했다.

 

In some cases several days of treatment with high concentrations of collagenase were required to detach the cells

 

우리 중 하나는 말 그대로 플라스틱 플라스크에서 "조각, 부스러기" 세포를 기억한다.

One of us remembers literally “chipping” cells off the plastic flasks

 

Dr. 이영실 부연 설명  

실험실의 플라스크에 암세포가 달라붙어 잘 안 떨어지고, 겨우 떨어진 상태가 온전한 세포 모양이 아니라 부스러기처럼 됐다는 의미로 높은 비타민 C 농도로 처리했을 때 암세포가 콜라겐 생성을 많이 해서 접착력이 엄청 증가했다는 의미

 

전립선암 세포는 고용량의 비타민 C에 매우 내성이 있다.  

Prostate tumor cells are very resistant to high doses of vitamin C

 

그 이유는 전립선암 세포는 콜라겐 생산에 비타민 C를 너무 빠르게 사용하여 다른 세포주에서처럼 머무는 시간이 많지 않아 암세포에게 비타민 C의 독성이 적을 수 있다.

 

It may be that they are so rapidly using the vitamin C for collagen production that it doesn’'t have as much residence time as in other cell lines, and is therefore less toxic

 

우리는 전립선암으로 진단받은 몇몇 환자에게 몇 년간 비타민 C를 지속적으로 경구로 복용시켰는데, 상대적으로 큰 종양인데도 불구하고 전이로 진행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Of clinical note is that we have several patients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who have taken continuous large oral doses of vitamin C for many years and do not progress to metastatic disease, despite a relatively large intracapsular tumor burden

 

아마도 이 경우의 종양 세포는 높은 콜라겐 생산으로 스스로 접착(풀칠)’ 한 것이다.  

Perhaps their tumor cells are "gluing themselves” in place by high collagen production


자료출처: 전주비타민의원   https://m.blog.naver.com/vitaminclinic/221759778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