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초기증상과 췌장암에 좋은 음식
안녕하세요. ENF입니다.
오늘은 췌장암 초기증상과 췌장암에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췌장암은 암 중에서도 5년생존율이 낮은 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췌장암의 초기 증상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췌장암의 초기증상은 췌장 질환이나 소화기질환에서도 나타는 증상들과 흡사하다보니 조기진단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암이 생기는 위치에 따라 초기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먼저 췌장암의 주요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췌장암의 90%에서 나타나는 복부통증은 명치의 통증이 가장 흔하고 전체적인 복부에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췌장이 등과 가까이 있다보니 허리쪽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허리쪽이 아픈경우에는 이미 암이 많이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밖에도 췌장암은 황달, 소화장애, 당뇨, 체중감소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장기입니다. 췌장에 문제가 생기면 소화효소가 제대로 분비되지 않아 소화가 잘 되지 않고 영양소의 흡수도 잘 되지 않다보니 영양결핍이 많이 나타납니다. 그렇기때문에 무엇보다 식이요법이 중요합니다. 췌장암에 좋은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췌장암에 좋은 음식
- 양배추, 브로콜리 : 양배추와 브로콜리에 많은 루테올린은 암세포만을 사멸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인돌은 췌장암에 사용되는 항암제 젬시타빈의 효과를 증진시킵니다. 이밖에 다양한 항산화 영양소가 면역력을 높여주고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소화효소 : 췌장은 3대 영양소를 소화시키는 효소가 분비되는 장기인데 암으로 인해 소화효소가 제대로 분비되지 않아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제대로 소화가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소화효소를 보충하여 섭취한 음식의 소화를 도와주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천천히 꼭꼭 100번 이상 씹어드세요! 많이 씹을 수록 소화가 잘 되고 침 분비가 촉진됩니다. 침에는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가 듬뿍 들어 있어 소화를 도와줍니다.
- 아미노산 보조식품 : 췌장암도 다른암과 마찬가지로 체력이나 면역력을 위해 단백질을 알맞게 섭취하는게 중요합니다. 하지만 단백질의 경우 원래 소화가 잘 안된다는 단점이 있는데 췌장암인 경우에는 더욱 소화에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대부분의 단백질 식품은 육류인데 육류를 섭취할 경우 지방도 문제가 됩니다. 지방은 췌장암의 원인중 하나이며 고지방을 섭취할 경우 예후가 더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꼭 필요한 단백질은 동물성보다는 식물성을 추천합니다. 식사만으로 단백질의 섭취가 어려울 수 있으니 단백질 보조식품을 추가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단백질 보조식품은 아미노산으로 이미 분해가 되어 있어 흡수가 잘 되는게 좋으며 몸에 부담이 없는 효모같은 천연원료를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 면역력증진식품 : 모든 암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자신의 면역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항암제도 암세포를 100% 죽일 수 없습니다. 그정도 사용을 하려면 몸이 견디지를 못하겠죠. 결국 남아있는 암세포를 처리하는 것은 자신의 면역력입니다. 면역력이 잘 갖추어져있어야 어떤 치료를 받던지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그렇지 못할 경우 암세포들이 면역감시에서 벗어나 통제 불능의 상태가 되고맙니다.
위에 말한 양배추와 브로콜리를 포함한 각종 유기농채소, 양질의 단백질,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제대로 소화하고 흡수했을 때 면역력이 증가됩니다. 여기에 적절한 운동과 마음관리까지 더해지면 더할나위 없습니다.
만약 식사가 너무 어렵고 면역력이 잘 오르지 않을 경우에는 AHCC같은 면역보조제를 드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됩니다.
https://blog.naver.com/uandi2014/221537380343
'건강정보 모음 > 췌&담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췌장 효소제로 항암치료가 가능하다? 복용법과 제품 고르는 법 (0) | 2020.04.06 |
---|---|
췌장암 5년 생존율 12%.. 40세 이후엔 복부초음파 검사를 (0) | 2020.03.05 |
♥'원인 불명' 췌장암? 혈당 주목하라 (0) | 2020.02.24 |
췌장암 수술 명의, 황호경 교수(간담췌외과) (0) | 2020.02.12 |
크기 작은 담낭용종, 꼭 수술로 떼야 할까요?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