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암 관련 도움글

암세포 죽이지 않고 정상세포로 바꿔버린다... 국내서 기술 개발

암사랑 2020. 1. 14. 09:12

암 정복을 위한 인류의 노력이 조금씩 열매를 맺고 있다.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원천기술이국내 학계에서 개발됐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시스템생물학 연구를 통해 대장암세포를 일반적인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초기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장암 세포와 정상 대장 세포의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를 분석해 대장암 세포를 정상대장 세포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핵심 인자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암세포의 정상 세포화라는 새로운 치료 원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암학회(AACR)에서 출간하는 국제저널‘분자암연구(Molecular Cancer Research)’ 1월 2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현재 항암치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암 화학요법은 빠르게 분열하는 암세포를 공격해 죽임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기술은 신체 내 정상적으로 분열하고 있는 세포들까지도 함께 죽여 구토와 설사ㆍ탈모, 골수 기능장애, 무기력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게다가 암세포들은 항암제에 내성을 갖게 돼 약물에 높은 저항성을 띄는 암세포로 진화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항암치료는 내성을 보이는 암세포를 없애기 위해 더 많은 정상 세포의 사멸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암세포만을 특이적으로 없애는 표적 항암요법과 몸 속의 면역시스템을 활용한 면역 항암요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하지만 효과와 적용대상이 매우 제한적이고, 장기치료 때에는 여전히 내성의 문제가 생긴다. 이처럼 현재 개발된 항암요법들은 암세포를 죽여야 하는 공통적인 조건 때문에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변환하는 새로운 방식의의 치료전략을 제안했다. 암세포가 정상 세포로 바뀌는 현상은 20세기 초부터 간혹 관찰됐지만, 그 원리가 밝혀지지 않았다.   
  
조 교수팀은 시스템생물학 연구방법을 통해 대장암세포를 정상 대장 세포로 변환할 수 있는 핵심 조절인자를 연구했다. 그 결과 다섯 개의 핵심 전사인자와 이들의 전사 활성도를 억제하고 있는 후성유전학적 조절인자인 ‘SETDB1’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또 이번 연구를 통해 SETDB1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정상 세포로 변환할 수 있음을 분자세포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연구팀은 서울삼성병원과의 협동 연구를 통해 SETDB1이 높게 발현되는 대장암세포를 가진 환자들에게서 더 안 좋은 예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거꾸로 SETDB1의 발현을 억제했을 때는 다시 정상 세포와 같은 형태로 변화하는 것 또한 관찰했다. 
  
조 교수는 “그동안 암은 유전자 변이 축적에 의한 현상이므로 되돌릴 수 없다고 여겨졌으나 이를 되돌릴 가능성을 보여줬다”라며“이번 연구는 암을 당뇨나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으로서 보고 잘 관리하면서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항암치료의 서막을 연 것”이라고 말했다.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 joonh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