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감에 소화불량... 간암으로 발정하는 B·C형 간염
악성종양인 간암은 과도한 음주가 원인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에선 B형간염이나 C형간염 등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유병률이 더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40~50대 중년 남성 사망원인 1위로 꼽히는 간암은 만성 B형간염이나 C형간염, 지속된 염증에 따른 간경변증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국내 간암의 70%는 B형간염, 10%는 C형간염이 원인이다.
보통 바이러스 침투로 염증이 지속되면 간조직이 딱딱한 간섬유화증으로 바뀌면서 간 기능을 제대로 하기 어려운 간경변증이 된다. 더 심할 경우 악성종양인 간암으로 전개될 수 있어 조기 약물 치료가 중요하다. B형간염은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분비물로 감염될 수 있다. 다만 부부관계로는 감염 가능성이 낮고 음식물을 통해서는 감염되지 않는다.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전신쇠약감, 피로감, 의욕상실, 두통, 소화 불량 등이 있다. 환자의 면역상태에 따라 만성간염이 되는 비율이 달라진다. 성인은 약 5%, 신생아는 약 90~95%가 만성간염화가 된다.
C형간염도 감염 원인이 비슷하다. 주사기 재사용을 하는 의료현장에서 감염 가능성이 높다. 과거에는 B형간염이 가장 큰 문제였으나 국가에서 B형간염 예방접종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어 상대적으로 C형간염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C형간염은 아직 예방주사가 없다.
안상훈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C형간염은 급성 이후 약 60~70% 이상 환자에서 만성화가 된다"며 "임상경과가 서서히 진행되고 자연회복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행히 B형간염과 C형간염은 효과 좋은 치료제들이 있다. 엄밀히 말하면 이들 약제는 간암에 사용되기보다는 간암으로 발전하기 전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 간 섬유화가 진행되기 전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출처 : 뉴스 1
우리나라 40~50대 중년 남성 사망원인 1위로 꼽히는 간암은 만성 B형간염이나 C형간염, 지속된 염증에 따른 간경변증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국내 간암의 70%는 B형간염, 10%는 C형간염이 원인이다.
보통 바이러스 침투로 염증이 지속되면 간조직이 딱딱한 간섬유화증으로 바뀌면서 간 기능을 제대로 하기 어려운 간경변증이 된다. 더 심할 경우 악성종양인 간암으로 전개될 수 있어 조기 약물 치료가 중요하다. B형간염은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분비물로 감염될 수 있다. 다만 부부관계로는 감염 가능성이 낮고 음식물을 통해서는 감염되지 않는다.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전신쇠약감, 피로감, 의욕상실, 두통, 소화 불량 등이 있다. 환자의 면역상태에 따라 만성간염이 되는 비율이 달라진다. 성인은 약 5%, 신생아는 약 90~95%가 만성간염화가 된다.
C형간염도 감염 원인이 비슷하다. 주사기 재사용을 하는 의료현장에서 감염 가능성이 높다. 과거에는 B형간염이 가장 큰 문제였으나 국가에서 B형간염 예방접종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어 상대적으로 C형간염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C형간염은 아직 예방주사가 없다.
안상훈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C형간염은 급성 이후 약 60~70% 이상 환자에서 만성화가 된다"며 "임상경과가 서서히 진행되고 자연회복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다행히 B형간염과 C형간염은 효과 좋은 치료제들이 있다. 엄밀히 말하면 이들 약제는 간암에 사용되기보다는 간암으로 발전하기 전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 간 섬유화가 진행되기 전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출처 : 뉴스 1
[출처] 피로감에 소화불량... 간암으로 발정하는 B·C형 간염|작성자 암지식정보센터
네이버 밴드에도 초대합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오세요^^~~
밴드주소 : https://band.us/@ikhyun7501
'건강정보 모음 > B&C형 간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형간염 치료, 동반질환 여부와 조기 ALT 정상화가 관건" (0) | 2018.12.12 |
---|---|
대한간학회, B·C형 간염 치료 가이드 최종본 추계학회서 공개 (0) | 2018.12.12 |
B형간염바이러스는 어떻게 간암을 일으킬까, 발암기전 (0) | 2018.12.10 |
"HBV 초 치료 환자들 반드시 테노포비르 선택해야" (0) | 2018.12.07 |
A,B,C형간염과 예방수칙 알아보기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