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B&C형 간염

B형간염 - 만성 B형간염 치료제 베믈리디 2년 치료시 비리어드와 효과 비교

암사랑 2018. 9. 20. 09:20

B형간염 - 만성 B형간염 치료제 베믈리디 2년 치료시 비리어드와 효과 비교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7백만 명이 B형간염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1년에 887,000명이 B형간염의 합병증(즉, 간경변증 및 간암 등)으로 사망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Hepatitis B fact sheet 2018).

만성 B형간염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간섬유화의 진행을 초래하여, 간경변증 및 간암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B형간염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치료는 이러한 합병증의 위험을 감소하고, 질병의 진행을 멈추어 간섬유화나 간경변증의 호전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B형간염 치료제로는 B형간염의 치유, 즉 표면항원(S항원; HBsAg)의 소실은 거의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평생 약을 복용해야 됩니다. 장기간 약을 복용하게 되면서 신장이나 뼈에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최신판의 미국 및 유럽간학회 B형간염 가이드라인에서 치료제로 비리어드, 바라크루드 및 베믈리드를 사용하라고 권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비리어드로 치료받고 있는 만성 B형간염이 가장 많습니다.

그러나 비리어드를 장기간 치료하면서 일부에서 신장이나 뼈 부작용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베믈리디는 비리어드와 B형간염에 약효를 나타내는 성분은 같지만, 더 적은 용량(베믈리디 25 mg, 비리어드 300mg)으로도 B형간염 바이러스 억제에 미치는 효과는 비리어드와 차이가 없을 만큼 강력하며, 비리어드보다 90% 이상 낮은 혈장 농도를 보여 신장과 뼈에 미치는 전신 부작용을 낮출 수 있었습니다.


베믈리디는 임상 3상 이중맹검 무작위 연구로 1년째 효과가 비리어드에 비해 열등하지 않으며, 신장 및 뼈 안정성이 향상됐음을 보고하였고 최근 2년 치료 연구 결과가 논문으로 발간되었습니다 (Agarwal K. J Hepatol 2018).


베믈리디 치료 2년까지 비리어드와 비교해서 바이러스 억제 효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약제 내성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간기능 수치 ALT(GPT)의 정상화는 베믈리디가 비리어드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습니다. 치료 1년 연구에서는 미국간학회 기준 정상화만 베믈리디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2년 연구에서는 이 연구의 중앙 검사실 기준 및 미국간학회 기준 정상화 모두 베믈리디가 높았습니다. 하지만 이런 예상치 못한 효과의 기전은 아직 모른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비리어드의 뼈와 신장 부작용 관련 약제 안정성이 베믈리디가 개발되어 출시된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베믈리디 치료 군에서 골밀도가 비리어드 치료 군보다 유의하게 더 적게 감소하였습니다.

신장 안정성도 베믈리디가 비리어드보다 더 향상된 약제입니다. 사구체여과율은 베믈리디 치료 군에서 비리어드 치료 군보다 더 적게 감소하였고, 혈청 크레아티닌(Cr)도 베믈리디 복용 군이 더 적게 증가하였습니다.

베믈리디 1년 치료 연구시 비리어드와 비교해 콜레스테롤 상승과 뇨당 검출은 2년 연구에서도 약간 차이를 보입니다. LDL콜레스테롤이 190 mg/dL 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이는 군이 베믈리디 6%, 비리어드 1% 였고, 공복 혈당이 250 mg/dL  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이는 군은 베믈리디 1%, 비리어드는 0% 였습니다. 하지만 콜레스테롤과 혈당이 높게 측정된 대부분은 과거력상 고지혈증이나 당뇨가 있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만성 B형간염에서 베믈리디 2년 치료는 비리어드만큼 강력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가지면서 신장과 뼈 안정성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울산편한내과에는 베믈리디로 많은 B형간염 분들이 치료받고 계시고 있습니다. 비리어드 치료 중 특히 신장 기능이 저하된 분들에서 베믈리디로 교체하고 싶지만, 보험공단에서 신기능이 아주 저하된 분들에게서만 사례별로 허가를 해주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울산편한내과는 B형간염 검진과 치료에 있어 풍부한 임상 경험의 축적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치료 지침과 논문을 항상 연구하는 간질환 진료, 검진 및 치료 의료기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