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정적인 마음 지우기
「욕심」은 부릴 수록 더 부풀고...
「미움」은 가질 수록 더 거슬리며...
「원망」은 보탤 수록 더 분하고...
「아픔」은 되씹을 수록 더 아리며...
「괴로움」은 느낄 수록 더 깊어지고...
「집착」은 할 수록 더 질겨지는 것이니...
부정적인 일들은 모두 모두 지우는 게 좋습니다. 지워버리고 나면 번거롭던 마음이 편안해지고, 마음이 편안해지면 사는 일이 언제나 즐겁습니다.
「칭찬」은 해줄 수록 더 잘 하게 되고...
「인정」은 나눌 수록 더 가까워지며...
「사랑」은 베풀 수록 더 애틋해지고...
「몸」은 낮출 수록 더 겸손해지며...
「마음」은 비울 수록 더 편안해지고...
「행복」은 감사할 수록 더 커지는 것이니...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생각이 건강과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본 적 있는가? 우리는 생각이 건강이나 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잊고 지낸다.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고, 긴장이나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데 이런 것들이 신체적으로, 감정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감정 상태는 육체적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이 통제하기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성적으로 목에 통증이 지속되는 것은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아무 이유 없이, 설명할 수 없이 엉덩이에 통증이 생기는 것은 두려움 때문에 중요한 결정을 할 수 없다는 신호일 수 있다.
등 뒤쪽의 통증은 비통함과 관련있다;
등 중간에 생긴 통증은 과거를 흘려보낼 수 없는 것과 관련된다. 등 아래쪽에 통증이 생기는 것은 재정상의 스트레스와 관련된다.
무릎에 통증이 생기는 것은 두려움, 자만심이나 통제력 부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화 나는 상황에서는 아드레날린 수치가 증가하는 반응이 일어나고, 반복적으로 경험을 되살리게 된다.
슬픔은 체력과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친다. 슬플 때는 만성적으로 피곤하고, 에너지, 힘이 없어진다.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 이겨내는 법
우리의 힘과 감정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 행복으로 가득한 순간 만큼이나 어렵다.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정말 어려워보이고, 극복하기 어려워 보여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게 중요하다.
매일 아침 일어날 때, 새로운 하루를 위해 우리가 겪어야 할 새로운 도전에 대해 몸과 마음을 준비하는게 중요하다.
우리 마음은 놀라울 정도로 강력하며, 많은 일들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모든 것에서 긍정적인 면을 보려고 노력하자. 이겨내기 어려워보이는 것이라 할지라도 긍정적인 면을 보도록 하자.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이 우리 삶과 건강을 지배할 때, 몇 분간만 가만히 앉아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할 가치가 있는지 생각해보는게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불평하며 감정이 당신을 지배하도록 두는 것 대신 삶의 변화를 원하게 될 것이고, 부정적인 생각이 삶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해결책을 찾게 될 것이다.
기쁨과 행복과 같은 좋은 감정은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호르몬을 분비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마찬가지로, 부정적인 감정은 반대로 면역력을 약하게 한다. 우리 몸이 질병에 걸리기 쉬운 상태로 만든다.
긍정적인 사람이 되는 것은 좋은 생각과 느낌을 가지겠다는 선택의 문제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그만큼 가치가 있다. 여러가지 면에서 신체, 감정적 건강을 향상시킨다.
옮겨온 글
NOTE:
행복함을 느끼거나 사랑을 하거나 그러한 감정을 느끼는 사람의 몸은 항상 따듯하여 건강함을 유지하거나 질병 회복에도 많은 기여를 한다.
반대로 분노하거나. 짜증을 내거나. 부정적 생각을 하는 사람은 체온이 떨어지고 질병 회복에도 악영향을 주게 된다. 즉 마음이 몸을 지배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결론적으로 의학적 치료가 질병 회복에 49%를 차지 한다면 환자의 마음이 51%를 차지 한다.
예를들어 불임 환자를 대상으로 명상과 마음 비움을 시도하고 노력한 결과 임신에 성공한 사람은 그러하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임신 성공율이 30%이상의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심신을 이완하고 마음 비우는 연습을 한 환자가 그러하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통증 감소 효과가 20% 이상의 차이가 있었다.
비록 암성 통증이 나를 괴롭히지만 통증에 집착을 버리고 힘들지만 미소를 짓고 복식호흡을 하고 억지 웃음을 지으면 실제로 통증이 미약하지만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그리고. 암성 통증이 심할 경우 반드시 진통제를 적절하게 이용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증을 견디기 어려울 경우에는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메디칼엔지니어 ㅣ김동우
현대의학 자연의학 그리고 의용공학의 세계
'대체 식이요법 > 암 투병 글 X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생님 음식은 무얼 먹어야 하나요?” (0) | 2018.08.20 |
---|---|
수면제 복용, 암 위험 높인다.. 식도암은 57%까지 상승 (0) | 2018.08.17 |
단식의 과학, 암 위험성 낮추고 인지력 높여 (0) | 2018.08.14 |
면역질환 이용해 '암' 치료하는 길 열였다 (0) | 2018.08.13 |
[스크랩] 암환자의 또다른 고통, 수면장애 (0) | 201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