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B&C형 간염

C형간염의 증상과 진단법

암사랑 2018. 4. 11. 14:29

C형간염의 증상과 진단법

C형간염은 C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에 감염된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이 정상인의 상처난 피부나 점막을 통해 전염되는 일종의 감염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 국민의 약 1%가 C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추정된다. 전체 만성 간질환 환자의 약 10~15%가 C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C형간염은 노출 된 경우 70~80%가 만성간염으로 진행하고,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이중 30~40% 정도가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예방 뿐아니라 감염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C형간염은 감염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소수의 환자에서는 피로감, 열감, 근육통, 소화불량, 우상복부 불쾌감,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C형간염 환자는 검사를 받기 전에는 모르고 지내다가, 20~30년이 지나서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증, 간암 등의 소견으로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C형간염의 진단은 혈액 검사를 통해 C형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검출하거나 혹은 C형간염 바이러스를 직접 확인하는 검사(HCV RNA 검사법)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C형 간염이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된 경우에는 간염이나 간경변증, 간암 등 간질환의 심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게 되며 혹은 필요시 간조직 검사를 시행할 수 도 있다.

C형간염은 예방이 최선이기 때문에 감염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회식자리에서 잔 돌리기나 찌개를 같이 먹는 행동은 C형간염 감염과 큰 관계가 없다. 하지만 주삿바늘은 반드시 일회용을 사용하고 문신을 하거나 침을 놓을 때는 반드시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개인이 쓰는 손톱깎이나 면도기, 칫솔로도 옮을 수 있다.

대한간학회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C형간염 검사를 해보아야 할 고위험군을 규정했다. 1992년 이전 수혈이나 장기이식을 받은 경우, 정맥주사 약물남용자, 혈액투석 환자, HIV 감염자, 한센병, HCV 감염 산모에서 태어난 아이, HCV 양성인 혈액에 오염된 주삿바늘에 찔리거나 점막이 노출된 보건의료 종사자, C형간염 환자와 성관계 접촉력이 있는 경우다.

여기에 해당하지 않아도 적어도 한 번은 C형간염 선별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는 유병률이 높은 연령대(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일생에 한 번은 C형간염 항체검사를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C형간염 권고사항

- HCV에 감염된 사람은 혈액, 장기, 조직, 정액을 공여하지 않도록 한다. HCV에 감염된 사람은 칫솔, 구강위생용품, 면도기, 손톱깎이나 피부에 상처를 줄 수 있는 도구를 개별사용하고 출혈이 있는 상처는 다른 사람에게 혈액 노출이 되지 않게 관리하도록 교육한다.
- 정맥주사 약물남용자에게는 이를 중단하도록 권한다. 이들에게 HCV 감염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도록 한다.
- 의료행위 및 문신, 피어싱, 침술을 포함한 침습적 시술을 시행할 경우 일회용 또는 적절히 소독된 재료를 사용하고 도구들에 대한 적절한 세척과 소독이 필요하다.
- HCV에 감염된 사람이 한 명의 상대방과 지속적인 성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HCV가 성행위를 통해 전염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C형간염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성행위 방식을 바꾸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그러나 성행위 상대방이 다수인 경우에는 HC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콘돔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 임산부의 산전 진찰 동안 HCV 감염의 위험인자가 발견되거나 C형간염이 의심되면 HCV 항체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HCV에 감염되었다고 해서 임신이나 모유수유를 제한하거나 제왕절개와 같은 특정한 출산방법을 선택하도록 권유하지는 않는다.
- 만성 C형간염 환자들은 간경변증과 간암 발생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알코올, 비만, 인슐린 저항성은 질병의 진행과 연관이 있으므로, 만성 HCV 감염자들에게 단주 또는 절주를 권하고, 운동과 식이조절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 A형 및 B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없는 만성 HCV 감영자들은 HBVHAV에 대한 예방접종을 시행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C형간염의 증상과 진단법 (간 건강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