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간 경변증(liver cirrhosis)-식도정맥류,복수,간성혼수
1. 정의 : 미만성염증(diffuse inflammation), 섬유화(fibrosis)로 간의 기본구조 변화, 간 기능 상실
2. 종류
1)괴사후 경변증(post necrotic cirrhosis) : 간독소(주로 바이러스성 간염)로부터 전반적인 괴사
2)영양성, 문맥성, 알코올선 경화(Laennec's cirrhosis) : 알코올중독, 영양불량
3)담도성 경화증(Biliary cirrhosis) : 간과 총담관의 폐쇄
4)심장성 경화증(Cardiac cirrhosis) : 우심부전
3. 원인 : 알코올 남용, 담즙정체, 담관폐색, 약물(acetaminophen, methotrexate 등)
B형, C형 간염에 의한 만성 활동성 간염(B형간염에서 간경화가 되는 경우가 많음), 간성 울혈
4. 병태생리 : 간손상의 마지막 단계
간세포가 상흔조직으로 대치되어 정상적인 소엽구조가 결절(nodule)세포가 된다
간의 지방 침윤 → 회복 → 급성 알코올성 간염, 경화 초래 → 간기능 상실, 간문맥혈관 폐쇄
→ 간세포 기능 부전, 문맥성 고혈압
5. 증상 : 간세포 부전 증상 - 황달, 저알부민혈증, 복수, 하지부종, PT지연 및 출혈성 경향(응고요소합성 기능저하)
문낵압상승 증상
6. 진단 및 치료
- 진단 : 혈청효소상승(ALT, AST, LDH), hypoalbuminemia, prothrombin time delay, CT, SONO
- 치료 원칙 : 합병증 조절, 간기능 극대화, 원인제거, 감염 예방(완치 불가능)
7. 간호중재
1)적절한 영양유지 : 2000~3000cal/day, 충분한 양의 단백질, 탄수화물 제공, 간성 혼수시 단백질 제한(암모니아 때문에 혼수에 빠짐)
체중측정, I&O, 종합비타민 투여(지용성비타민)
복수와 부종이 있으면 수분과 염분섭취 제한
2)적절한 활동 유지 : 휴식, 불필요한 피로 예방
3)신체손상 위험성 예방 : 간 독성 물질 복용 금지, 간에서 대사가 이루어지는 약은 최소한의 양 사용
4)출혈 예방 : 출혈 관찰(출혈이 멈추지 않을 수 있음, 가임기 여성일 경우 피임약 사용) , 안전간호, 배변 완화제 투여, 교육
5)호흡지지(복수 환자) : high fowler's position → 복수가 횡격막을 압박하지 않도록함
체위변경, 심호흡격려 → 기도내 분비물 정체 예방
6)피부 간호 : 욕창 예방, 소양증 경감
7)감염 예방 : 호흡기 예방간호, 접촉을 피하고 손씻기
8. 간경변의 합병증(문맥성 고혈압은 복수, 식도정맥류, 간성혼수 등으로 발전될 수 있다 - 간경화의 3대 합병증으로 모든 증상이 오는 경우는 드물다)
1)문맥성 고혈압(portal hypertension)
- 정의 : 문맥계를 흐르는 혈액의 폐색이나 증가된 저항으로 인해 문맥계의 지속적인 압력 상승
- 원인 : 간경화(간이 단단해져 간으로 혈액의 이동이 어려워 문맥압 상승), 혈전증, 종양, 비장비대(간으로 혈액이동이 어려워 비장으로 가기도 함)
- 병태생리 : 정상 문맥악 : 5~10mmHg → 문맥고혈압 : 하대정맥압보다 5mmHg 이상 증가
문맥순환과 전신순환 사이에 측부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이 이루어짐
(정상인에게 없는 가는 혈과들이 생기면서 잘 터진다)
비장, 다른 장기의 울혈
- 증상 및 징후 : 식도정맥류(esophageal varix), 꼬불꼬불한 상복부 혈관 돌출(caput medusae), 비장비대(splenomegaly)
치정맥 확장(hemorrhoidal vein), 상복부 잡음(bruits), 복수(acites), 간성뇌질환(hepatic encephalopathy)
<식도정맥류>
1. 원인 : 문맥성 고혈압, 혈관의 기계적 손상과 pepsin이나 미란으로 인한 혈관 손상
기침, 구토, 재채기, 용변시 긴장 등으로 복부 정맥압 상승시 출혈 발생 가능
2. 증상 : 토혈(hematemesis, 양동이 하나정도의 양), 혈변(melena), 다량의 상부위장관 출혈, 저혈량성 쇼크(1L이상 출혈시)
3. 치료 : 출혈 조절 및 혈액량 대치
1) 내과적 치료
(1)정맥 수축제 : vasopressin, somatostain,
β-adrenergic blocker(propranolol, metoprolol, atenonol) - 지혈에 효과 있으나 저혈압 위험성있다.
(2)위세척(gastric lavage) : saline irrigation으로 blood clot remove
(3)balloon tamponade insertion : Sengstaken-Blakemore(코를 통해 위까지 삽입), Minnesota tube
기계적인 압박으로 출혈 조절(기도를 압박하지 않도록 주의), 주기적으로 풍선 압력제거(답답하므로), 응급시 튜브제거, 배액량 기록
(4)내시경적 경화법(endoscopic sclerotherapy) : 내시경 끝에 주사침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시경을 통해
경화제(sclerorising agent)를 bleeding varices에 직접주사하면 경화제가 정맥벽에 염증을 초래하여 섬유화 시킨다
(5)내시경적 전기동걸(endoscopic electrocautery) : 전기로 소작
(6)내시경적 결찰(endoscopic ligation) : small, elastic O ring을 varices에 매는 방법
늘어난 부분을 묶어주는 방법으로 다른 부분이 늘어날 수 있으며 재발 가능
(7)수액주입 : 혈량보충제
(8)수혈
2)외과적 치료
(1)문맥우회술(shunt procedure)
문맥은 비장, 신장 등을 우회하여 정맥혈을 모아 간으로 보내고 하대정맥으로 흐르게 하는데, 이 흐름 중 간을 삭제하는 방법이다
합병증으로 간성뇌질환, 진행적인 간부전, 박테리아혈증, 산재성 혈관내응고, 울혈성 심부전, 우회응괴 유발
<복수>
1. 정의 : 복강내에 수분이 축적된 것
2. 원인 : 간경변증, 우심부전증, 결핵성 복막염, 암, 췌장염의 합병증
3. 병태생리 :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혈장과 임파의 정수압 상승
저알부민혈증으로 인한 교질삼투압 저하
순환혈량 저하로 인한 보상기전으로 고알도스테론증 발생(수분을 끌어당김)
4. 증상 및 징후 : 복부팽만, 옆구리 팽윤, 아래로 돌출된 배꼽, 식욕부진, 호흡곤란, 소변량 감소
5. 진단 : 복수천자(paracentisis), 복부 X-선 촬영, 초음파, CT
앙와위로 눕힌 후 복부 윤곽 변화 시진, 복수 타진을 통해 수액의 율동 확인
6. 치료 : 내과적 - 알부민 투여, 이뇨제, 복수천자(호흡곤란 해결을 위한 치료목적으로도 이용되며 필ㅇ료한 경우에 한하여 시행)
저염식이, 수분제한, 적당량의 단백질 섭취
외과적 - 복강정맥측로(peritoneovenous shunt : Leveen or Denver shunt)
복강과 사대정맥 사이에 튜브를 삽입하여 복수액을 정맥계로 돌려주는 방법이다
Leveen은 환자의 호흡에 따라 자동조절되며 Denver은 벨브가 있다
합병증으로 감염, 삽인된 혈관내에서의 응고, 심부전증, 측로의 울혈이 있다
7. 합병증 : 호흡곤란, 제와 파열, 감염
8. 간호 중재 : 적절한 체액유지, 효율절 호흡상태 유지, 피부간호, 환자교육, 수면
<간성 뇌칠환, 간성 혼수(hepatic encephalopathy)>
1. 정의 : 심한 간손상, 간부전 또는 문맥우회술로 인한 중추신경계의 장애로 발생, 혈액과 뇌척수액에서 암모니아치 상승
2. 원인 : 혈중의 암모니아 축적은 중추 신경계 억압
3. 병태생리 : 정상 암모니아 대사(암모니아 → glutamine → urea → 신장으로 배설)
체액의 암모니아치가 상승하면 신경교와 신경세포에 영향을 미쳐 중추신경계의 대사작용과 기능 변화를 초래한다
4. 증상 및 징후 : 정신의 민첩성 감소, 착란, 불안정, 수면장애, 의식소실, 발작, 혼수, 지남력상실, 간성구취,
asterixis(liver flap), 호흡성 알카리증, Delta wave 발생
5. 간호중재 : 심한 간성 혼수 - lactulose 투여 및 관장, neomycin 투여, 식이(고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소금제한)
신체손상 위험성 예방, 적절한 체액유지
'건강정보 모음 > 간경화&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암 색전술치료는 재발이 흔하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0) | 2017.04.28 |
---|---|
시한부 선고 받은 진행성 간암 환자도 5년 생존율이 50%! (0) | 2017.04.26 |
녹십자셀 ‘이뮨셀LC’ 간암 재발률·사망률 각각 37%·79% 낮춰 (0) | 2017.04.22 |
中 대학 암세포 굶어죽이는 치료법 개발…간암치료 적용 추진 (0) | 2017.04.21 |
간경화증 진행 막는 치료제 나와… "합병증 75% 이상 억제" (0) | 2017.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