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모음 /간경화&간암

임상화학검사 - 간기능검사

암사랑 2015. 9. 17. 15:21

임상화학검사 - 간기능검사

혈액검사 판독자료 / B형간염,간경화,간암 자료실

 

복사 http://blog.naver.com/kimyhkimyh/220434610802

 

임상화학검사 - 간기능검사

 

1. AST/ALT <아미노전이효소(Aminotransferases)>

- 가장 기본적이고 유용한 항목.

- 정상범위: 약 40 IU/L 이하. 
- 반감기: 각각 17시간/ 47시간. 
- 간내 활성도(농도) - AST: 혈장의 약 7000배 (심장, 근육, 혈구 등 체내 대부분에 존재)

                     - ALT: 혈장의 약 3000배 (주로 간에만 존재)

 

0. 급성 간세포 손상: 초기: AST > ALT(간세포 내 AST농도가 더 높기 때문)

                     24~48시간 뒤: AST < ALT( ALT 가 반감기가 더 길기 때문)

0. 알코올성 간염(Alcoholism): AST > ALT, AST:ALT =3~4:1.

                              비타민 B6결핍 (간의 ALT 합성 감소): AST,ALT 농도가 실제보다 낮게 나올 수 있음.

0. 간세포 손상: AST < ALT 
0. 간섬유화: ALT 점차 감소, AST:ALT 비율은 점차 상승. 
0. 간경변 : AST > ALT

          - 증가하는 경우: 급성 전격성 간염,바이러스성 간염, 약제성 간장애, 알코올성 간염, 만성간염, 간암, 간경변, 담즙울체, 폐쇄성 황달 등.

          - 감소하는 경우: 말기 간 경변의 광범위한 간 파괴

 

 

2. 빌리루빈 (Bilirubin)

- 간질환과 황달 진단에 중요한 검사

- 건강한 성인에서 하루 약 250~350mg 생성.

- 수명을 다한 적혈구의 파괴로부터 만들어지는 대사산물

- Indirect bilirubin(Not dissolve in water) 이 비장, 골수 등의 세망내피계로부터 혈중에 방출 
   알부민과 결합해 간으로 이동 ⇒ 간에서 Direct bilirubin으로 변화되어 담즙에 포함되어 장으로 배출

(1) 총 빌리루빈 (total bilirubin)

- 증가하는 경우 : 황달

- 감소하는 경우 : 소구성 저색소성빈혈, 악액질

(2) 직접 빌리루빈 (direct bilirubin)

- 증가하는 경우 : 간세포성 황달, 간내 담즙울체, 용혈성 빈혈

(3) 간접 빌리루빈 (indirect bilirubin)

- 증가하는 경우 : 각종 용혈성 질환, 체질성 황달, 신생아 황달

- 감소하는 경우 : 소구성 저색소성빈혈, 악액질

 

 

3. 암모니아 (NH3)

- 간성혼수등의 진단과 치료관찰에 이용

- 간에서만 대사 가능, 아미노산과 핵산의 주 대사산물.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시키는 요소회로 (urea cycle)의 주요 효소들이 간세포에만 존재.

- 간경변 또는 간부전 요소회로의 효소 고갈 ⇒ 암모니아 혈중 농도 증가 ⇒ 간성혼수

- 증가하는 경우 : 간성혼수, 중증 간질환, 전격성 간염, 간경변, 문맥-체순환 shunt 등

 

 

4. 콜레스테롤 (Cholesterol)

- 간- 지질단백(lipoprotein)의 합성 및 대사

- 간 질환: 지질단백 이상을 초래,. 고밀도지질단백(HDL) 감소 및 고 중성지방 혈증이 발생

- 콜레스테롤 합성이 저하⇒ 혈중 콜레스테롤치 저하. BUT !! 회복기 다시 상승 및 정상화 
- 증가하는 경우: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I당뇨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신증후군, 간암, 폐쇄성 황달, 담즙 정체 등 
- 감소하는 경우 : 영양결핍, 일차성 저콜레스테롤 혈증, 갑상선기능 항진증, 간세포 장애 등)

 

 

5. 알부민 및 기타 혈청

- 단백혈청 총단백과 알부민 농도는 간기능검 사에서 매우 중요.

- 간-혈장 단백 합성. 모든 단백질의 90% 이상과 알부민의 100%가 간에서 합성. 
- 간질환시 간 기능의 저하는 혈청 총단백과 알부민 농도의 감소 유발. 
- 문맥고혈압 ; 단백 합성 감소에 관여. 간으로 단백 전구물질인 아미노산 전달이 감소되기 때문. 
- 기타 ; 신장 질환, 영양결핍, 단백소실 창자병증, 드물게는 만성 염증 질환 등 혈청 총단백과 알부민이 감소되기도 함.

- 증가하는 경우 : 탈수증, 영양과다 등

- 감소하는 경우 : 중증 간질환, 신증후군, 영양실조, 흡수불량 등

 

 

6. 응고인자

- 제 I, Ⅱ, V, Ⅶ, Ⅸ, X, XIII.

- 간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경우 출혈 위험도 판단(Ex, op 등)

- 간세포의 기능장애: 응고인자 합성저하, 혈액응고의 지연. 
- 프로트롬빈 시간(PT) : 제 I, Ⅱ, V, Ⅶ 및 X인자 
- 프로트롬빈 시간 지연: 간질환, 선천성 응고인자 결핍증, 응고인자의 소모성 질환, 약물 복용(heparin, wafarin, coumadine) ,

                        간의 합성능이 심하게 저하되었을 때 나타남.

 

 

7. 젖산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
- 대부분의 조직이나 장기에 넓게 분포 
- 장기 손상 ⇒ LDH 유리 ⇒ 혈청 농도 상승. 
- 다른 동종 효소 수치와 함께 연관 지어 손상 장기 추정

 예) 다른 간 효소의 상승 없이 ALP의 높은 상승과 함께 총 LDH가 500IU/L 이상으로 크게 상승되면 전이암, 원발성 간세포암종 등을 의심

- 증가하는 경우 : 용혈성 빈혈, 악성빈혈, 심근경색, 백혈병, 악성종양, 급성간염, 감염증 등

- 감소하는 경우 : LDH부분 결손증, 항암제, 면역억제제 투여

 

 

8. 알칼리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

- 간 ALP반감기: 약 3일. 
- 담도 폐쇄 질환: 합성 증가 및 배설 감소로 인해 ALP 급 상승. 혈청 ALP 는 정상 수치의 2배 이상 증가(때론 10배를 넘기도 함),

                     Total bilirubin 증가 속도와 비례

- 간 손상: ALP는 황달의 대부분에서 중증도로 증가. 
- 폐쇄 해소: 혈청 ALP 농도는 빌리루빈보다 더 나중에 정상 수치로 떨어짐.

- 증가하는 경우: 간질환(간경변, 간세포암, 만성 간염), 담도계질환, 골질환,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

- 감소하는 경우 : 선천성 hypophosphatasia, 갑상선 기능저하증, 악성빈혈 등

 


9. 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 펩티드의 N말단 글루타민산을 다른 펩티드, 아미노산으로 전이하는 효소 , 간세포에다량 포함. 디아제팜, 페니토인, 페노바비탈 등 약물, 알코올 등에 의해 생성 증가 및 혈중 농도 상승.

- ALP 상승의 원인(담도폐쇄질환) 감별

- 담도 폐쇄성 질환: ALP와 함께 GGT도 상승, 정상 수치의 10배 이상 상승 가능 
- 만성 음주자: 60~70% 음주량과 비례하여 상승. 
- 반감기: 약 10일. 알코올중독의 회복기: 28일

- 증가하는 경우 : 알코올성 간장애, 약물성 간장애, 담즙울체 (간내, 간외),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 간세포암, 과영양성 지방간 등

 

 

 

요약정리 [

 

 Bilirubin

    황달의 진단, 중증도와 상관성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간세포성 질환에 민감

    AST > ALT (알코올성 질환, 경화증)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간세포성 질환에 민감, 간 특이성.

 Gamma GT(GGT)

    담즙 정체 시 ALP 와 함께 상승

    약물에 의해서도 상승 함

 Alkaline phosphatase (ALP)

    담즙 정체 시 상승 (간 세포막 용해)

 Albumin

    질환 만성도와 중증도의 지표

 Prothrombin time (PT)

    중증도 지표

    만성간염에서 경화증의 초기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