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여는 글/감동 좋은 글

내몸

암사랑 2014. 11. 23. 18:10
내 몸
누구나 병에 걸리면
자신의 몸 전체를 느낍니다.
자기와 제일 가까운 것이 자기 몸입니다.
그러나 자신과 제일 가깝다는 자기 몸을
자기가 보지 못한다는 것은 여간 큰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 이어령의《지성에서 영성으로》 중에서 -

* 내 몸인데
내 몸 같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내 몸을 내가 마음대로 느낄 수 없습니다.
내 몸을 제대로 바라보고 제대로 느끼는 것,
그것이 이 시대의 명상이고 힐링입니다.
그래야 내 몸을 오랫동안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6초 포옹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도록 도와줄
아주 손쉬운 몸짓 하나를 제안한다.
바로 포옹이다. 6초 이상 지속되는 포옹.
그래야 뇌에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화학작용이 확실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사랑을 담은 진실된 마음으로
포옹해야 한다.

- 엘사 푼셋의《인생은, 단 한번의 여행이다》중에서 -

* 단 6초면 충분합니다.
단 6초가 둘을 하나되게 합니다.
아무리 얼었던 사람도 녹아내립니다.
몸을 녹이고 마음을 녹이고 세상을 녹입니다.
가장 따뜻하고 가장 안전한
호르몬 주사입니다.

 

 

이해와 공감


'이해'(Understand)란
말 그대로 'Under'(낮은 곳에)+'Stand'(서는)
일입니다. 가장 낮은 곳에 서면 이해하지 못할
사람이 없고, 상대방의 고통을 이해하면
누구와도 공감하게 됩니다. 어쩌면,
진정한 치유는 거기서부터
시작되는지도 모릅니다.

- 김해영의《당신도 언젠가는 빅폴을 만날거야》중에서 -

* 이해하면
풀리기 시작합니다.
공감하면 하나가 됩니다.
내가 상대방보다 한 발 낮은 곳에 설 때
가능합니다.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진정한 치유의 시작이고
끝입니다.

 

고도원의 앛임편지에서 옮긴 글